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w-release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s of Aralia cordata Thunb. on Proteoglycan Release, Type II Collagen Degradatio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in Rabbit Articular Cartilage Explants

  • Baek, Yong-Hyeon;Seo, Byung-Kwan;Lee, Jae-Dong;Huh, Jeong-Eun;Yang, Ha-Ru;Cho, Eun-Mi;Choi, Do-Young;Kim, Deog-Yoon;Cho, Yoon-Je;Kim, Kang-Il;Park, Dong-Su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91-201
    • /
    • 2005
  • Background & Objective: Articular cartilage is a potential target for drugs designed to inhibit the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to stop or slow the destruction of the proteoglycan and collagen in the cartilage extracellular matrix.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alia cordata Thunb. in inhibiting the release of glycosaminoglycan (GAG), the degradation of collagen, and MMP activity in rabbit articular cartilage explants. Methods : The cartilage-protective effects of Aralia cordata Thunb. were evaluated by using glycosaminoglycan degradation assay, collagen degradation assay, colorimetric analysis of MMP activity, measurement of lactate dehydrogenase activity and histological analysis in rabbit cartilage explants culture. Results : Interleukin-la (IL-1a) rapidly induced GAG, but collagen was much less readily released from cartilage explants. Aralia cordata Thunb. significantly inhibited GAG and collagen releas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ralia cordata Thunb. dose-dependently inhibited MMP-3 and MMP-13 expression and activities from IL-1a-treated cartilage explants cultures when tested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02 to 0.2 mg/ml. Aralia cordata Thunb. had no harmful effect on chondrocytes viability or cartilage morphology in cartilage explants. Histological analysis indicated that Aralia cordata Thunb. reduced the degradation of the cartilage matrix compared with that of IL -1a-treated cartilage explants.

  • PDF

레몬그라스 오일을 함유하는 PCL마이크로캡슐의 특성과 방출거동 (Release Behavior and Characterization of PCL Microcapsules Containing Lemongrass Oil)

  • 박종권;김지은;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341-346
    • /
    • 2015
  • 본 실험은 액중건조법을 이용해 레몬그라스 오일이 함유된 PCL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고 교반속도와 PCL, PVA의 농도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PCL마이크로캡슐에 레몬그라스 오일의 함입은 FT-IR 분석에 의해 $1600cm^{-1}$$2900cm^{-1}$에서 특정 피크를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크기와 형태는 광학현미경과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마이크로캡슐의 평균 입자크기가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반속도(1500 rpm), PCL (1 wt%)과 PVA (1 wt%)의 농도로 제조하였을 때 가장 작은 입자가 형성됨을 확인하였고 PCL의 농도가 1.5 wt%일 때 레몬그라스의 포집효율이 77.5%이었고 PVA의 농도가 2 wt%일 때 포집효율이 69.8%이었다. UV-Vis 흡광광도법으로 방출 거동과 항산화 활성을 관찰하였다. 교반속도가 느리고 PCL의 농도가 0.5 wt%, PVA의 농도가 2.0 wt%일 때 방출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방출거동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Lysozyme의 Liposome 미세캡슬화와 유출 촉진 (Liposome-Microencapsulation of Lysozyme and Its Stimulated Release)

  • 김태종;김영숙;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99-404
    • /
    • 1996
  • Liposome내에 효소를 포집시켜서 식품가공공정에 응용하기 위하여 모델 효소로서 Iysozyme을 선택하여 dehydration-rehydration법으로 미세캡술화시킬 때 조제 조건이 포집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외부 환경 인자의 변화 및 유출 촉진제의 첨가가 liposome 내의 효소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MLV 현탁액을 bath sonicator에서 100 kHz로 2시간 초음파 처리했을 때 1ozyme의 포집효율이 90.9%로 가장 높았다. 초기 효소 첨가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단위 지방질당 포집 효소량은 거의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포집효율은 감소하여 1osozyme 50 mg/100 mg soy lecithin일 때 68% 수준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의 실험농도 범위에서는 매우 완만하였다. 효소를 포집한 liposome은 $37^{\circ}C$, pH 5.9에 저장하였을때에 가장 안정하였고 산성일수록 유출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일정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유출되었다. Tween 80 1.0%와 흔합했을 때 초기 24시간 동안에는 급격히 유출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완만히 유출되어 72시간 경과 후 85%까지 유출되었다. 또한 $Ca^{2+}$ ion을 25-5OmM첨가했을 때 초기 1시간동안 급격히 유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완만히 유출되었다.

  • PDF

Dissolution Properties of Phosphate Glasses with Trace Elements

  • Lee, Hoi-Kwan;Kang, Won-H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371-376
    • /
    • 2005
  • Phosphate glasses were prepared by melting quenching process, and glass formation and dissolution properties were studied. The glass forming region in the $K_2O-CaO-P_2O_5$ system is quietly agreed with the report by Mazurin OV et al. with $M_2O-M'O-P_2O_5$ system (M : monovalent cation, M'divalent cation). Conditionally these glasses have solubility from absorbing the moisture or water and then release elements with trace elements, and the therm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controllable by the $CaO,\;K_2O,\;P_2O_5$ contents. In the abnormal glass properties, this paper showed the possibility the present glasses can be a good candidate for one component of the slow released agriculture fertilizer.

산지(山地) 시비(施肥)에 관(關)한 고찰(考察) (Prospects and Effect of Forest Fertilization)

  • 이천용;박봉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109-115
    • /
    • 1988
  • Decrease of the planting area reduced fertilized area of forest. To accomplish the aims of natural regeneration, mini-rotation plantation, diminishing the rotation length, maintaining healthy forest and production of good quality timber, forest fertilization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improve the deteriorate situation, slow-release fertilizer applied on top soil needs to be developed and aerial application will give diminished cost. Fertilization with tending before tree felling in forest will increase the effect of fertilizer more, Proper quantity of fertilizer by tree species and soil fertility should be found out in the future, Street trees, environmental forest near city and ornamental trees in the residential areas could be also included in this field.

  • PDF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Schotky Barrier-Height Enhancement Layer on MSMPD Dynamic Characteristics

  • Seo, Jong-Wook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41-146
    • /
    • 2002
  • The effect of the wide-bandgap Schottky barrier enhancement cap layer on the performance of metal-semiconductor-metal photodetectors (MSMPD's) is presented. Judged by the dc characteristics, no considerable increase in recombination loss of carriers is resulted by the incorporation of the cap layer. However, about 45% of the detection efficiency is lost for the cap-layered MSMPD's even with a graded layer incorporated under pulse operation, and it was found to be due mainly to the capturing and slow release of the photocarriers at the heterointerface. The loss mechanism of the pulse detection efficiency is believed to be responsible for the intersymbol interference and the increased bit-error-rate (BER) observed in MSMPD's when used with a high bit rate pseudo-random-bit-stream (PRBS) data pattern.

RESPONSES TO MONENSIN AND OESTRADIOL IN STEERS GRAZING TWO TROPICAL PASTURES IN N. E. QUEENSLAND

  • Jones, R.J.;Minson, D.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권3호
    • /
    • pp.183-186
    • /
    • 1990
  • Monensin administered as a slow release capsule to Droughtmaster steers grazing mixed pastures containing Stylosanthes hamata or grass pastures fertilized with N, had no effect on growth rate over 111 day period. Monens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propionic acid (p<0.001) and decreased the level of butyric acid (p<0.01) in the rumen. The lack of response to monesin was partly attributed to the poor pasture conditions and growth rate of the steers during part of the experimental period. An implant of oestradiol improved growth rates during the period of poor forage quality and in the subsequent 56 days when pastures were of high quality following rain. Mean growth rates over the entire 157 days for control, monensin and monensin/oestradiol treatments were 0.37, 0.37 and 0.50 kg/d respectively. It was concluded that when pasture conditions are sufficient only for the maintenance of liveweight, production can be improved by an oestradiol implant but not by feeding an ionophore such as monensin.

완효성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토양 중 질소함량 변화 및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pound Fertilizer Contained Slow Release Nitrogen on Turfgrass Growth in Kentucky bluegrasss and on Nitrogen Change in Root Zone)

  • 김영선;김택수;함선규;방수원;이창은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1-110
    • /
    • 2009
  • 본 연구는 완효성 질소 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의 시비가 켄터키블루그래스 생육과 토양 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고자 2007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속효성질소복합비료(11-5-7)를 처리한 대조구(CF), M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MU 처리구(MU), IBDU 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를 처리한 IBDU 처리구(IBDU) 등 4개 처리를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비 후 속효성질소성분과 완효성질소성분의 경과시간에 따른 토양 중 변화와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과 같은 잔디품질과 잔디 생육량, 잔디밀도 등 잔디 생육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암모니아태 질소와 질산태질소는 모든 처리구에서 시비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나 총질소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질소질 비료 시비 후 30일까지는 속효성비료의 가용성 질소가 많았으나 시비 후 30일 이후에는 완효성 비료처리구에서 가용성 질소 비율이 증가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함량을 NF와 비교한 결과, 엽색지수는 CF, MU 및 IBDU에서 각각 1.4%, 2.5%, 2.3% 증가하였고, 엽록소함량은 16%, 25%, 26% 증가하여 MU와 IBDU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잔디생육량과 잔디밀도 조사에서 잔디생육량은 CF, MU 및 IBDU가 NF보다 각각 31%, 62%, 46% 각각 높았고, 잔디밀도는 104%, 185%, 148% 증가하였으며, 속효성비료처리구(CF)보다 완효성비료처리구(MU, IBDU)에서 잔디생육량 및 잔디밀도가 증가했다. 본 결과들을 통해 완효성 질소 함유비료는 속효성 질소에 비해 토양 중 가용성 질소의 함량을 높여 질소비효기간을 연장시키고, 염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잔디밀도를 향상시켜 잔디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건답 직파재배 논에서 질소비료 형태에 따른 시용효과 (Effect of Various Nitrogen Fertilizers on Rice Yield in Direct Seeding on Dry Paddy)

  • 박철수;정영상;이호진;주진호;서준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18-324
    • /
    • 2000
  • 건답 직파 재배 포장에서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와 유기질 비료의 시용 효과를 강원도 춘천시 천전리에 소재하는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 농장에서 포장시험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직파된 공시품종은 오대벼였다. 질소의 수준은 95년과 96년에는 $150kg\;ha^{-1}$를 표준으로 하였고, 97년 시험에서는 녹비 작물의 질소질 비료의 성분을 고려하여 기비와 추비를 합한 질소 수준을 $120kg\;ha^{-1}$로 하였다. 요소의 분시 방법으로 분시비율 40-0-30-30과 0-40-30-30 처리를 하고,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와 polymer resin을 입힌 완효성 비료로만 처리하였다. 요소 시용구에서 인산과 칼리는 각각 70kg과 $80kg\;ha^{-1}$수준으로 기비 처리하였다. 유기질비료로 춘천시 신북 농협에서 공급되는 계분 발효 퇴비를 $4,800kg\;ha^{-1}$기비시용에 $50kg\;N\;ha^{-1}$ 추비구와 $6,000kg\;ha^{-1}$ 기비만의 시용구를 두었다. 구당 면적은 $75m^2$이었다. 포장시험 결과 건답 직파 재배구의 수량은 요소 시용구에서 이앙 재배구의 80.7% 수준이었으며, 분시 방법간에 차이가 없었다. 유기질비료를 다량 시비한 $6,000kg\;ha^{-1}$구에서는 이앙 재배구 수량의 78.1%이었고, $4,800kg\;ha^{-1}$ 기비시용에 $50kg\;N\;ha^{-1}$ 추비구의 수량은 76.8%이었다. Polymer 입힌 완효성 비료구의 수량은 이앙 재배구의 81.0%이었다.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 시용구의 수량은 이앙 재배구의 96.8%로 높았다. 인산 입힌 완효성 비료의 시용 효과가 다른 비료에 비해 효과가 있는 이유는 고형의 단단하고 큰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료 성분이 서서히 용출되어 나와 효과적으로 작물에 공급된 한편 비료 성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온도가 낮은 춘천 지역에서 직파 재배에 따른 호맥 생육 기간이 짧아 질소 공급효과는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