• 제목/요약/키워드: small residential space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19초

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단위세대 리모델링 제안 - 장애정도가 낮고 일상생활이 가능한 임대아파트 거주 독거노인 2인을 대상으로 - (A Proposal for the Unit Remodeling Considering the Elderly - Focused on Two Older People Living Alone Independently in Public Rental Housing -)

  • 홍유석;제해성;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9-26
    • /
    • 2007
  • As a result of rapid aging speed in our society, it is necessary to supply a lot of housing for older people in near future. When we think that high portion of residence in rental housing complex composed of small units is the elderly, the housing units in those apartments have to be designed for the physical, mental, social, and economical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who lives in such a residential complex. Considering thes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this study proposes a remodeling prototype of a living unit for older people in rental housing complex. For the research of this topic,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environmental requirements for them firstly have been analys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interviews with two residents living in a rental apartment. And the design considerations for each space of the housing unit such as entrance, living room, bed room, bath room, and so forth have been explored. Based on the design guidelines above, the remodeling plan of a housing unit for older people has been propose as a result of this study.

  • PDF

A Study on Changes in China's Distribution Market and Firms' Response Strategies

  • KIM, Byoung-Goo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9-80
    • /
    • 2021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hinese distribution industry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China's offline and online distribution industries und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hinese distribution industry.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offline distributors in China and representative companies were analyzed as case stud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d the overall environment of the Chinese distribution industry by using literature data. Then, this study conducted a case analysis using RT Mart and Jingdong, major companie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Result -The main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hinese distribution market has already matured, and retailers are fiercely competing to secure sales and operating profits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finding new management methods, improving awareness and customer loyalty by expanding the number of stores. Conclusion -Recently, the characteristic of China's distribution industry is that the boundaries of distribution are breaking down. Chinese retailers are taking strategies to expand the scope of services by erasing the boundaries of distribution. In other words, distribution companies are promoting a borderless distribution strategy in which consumers purchase products online and offline without restrictions on time and space. In addition, small stores in residential areas are on the rise compared to large-scale stores in the city center. The existing distribution industry operates various types of distribution stores to prepare for the post-COVID-19 crisis.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ence and Needs of the Multi-academic Young Single Family Based on Life Style)

  • 임준형;최인영;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1호
    • /
    • pp.249-260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2035년에 들어서는 34.6%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며 이들 중, 우리나라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청년층 1인가구는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청년 주거지원을 확대실시하여, 공공지원 임대주택과 민간 청년임대주택, 청년 기숙사 공급 등 다양한 정부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청년층 1인가구의 정확한 주거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보급될 청년 주택 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청년층 1인가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환경 선호 및 요구에 대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셋째, 청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공간사용특성과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 실내디자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월 초까지 학생과 직장인을 포함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층 1인 가구 150명을 대상으로 SNS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사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작은 면적인 청년 1인 주거에서 침실과 거실이 기본적 기능 외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계획시 이에 대한 추가적 고려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2)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침실과 거실 공간 확보를 요구하며,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실공간에 대한 확장요구와 침실공간의 드레스룸 등의 수납 추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실내디자인 선호를 살펴본 결과, 모던스타일과 대표적 컬러인 무채색계열 색채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를 선호하며, 조명은 간접조명 및 벽면을 이용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 내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학생과 직장인의 차별적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실제 공공임대주택의 사례분석과 사용자 범위확대를 통하여 실질적인 주거환경니즈와 계획방안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유기농업단지 주요경관요소의 물리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Management of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 안필균;공민재;이상민;김상범;조정래;김남춘;신지훈
    • 농촌계획
    • /
    • 제26권2호
    • /
    • pp.107-116
    • /
    • 2020
  • Up to date, the majority research on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in organic farming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practice of seeking efficiency. The problem is that this type of study contributes to polluting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damaging th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here is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organic farming, but it is not widely applied that research on how to manage the landscape considering the scenic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practicing organic farm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conservative aspects of rural landscapes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landscape of organic agriculture and, intended to be used to maintain and preserve natural and ecologically harmonious landscapes by deriving management methods suitable for landscape elements targeting the major landscape elements of the organic farming complex. To carry out, this study performed the experts survey which is composed of 13 major landscape elements, including rice paddies and fields, monoculture and diverse crops, dirt roads, windbreak trees, accent planting, dum-bung(small pond), natural small river, natural waterways, plastic film houses, one-storied houses, and pavilion. As a result, Farm land was formed in a square shape, concentrated in an independent space, planted companion plants around the crop, and covered with plants to manage the borders. As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aspart road system circulating through the village, the evergreen broad-leaved windbreak forest around the cultivated land, and the accent plant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were suitable.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consists of Round small pond made of stone in an open space, natural rivers around the village, and natural channels around the farmland, and The Major facilities are suitable for greenhouses that are shielded by plants in independent regions, and wooden duck houses located inside the cultivation area are suitable and The settlement facilities were analyzed to be suitable for single-story brick houses located in independent residential areas, pavilion located with greenery in the center of the village, and educational spaces shielded with wood from arable land. If supplementary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the management of organic farming landscape are additionally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landscape value of ecologically superior organic farming.

택지개발지구 특성에 따른 거주자의 생활권 내 근린시설 이용행태 - 청주권 3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 (Residents' Using Behaviors of Living Facil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Concepts of Complexes - The Case of the 3 Complexes in Cheongju Area -)

  • 이상운;박경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3-22
    • /
    • 2010
  •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veal the differences of residents' using behaviors of living facilities at 3 complex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es have been investigated by a literature study and field survey.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by residents on living facilities using behavior on community environment. The tools of analysis are frequency, percentage, and cross tabulation using SPSS WIN 12.0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1) The developmental concept of 3 complexes maintained its initial identity. (1) The residence-oriented complex, having wider residential space, had better downtown access and more convenient facilities for daily life. (2) The residence-government mixed complex, constructed with an eco-friendly concept, had wider green and public service space and good downtown access but on the other hand, had less convenience facilities because of a short period from construction. (3) The residence-industry mixed complex, located in sub-urbanity and conceding more land for industries, had poor access to downtown but had more convenient facilities for workers' use. 2) The most frequently visited convenience facilities were shopping facilities, large or small, and banks, and activities were commonly done in the complex or adjacent area. This means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veloper of the new complex locate convenience facilities in multi-core concentration types or street types rather than one-core concentration type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Using real-time Sensors

  • KIM, Chang-Mo;KIM, Ik-Soo;SHIN, Deok-Young;LEE, Hee-Sun;KWON, Seung-Mi;SHIN, Jin-Ho;SHIN, YongSeung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4호
    • /
    • pp.19-3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ndoor air quality in various living spaces using sensors that can measure noise, vibration, fine dust, and odor in real time and to propose optimal indoor air quality maintenance management using Internet of Things(Io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sing real-time sensors to monitor physical factors and environmental air pollutants that affect the comfor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Noise, Vibration, Atmospheric Pressure, Blue Light, Formaldehyde, Hydrogen Sulfide, Illumination, Temperature, Ozone, PM10, Aldehyde, Amine, LVOCs and TVOCs were measured. It were measured every 1 seconds from 4 offices and 4 stores on a small scale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2019.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illuminance and blue light for each measuring point was found to depend on lighting time, and the ratio of blue light in total illumination was 0.358 ~ 0.393. Formaldehyde and hydrogen sulphide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that temporarily attract people in an indoor office space that is constantly active, requiring office air ventilation. The noise was found to be 50dB higher than the office WHO recommendation noise level of 35 ~ 40dB.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wer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blue light in turn. Conclusions: Various factors that determine the comfort of indoor living space can be measured with real-time sensors. Further, it is judged that the use of IoT can help maintain indoor air quality comfortably.

농어촌 취약지역 접근성 변화에 따른 생활서비스와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고흥군 사양도 사양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Living Service and Spat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Accessibility in Vulnerable Area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Sayang Village, Goheung-gun -)

  • 김용균;김상범;김소라
    • 농촌계획
    • /
    • 제29권4호
    • /
    • pp.69-79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rural villages in Sayang Village, where accessibility restrictions to island areas were improved, and analyzed the spatial composition of hous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First, despite the island's vulnerable transportation requirements being resolved by the completion of the land and bridge in 2018, the local economy continues to stagnate due to a vicious cycle of local living services and job losses. Second, when a survey of residents' changed living services was conducted through the continuation of the specification map, the scope of living areas was expand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and place of visit of fresh food purchases, use of convenience facilities, and medical visits. Third, it is judged that the naturally formed village is composed of small roads to the inside of the village due to the disorganized street system and the form of walking instead of vehicles.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idential space of houses in fishing villages, the aging rate of houses over 30 years old was 62 (91.2%), and the average area of the first house space built was 65.2m2 to 14.1m2, an increase of 17.8% of the total area.

저소득층 주거지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공동체 회복 (Community Recovery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anty Towns)

  • 신행우;김영욱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2호
    • /
    • pp.97-102
    • /
    • 2016
  • 급격한 산업화와 개발 시대를 살아오면서 우리가 애써 외면하며 살아왔고, 각 개인에게 책임을 전가해 온 '이웃'의 문제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안에서 파생되는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현대 도시에서 전통적 개념의 '마을'이 갖고 있는 장점들을 다시 회복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이 최근 우리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서울시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마을공동체사업은 주민 간 네트워크 형성에 목적을 두고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긍정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마을 공동체를 회복하려는 노력에서 필요한 것 중 하나가 공간적인 접근을 통한 공동체성의 회복이다.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작지만 큰 효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가시적 접근성이 높은 공동체 공간은 주민들의 소통과 교류의 공간으로써 큰 효과를 보이는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급격한 사회변화를 거치면서 사라지거나 외면해 온 '소통과 생활공간으로서의 골목길'과 '마을'이 가지고 있었던 공간적 형태, 그 속에서 자신들의 삶을 공유하고 살았던 마을 사람들의 관계망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주거 공간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와 실험 등을 통한 공동체 회복 노력이 필요하다.

사회적 최하층계급의 거주지분리와 공동체의식의 변화 : 대판부(大阪府) 팔미시(八尾市)의 동화지구를 사례로 (Segregation of the Lowest Social Class and Transformation of Communal Consciousness : As a Case Study of Douwa District in Yao City, Osaka)

  • 조현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03-8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오사카부 야오시를 대상으로 사회적 최하층계급의 거주지에서 나타나는 거주지분리현상을 살펴보았다. 근세이후 사회적 차별과 배제의 대상이었던 신분계급인 부락민은 그들만의 분리된 거주지역을 형성하였고, 제도적으로 인정되었던 차별에 대하여 조직적으로 투쟁하는 과정에서 구성원간의 공동제 의식이 강화되었다. 한편, 야오시에는 또 다른 피차별집단인 재일한국 조선인과 사회적 소수자인 베트남 난민 중국인이 증가하게 되었고, 부락민과 재일한국 조선인에 의하여 사회적 소수자의 인권과 권리를 옹호하기 위한 활동이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최근 제조업체의 제3세계로의 이전과 불황의 여파 등으로 인하여 동화지구를 존속하게 했던 영세공장들의 수가 줄어들고, 하나 둘 없어진 공장부지에 새로운 주택들이 들어서기 시작하고 있다. 격리된 동화지구로서의 야오시의 특성은 약해지고 있지만 사회적 소수자끼리의 공동체의식에 기초한 투쟁과 지속적인 인권활동은 야오시의 행정방침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야오시의 경우,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공간상의 분리의 의미는 약화되고 있으나 지역민 간의 공동체의식은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격리공간의 변형된 형태, 혹은 소멸화 단계에 있는 거주지 분리지역의 사회적 형태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PDF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 심주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간과되었던 우리의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Urban Gardening)를 재발견하는 과정으로, 자생적 도심주거지 해방촌에서 나타나는 도시정원가꾸기의 이해와 장소적 특성 고찰을 통해 현대적 의미의 도시정원이 단독주택지 주민들의 삶과 연계하여 물리적 환경 개선과 지역 주민들간 관계 형성을 견고하게 하는 매개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지인 해방촌(解放村)은 자생적으로 형성된 단독주택지지역으로, 1940년대 후반 도시빈민의 임시 정착지로 형성되었으나 '60년대 주거지 양성화와 '70년대~'90년대 자력 재개발사업에 의한 현지 개량을 거치면서 서울 도심의 대표적인 서민 주거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이 지역은 용산 미군부대와 남산으로 둘러싸여 섬처럼 존재하는 지리적 여건을 지니며 주거지 개발의 붐에서 비켜 있었으므로 다른 도심주거지에 비해 물리적 환경변화가 적고 주민들 역시 오랜 시간동안 지역에서 거주해온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해방촌을 크게 3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도시 조직과 주거형태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도시정원가꾸기의 특징과 일상문화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서울민의 대중적 삶이 적층되어 있는 해방촌의 도시정원가꾸기는 근 현대 주거사의 변천과 생활상 변화에 따라 다양한 공간과 속성으로 변용, 진화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들 장소는 고밀화 된 주거지에서 발현된 자연-정원에 대한 주민들에 욕망의 표현이며, 가꾸기를 통해 드러나는 참여의 장, 실천적 행위의 장소이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양식이 누적된 독특한 일상생활문화로서 지역 고유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주거와 마당-정원의 원형적 관계가 남아있는 단독주택지에서 도시정원은 반사적 공간의 공공적 공유가 발생하는 특성이 나타나며, 중층적 공간 구조 사이에서 창조적인 공간 사용을 발견한다. 협소한 대지의 효율적 공간 활용으로 나타나는 도시정원은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촉발하는 역할로서 마이크로 규모의 녹지 공간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진 정원의 도시 이미지를 형성한다. 도시정원에 대한 관심은 도시에서의 먹거리 생산이라는 역할을 넘어 건강과 취미, 교육, 공동체 회복 등 도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과 닿아 있다.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는 사소한 다수가 발휘하는 고유한 역량과 독특한 특성에 대한 재발견으로 일상생활문화로서의 공간 활용과 장소에 내재된 가능성,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