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udges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9초

하수슬러지와 토양 중 다핵방향족 탄화수소의 정량 (Analysis for 16 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PAH) in Sewage Sludge and Soil)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13권3호
    • /
    • pp.357-367
    • /
    • 2000
  • 하수슬러지와 토양시료 중 16가지의 다핵방향족 탄화수소(PAH)를 KOH와 $CHE_3OH$에 녹인 용액으로 Soxhlet 추출후 내부표준물질로 2-ethylantracene을 이용하여 GC/MS-SI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12종의 PAH가 하수슬러지에서 검출되었고 공업지역 하수슬러지 중 가장 특징적인 화합물은 naphthalene($0.78{\mu}g/g$), 도시 하수슬러지에서는 pyrene($0.26{\mu}g/g$)이었으며, 총 PAH는 각각 $1.74{\mu}g/g$$1.19{\mu}g/g$이었다. 논 토양과 밭 토양에서의 PAH는 phenanthrene을 포함한 8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범위는 $0.01-0.04{\mu}g/g$이었고, 총 PAH의 양은 각각 $0.19{\mu}g/g$$0.22{\mu}g/g$이었다. 논 토양 중의 총 PAH함량에 비하여 공업지역과 도시지역 하수슬러지 중의 총 PAH양은 각각 9.2배와 6.3배가 높게 나타났다.

  • PDF

한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탈색 및 슬러지 회수 (Decolorization of Wastewater and Collecting of Sludge from Hanji Production)

  • 최희선;김태진
    • 분석과학
    • /
    • 제13권3호
    • /
    • pp.351-356
    • /
    • 2000
  • 한지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폐수의 탈색과 최종 슬러지 회수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잿물삶기 공정에서 생긴 50 mL 폐수의 검은 색은 산화제인 $Ca(OCl)_2$를 2.0g 정도 가하면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었는데 이는 표백공정 중에 사용되는 과량의 표백제를 재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기분해적 산화에 의한 탈색은 전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최종 슬러지를 회수하는데는 현재 사용하는 고분자 응집제로도 효과적으로 슬러지가 제거됨을 알 수 있었지만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할 경우 필히 $Al_2(SO_4)_3$을 사용하여야 하고 슬러지를 제거할 때 함께 나오기 때문에 순수한 섬유질 형태의 슬러지를 얻을 수 없었다. 그러나 triethanolamine과 Triton X-100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였을 때 슬러지 회수율은 85% 정도로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할 때와 거의 같은 효율을 나타내었고, $Al_2(SO_4)_3$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슬러지도 섬유질 형태이었기 때문에 재활용하기에도 좋으리라고 예상된다.

  • PDF

고온 혐기성 소화공정의 start-up seed로서의 호기성 폐 활성슬러지 이용가능성 연구 (Waste Activated Sludge for Start-up Seed of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 김문일;신규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90-495
    • /
    • 2005
  • Since there are very limited numbers of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ers being operated, it is often difficult to start up a new one using sludge from an existing reactor as a seed. However, for obvious reasons it seems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pare the start-up performance of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using different sources of seed slud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rt-up performance of anaerobic digestion using aerobic Waste Activated Sludge (WAS) from a plant and mesophilic Anaerobic Digested Sludge (ADS) as the seed source at both mesophilic ($35^{\circ}C$) and thermophilic ($55^{\circ}C$) temperatures.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rst, thermophilic anaerobic reactors were seeded with WAS (VSS = 4,400 mg/L) and ADS (VSS = 14,500 mg/L) to investigate start-up performance with a feed of acetate as well as propionate. The results show that WAS started to produce $CH_4$ soon after acetate feeding without a lag time, while ADS had a lag time of 10 days. When the feed was changed to propionate, WAS removed propionate down to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10 mg/L, while ADS removed little propionate and produced little $CH_4$. Second, in order to further compare the methanogenic activity of WAS and ADS, both mesophilic and thermophilic reactors were operated. WAS acclimated to anaerobic conditions shortly and after acclimating it produced more $CH_4$ than ADS. WAS at mesophilic temperature biodegraded acetate at the same rate as for thermophilic. However WAS at mesophilic temperature biodegraded propionate at a much faster rate than at thermophilic. WAS as the seed source of anaerobic digestion resulted in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ADS at both mesophilic and thermophilic temperatures for both acetate and propionate metabolism.

한지(韓紙) 슬러지·목재(木材) 파티클 복합(複合)보드의 제조연구(製造硏究) - I. 한지(韓紙) 슬러지·목재(木材) 파티클 복합(複合)보드의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 (Studies on Manufacture of Hanji(Korean Paper) Sludge·Wood Particle Composite - I. Physical Properties of Hanji(Korean Paper)Sludge·Wood Particle Composite)

  • 이필우;이학래;손정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09-117
    • /
    • 2001
  • 한지(韓紙) 제조(製造) 공정(工程) 중에서 발생하는 백색 슬러지와 흑색 슬러지를 각각 일정비율(10, 20, 30, 40%)로 목재(木材) 파티클과 혼합(混合)하고 PMDI, 요소 및 페놀수지를 이용하여 각각 목표비중(目標比重) 0.60, 0.75, 0.90 별로 복합(複合)보드를 제조(製造)하여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을 측정 분석한 결과 흡수길이변화율은 대조보드에 비해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며 흡수두께팽창율은 PMDI를 적용한 백색 슬러지 목재(木材) 파티클 복합(複合)보드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흡수율은 흑색 슬러지 목재(木材) 파티클 복합(複合)보드의 경우 혼합(混合) 비율(比率)이 증가할수록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지렁이 퇴비화 산업 현황 및 향후과제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Vermicomposting Industries in Korea)

  • 김종오;이창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2호
    • /
    • pp.52-57
    • /
    • 2001
  • 본 연구는 지렁이 사육농가의 실태 조사를 통하여 향후 지렁이 산업발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지렁이 사육시설, 먹이사항 및 지렁이와 분변토 관리에 관한 사항 등을 조시하였다. 국내지렁이 사육시설은 규모적 측면에서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렁이의 먹이도 각종 유기성 슬러지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지렁이 사육농가의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렁이 퇴비화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처리공정의 기계화 및 자동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주요 생산품인 지렁이와 분변토의 고부가 상품개발과 아울러 지렁이 퇴비화 산업의 국가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내분비교란물질인 Nonylphenol과 DEHP(Di-(2ethylhexyl)phatalate)가 줄지렁이(Eisenia fetida)의 산란 및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docrine disrupter, Nonylphenol and DEHP(Di-(2ethylhexyl)phatalate) on the cocoon production and the hatchability of Eisenia fetida (Ennelida: Oligochaeta))

  • 박광일;배윤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2호
    • /
    • pp.89-95
    • /
    • 2012
  •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진 Nonylphenol과 DEHP가 줄지렁이의 산란수, 부화율, 난포당 부화개체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포천시 소재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한 하수슬러지내에 포함된 두 물질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Nonylphenol 농도 100 mg $kg^{-1}$이하인 먹이에서는 Nonylphenol이 줄지렁이의 산란수, 부화율, 난포당 부화개체수의 감소를 유발하지 않았다. DEHP 농도 1,500 mg $kg^{-1}$ 이상인 먹이에서는 DEHP가 줄지렁이의 산란수를 감소시켰으며, 농도 2,500 mg $kg^{-1}$ 이상에서는 DEHP가 난포의 부화율을 감소시켰다. 포천지역 하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하수슬러지에서 Nonylphenol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DEHP는 최대 1,640mg $kg^{-1}$ 이 검출되어 하수슬러지를 줄지렁이게 급이 할 경우 DEHP에 의한 줄지렁이 개체군 소멸 현상이 유발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산업 고형유기폐물의 자원화에 관한 연구 (제1보) 산업 고형유기폐물의 비료와 Humus 원으로서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dustrial Solid Organic Wastes (I).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Solid Wastes with Regard to Fertilizer Value and Humus Sources)

  • 박내정;김용인
    • 대한화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8-268
    • /
    • 1975
  • 유기폐물을 다량으로 배출하는 산업중에서 대표적인 제지·펄프공업, 식품공업을 선택하여 고형유기폐물과 폐수처리오니의 합리적인 자원화 방법으로서 이들물질의 비료적 가치 및 humus원으로서의 개발가치를 중심으로 이들 물질의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이다. 제지${\cdot}$펄프공업 유기고형폐물은 비료성분이 적고 lignin 함량이 높아 비료로서 보다는 humus화하여 토양개량제로서 개발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제혁공업 폐수처리오니는 비료로서 효과도 기대되어 산성토양 개량효과도 기대되나 다량으로 함유한 Cr 으로 인해 오염효과가 문제가 된다. 식품공업의 고형 유기폐물 또는 폐수처리오니는 비료로서 또는 미량요소 공급원으로서 가치가 인정되며 수용성 당류의 량이 높거나 C/N율이 20이하로 낮은 물질은 속성 humus화를 위한 첨가 재료로서의 가치도 인정된다.

  • PDF

혐기성소화(嫌氣性消化)의 동력학(動力學) : 중온(中溫) 및 고온혐기성소화(高溫嫌氣性消化)의 비교연구(比較研究) (Kinetics of Anaerobic Digestion: A Comparative Study on Mesophilic and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 장덕;정태학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11
    • /
    • 1987
  • 중온소화(中溫消化)와 고온소화(高溫消化)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소화(消化)의 정지(停止)를 포함하는 폭넓은 실험을 행하였다. 연구결과, 정상소화(正常消化)와 소화조해(消化阻害)를 구분짓는 한계체류시간(限界滯留時間)이 존재하여, 중온(中溫)에서는 10일(日), 고온(高溫)에서는 5일(日)부근이었고 그 이하(以下)의 체류시간(滯留時間)에서는 소화(消化)의 조해(阻害)가 급격하게 발생하였는데 고온(高溫)에 비하여 중온(中溫)에서의 조해(阻害)정도가 매우 컸다. 중온소화(中溫消化)의 한계체류시간이상(限界滯留時間以上)에서는 소화(消化)상태가 거의 유사하였으나, 그이하(以下)의 체류시간(滯留時間)에서는 고온소화(高溫消化)가 월등히 양호(良好)하였으며, 고온(高溫)에서는 중온(中溫)에 비하여 소화(消化)슬러지발생량(發生量)이 감소하는 동시에 소화(消化)슬러지의 침강속도(沈降速度)가 크게 증가하고 여과비저항(濾過比抵抗)은 감소하였다. 한편 반응속도(反應速度)는 소화(消化)에 마치는 온도(溫度)와 체류시간(滯留時間)의 영향을 나타내는 데 유효하였다. 또한 온도(溫度)에 관계없이 반응속도(反應速度)가 증가함에 따라 가스발생속도(發生速度)가 선형적(線形的)으로 증가하였고 그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중온(中溫)과 고온(高溫)에서 거의 일치하였다.

  • PDF

고구마 가공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고구마 전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 Reclaimed from Sweet Potato Processing Sludge)

  • 김현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47-753
    • /
    • 2013
  • 고구마의 가공공정(절단, 성형, 세척) 중 발생하는 고구마 가공슬러지로부터 고구마전분을 회수하여 전분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재고하기 위해 회수된 고구마전분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고구마 가공 슬러지의 냉동저장에 따른 고구마전분의 특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고구마 가공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전분들의 총전분 함량은 94.1-95.6%의 범위에 있었으나 겉보기 아밀로오스와 인 함량은 냉동 고구마 가공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고구마 전분이 다른 전분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냉동저장 처리는 고구마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지사슬 분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고구마전분 입자의 결정구조를 변형시켰으며 무정형 영역을 감소시켰다. 이로 인해 고구마전분의 팽윤력과 페이스팅 점도특성은 감소하였으며 최대호화온도와 호화종결온도는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전체적인 결과를 고려할 때 고구마 가공 슬러지를 획득한 즉시 회수한 고구마전분은 고구마로부터 직접 분리한 고구마전분과 물리화학적 특성이 유사하여 상업적인 전분소재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냉동저장된 고구마 가공 슬러지로부터 분리 정제한 고구마전분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가공식품에 있어 이의 가공적성 및 최종품질에 대한 영향 조사가 선행되어야 할 것 같다.

생물학적 복구법(Bioremediation)의 원리와 응용 (The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Bioremediation)

  • 정재춘;박창희;이성택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13
    • /
    • 1996
  • 생물학적 복구법의 효율은 미생물 균수의 계수, 호흡율, 분해율 등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부작용 시험은 Daphnia,굴의 유충, 무지개 송어 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On-Site처리에 있어서는 산소 전달이 문제가 되는데 이에는 과산화 수소가 사용될수 있으며(벤젠계통의 용매), 유류오염 방제시에는 친유화적 질소 및 인을 첨가할 수 있다. 접종균주는 혼합균주 또는 순수 균주가 사용되는데 후자에는 Pseudomonas와 Phaneochate 등이 있다. 때로는 효울을 높이기 위해 효소를 첨가 하거나 광분해법과 병용되기도 한다. 토양의 유류오염물질, 예컨대 폐윤활유, 기계유, 오일 슬러지들을 처리할때는 토양상부 15∼20cm를 갈고 유류오염물질을 5%의 농도로 주입한다. 이 때 적정 pH는 7∼8, 탄화수소 질소 = 100 : 1, 탄화수소 : 인 = 800 : 1이며 적절한 배수가 필요하다. 지하 유류오염물질의 처리에 있어서는 특히 다량의 산소가 필요하며 해양유류오염물질의 처리에 있어서는 친유화성 비료를 첨가하면 효과가 있다 생물학적 복구법에 의해 대기오염물질 특히, 악취 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데 반응기로는 생물여과법과 생물세정기가 쓰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