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mall freshwater fish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6초

농업용저수지에서 생태계교란 생물 배스 Micropterus salmoides 완전제거 후 어류상의 변화 및 군집 분석 (Change of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ies after Complete Removal of Large 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Perciformes; Centrachidae) in Farm Reservoir, Korea )

  • 김재구;조윤정;박철우;김종욱;김수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0-277
    • /
    • 2023
  • 배스 Micropterus salmoides는 1973년에 도입된 이래로 국내의 댐, 하천 등에 퍼져, 토착 어류군집에 악영향을 미쳐왔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공급의 기능을 상실한 유휴저수지인 북초산제에서 배스를 완전제거한 후, 배스가 서식하는 비슷한 규모의 저수지 어류군집을 비교하여 배스가 어류군집에 미치는 악영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9년에서 2022년까지 연 3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배스의 서식으로 어류의 종조성이 단순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북초산제에서 배스의 제거 이전 배스의 먹이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붕어와 밀어 등 4종만이 출현하였으나, 배스의 제거 이후 상류 및 농수로에서 유입된 소형담수어(대륙송사리, 갈문망둑)의 출현과 개체수의 증가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배스가 서식하는 다른 저수지인 강정제, 수심제와 북초산제를 비교하였을때, 배스의 포식압이 높은 소형저수지에서 배스의 제거 이후 어류상은 안정화 및 회복세로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4종에 대한 유영능력 평가 (Swimm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Four Freshwater Fish Species from the South Korea)

  • ;김규진;민건우;장민호
    • 생태와환경
    • /
    • 제52권2호
    • /
    • pp.118-125
    • /
    • 2019
  • 어류의 유영능력은 어류의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어류의 유영능력 측정값은 어도 설치 시 서식하는 종에 대한 기초자료, 생태 하천 복원 시 어류의 서식 및 산란장 조성, 생태유량 산정 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담수어류의 유영능력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거나, 부족한 면이 있기 때문에 어류의 유영능력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도들이 설치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 수역에서 서식하는 붕어(Carassius auratus), 참갈겨니(Zacco koreanus), 줄몰개(Gnathopogon strigatus), 납자루(Acheilognathus lanceolata intermedia)를 대상으로 유영능력측정기 (Swim tunnel respirometer, $Loligo^{(R)}$ System)를 사용하여 돌진속도, 전진속도를 포함한 유영속도를 측정하였다. 종별 평균 돌진속도의 $U_{crit}$ (임계유영속도) 값은 붕어(C. auratus) $0.8{\pm}0.04m\;s^{-1}$; 참갈겨니(Z. koreanus) $0.77{\pm}0.04m\;s^{-1}$; 줄몰개(G. strigatus) $0.95{\pm}0.04m\;s^{-1}$; 납자루(A. lanceolata intermedia) $0.73{\pm}0.03m\;s^{-1}$으로 측정되었고, 각 종별 평균 전진속도의 $U_{crit}$ 값은 C. auratus $0.54m\;s^{-1}$, Z. koreanus $0.67m\;s^{-1}$, G. strigatus $0.7m\;s^{-1}$, A. lanceolata intermedia $0.54m\;s^{-1}$로 측정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어류는 금강 수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4종만을 선정하여 실험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한국의 전체 수계에 서식하는 해당 종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지만, 해당 수계에 서식하는 종의 특성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국내에 서식하는 보다 다양한 담수어류에 대한 유영능력 평가가 필요하며, 이들 자료를 활용한 어도를 통한 하천의 연결성 확보가 요구된다.

담수어류에서 Argulus japonicus의 실험감염에 관한 연구 (Experimental infection or Argulus juponicus in freshwater fishes)

  • 한규삼;정영미;박태욱;임채웅;송희종;도홍기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1-437
    • /
    • 1998
  • Argulus spp, a small group of parasitic curstaceans called Branchiura,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freshwater acquaculture. We investigated the infection of Argulus to several different species of fishes and therapy effect of masoten. Argulus japonicus was collected from Okjeong lake, Chonbuk province and experlmen-tally infected to freshwater fishes from July to August 199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hape of a Agulus is an oval and dorsoventrally flattened, with first maxillae and second maxillae, and four pairs of legs. 2. The size of the adult stage of A japonicus was 3.2-5.0$\times$2.3-2.9mm in female and 1.5-3.1$\times$1.6-2.9mm in male. 3. In the trial of experimental infection with A japonicus to non-scaled fishes, Parasilurus asotus and Ictalurus punctalus, were infected and some of them died after severe infection. However, A japonica was not infected at all. 4. Masoten treatment for A japonicus was effective at 0.2 ppm once a day for 3 days and parasites on the surface of fishes disappeared after five days.

  • PDF

Acanthamoeba sohi, n. sp., a pathogenic Korean isolate YM-4 from a freshwater fish

  • Im, Kyung-Il;Shin, Ho-Joo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1권4호
    • /
    • pp.181-188
    • /
    • 2003
  • A new species of Acanthamoeba was isolated from a freshwater fish in Korea and tentatively named Acanthamoeba sp. YM-4 (Korean isolate YM-4). The trophozoites were $11.0-23.0{\;}{\mu\textrm{m}}$ in length and had hyaline filamentous projections. Cysts were similar to those of A. culbertsoni and A. royreba, which were previously designated as Acanthamoeba group III. Acanthamoeba YM-4 can survive at $40^{\circ}C$, and its generation time was 19.6 hr, which was longer than that of A. culbertsoni. In terms of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lysates, Acanthamoeba YM-4 was weaker than A. culbertsoni, but stronger than A. polyphaga. On the basis of the mortality of experimentally infected mice, Acanthamoeba YM-4 was found to be highly virulent. The isoenzymes profile of Acanthamoeba YM-4 was similar to that of A. royreba. An anti-Acanthamoeba YM-4 monoclonal antibody, McAY7, was found to react only with Acanthamoeba YM-4, and not with A. culbertsoni.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arker analysis and RFLP analysis of mitochondrial DNA and of 18S small subunit ribosomal RNA, placed Acanthamoeba YM-4 in a separate cluster on the basis of phylogenetic distances. Thus the Acanthamoeba Korean isolate YM-4 was identified as a new species, and assigned as Acanthamoeba sohi.

Use of the cast net for monitoring fish status in reservoirs distributed in the Korean peninsula

  • Yoon, Ju-Duk;Kim, Jeong-Hui;Lee, Hae-Jin;Jang, Mi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3호
    • /
    • pp.383-388
    • /
    • 2015
  • Reservoirs consist of two different environments, the littoral and the pelagic zone, and different fishing gear is commonly used in each zone-gill nets in the pelagic zone and electrofishing in the littoral zone. However, an active fishing gear, the cast net, is normally used instead of electrofishing for scientific stud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estimate cast net effectiveness for determining fish status in reservoirs, the study was conducted at 15 reservoirs with two different fishing gears: a cast net in the littoral zone and gill nets in the pelagic zone. When combining catches of both gears, species richness increased substantially compared to using one gear only. There was a size difference in fish caught by each net, and small fish were predominantly caught with the cast net due to its small mesh size (7 mm). The combined length of six species, used for length-weight relationship analysis, collected with the cast net was smaller than that collected with gill nets (independent t-test, P < 0.05). In this study, cast net sampling provided sufficient data for the littoral zone, but not enough to identify the overall fish assemblage in studied reservoirs. Utilization of only one gear can therefore lead to substantial underestimation of fish status, and a combination of both gears is recommended for determining more reliable estimates of fish status in reservoirs.

Microhabitat Characteristics Determine Fish Community Structure in a Small Stream (Yudeung Stream, South Korea)

  • Choi, Jong-Yun;Kim, Seong-Ki;Kim, Jeong-Cheol;Lee, Hyeon-Jeong;Kwon, Hyo-Jeong;Yun, Jong-Hak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1호
    • /
    • pp.53-61
    • /
    • 2021
  • Distribution of fish community depends largely on environmental disturbance such as habitat chang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mpa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and microhabitat patch types on fish distribution in Yudeung Stream at 15 sites between early May and late June 2019. We use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to examin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fish in each site. Gnathopogon strigatus, Squalidus gracilis majimae, Zacco koreanus, and Zacco platypus were associated with riffle and boulder areas, whereas Iksookimia koreensis, Acheilognathus koreensis, Coreoleuciscus splendidus, Sarcocheilichthys nigripinnis morii, and Odontobutis interrupta were associated with large shallow areas. In contrast, Cyprinus carpio, Carassius auratus,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were found at downstream sites associated with large pool areas, sandy/clay-bottomed areas, and vegetated area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microhabitat patch type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fish communities, since a mosaic of different microhabitats supports diverse fish species. As such, microhabitat patches are key components of freshwater stream ecosystem heterogeneity, and a suitable patch composition in stream construction or restoration schemes will support ecologically healthy food webs.

보길도 소하천 담수어류상 및 군집구조 (Freshwater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of the Small Streams in Bogil Island, Korea)

  • 한정호;박찬서;안광국;백운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80
    • /
    • 2017
  • 2015년 6월부터 9월까지 보길도 일대의 소하천의 12개 조사지점에서 담수어류상 및 어류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9과 17속 21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망둑어과(10종, 1,157개체; 상대풍부도 (RA), 40.9%)가 우점과로 나타났고, 아우점과는 잉어과 (3종, 500개체), 숭어과(2종, 168개체)순으로 나타났다. 버들치(RA 20.7%, 397개체)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아우점종은 꾹저구(19.5%, 373개체), 사백어(17.2%, 330개체), 가숭어(8.5%, 163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보길도에서 채집된 담수어류 중 생활형 구분으로 일차담수어가 9종(42.9%), 주연성 어종 11종(52.4%), 양측회유성 어종 1종(4.8%)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고유종 및 외래어종은 보길도에서 한종도 출현하지 않았다. 군집분석 결과에 따르면, 종 풍부도 지수 및 종 다양도 지수는 다른 지점에 비해 많은 종이 출현한 부황천 최하류 구간(S8)에서 각각 1.831, 1.957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류구간 (S4)에서 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우점도 지수는 중류구간(S4) 1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하류 구간(S8)에서 0.17로 낮게 나타났다.

부산시 도시하천의 어류군집과 하천복원을 위한 제안 (The Characterization of Fish Communities in Urban Streams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nd Suggestions of Stream Restoration)

  • 윤주덕;장민호;오동하;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40권2호
    • /
    • pp.303-317
    • /
    • 2007
  • 소규모 담수생태계의 어류군집은 하천의 직, 간접적인 변화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하천의 변화를 유발하는 요소 중 하나인 도시화에 따른 어류상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시 일대의 어류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부산시 일대의 하천을 동부, 중부, 서부의 3지역으로 구분하여 2001년부터 2004년에 걸쳐 모두 55개 지점에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9과 46종 3,206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Rhynchocypris oxycephalus, 아우점종은 Zacco temminckii였다. 수계별로 채집된 어류 중 일차 담수어를 대상으로 집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동부, 중부, 서부지역이 구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Z. temminckii, R. oxycephalus가 상류를, Carassius cuvieri, Acheilognathus rhombeus, Hemiculter eigenmanni, Micropterus salmoides가 중, 하류를 대표하는 어종이었다. 문헌조사와 본 조사의 자료를 집괴 분석 한 결과 도시화가 진행되었던 동부 기장지역이 부산시 중부지역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향후 하천복원과 동시에 이루어질 어류 복원시 각 하천의 특성과 어류의 지사적 분포 분석을 통하여 적합한 종 선별 및 서식처 복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PLHC-1세포주의 Comet assay를 이용한 하천 퇴적토의 생태독성평가 (Studies on Toxicological Evaluation of Freshwater Sediment using a PLHC-1 Cell Comet Assay)

  • 박정아;황인영;백승홍;김영숙
    • 환경생물
    • /
    • 제29권1호
    • /
    • pp.23-30
    • /
    • 2011
  • In this study, the Comet assay (evaluation of DNA damage) used the fish hepatocellular carinoma cell, PLHC-1, was tried to the sediment extract obtained from freshwater to understand its applicability as a tool for monitoring sediment toxicity. In parallel, induced EROD (7-ethoxyresorufin- O-deethylase) activity and DNA damage (TEM values) in PLHC-1 cells were measured for establishing the tandem endpoints of the PLHC-1cell test to test the ecotoxicity of sediment. Among several study sites in a small river passed through downtown and industrial park area, one of them, site B, showed a higher level of EROD activity and DNA damage than other sites. It indicates that a tandem endpoints of PLHC-1 cells could be useful tools for assessing the toxicity of sediment. The sensitivity of Comet assay with PLHC-1 cells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with a blood cell of frog tadpoles to the solvent extract of sedi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a PLHC-1 cell-Comet assay could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ecotoxicity of the freshwater sediment. In addition, more detailed studies are needed to the contaminated site.

금강하류의 어류상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이용한 섭식길드 파악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in the Lower Geum River and Identification of Trophic Guilds using Stable Isotopes Analysis)

  • 윤주덕;박상현;장광현;최종윤;주기재;남귀숙;윤조희;장민호
    • 환경생물
    • /
    • 제33권1호
    • /
    • pp.34-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먹이망 연구를 위한 기초작업으로 금강 하류에서 출현한 어류만을 대상으로 어류상, 담수역과 해수역에 출현하는 어류의 안정동위원소 차이, 담수어류의 섭식길드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강 하류지역을 대상으로 2011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하구둑 기준 상류 20 km, 하류 10 km 구간에서 채집된 어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섭식길드의 분석은 담수어류만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해 보고된 섭식길드의 적절성 여부를 판별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하구둑 상류와 하구둑 하류의 어류상은 완전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일부 회유성 어종 (웅어, 가숭어)들만 양측에서 모두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동위원소 분석에서도 하구둑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에 서식하는 종들의 수치가 완전히 다르게 나타났다. 하구둑 하류에서 채집된 개체들의 경우 기수 및 해양 기원의 먹이를 선호하고 담수종의 경우 담수 기원의 먹이를 선호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일부 회유성 종의경우 담수에서는 해수 신호가 해수에서는 담수신호가 감지되었는데 이는 생태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판별분석 결과 섭식길드는 문헌과 약간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개체 발생 단계에 의한 결과일 것으로 판단되며,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안정동위원소의 경우 지역, 시기, 발생단계에 따라 동일 종이라 할지라도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항상 고려하여야 하며, 가능하다면 지역별로 개체를 분석하여 섭식길드를 제시하는것이 지역의 어류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