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protection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1초

패턴분류를 위한 위락시설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분석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Discharge Characteristics in Leisure Facilities Areas for Pattern Classification)

  • 김용구;진영훈;박성천;김정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12호
    • /
    • pp.1029-1038
    • /
    • 2010
  • 우리나라는 기상학적으로 연중 총강수량의 약 2/3가 6~9월에 편중해서 내리고 있고, 지형적으로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구성되어 경사가급해 수해를 입을 가능성이매우 크다. 또한 산업화 및 도시화로인해 불투수층의 증가로 강수량의 대부분이 직접유출로 기여해 강우초기에 노면상의 오염물질을 급속히 하천으로 이동시켜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위락시설지역은 도시화에 따른 인구집중으로 지역민들에게 휴식공간 및 공원기능의 제공으로 비점오염원의 이동능력도 증가하여 수질관리가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락시설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분석을 위해 SOM(Self-Organizing Map) 이론을 도입하여 시험유역에서 측정된 유출 및 BOD, TOC자료에 대해 패턴분류를 수행하여 분할구역별 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BOD 농도는 4개 TOC 농도는 각각 4개, 6개 분할구역으로 구분되었으며 BOD 농도의 경우 Cluster1과 Cluster2가 TOC 농도의 경우 Cluster4와 Cluster5가 비점오염원 유출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초기강우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출량 자료 수집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이상치 자료를 정상적으로 측정된 수위와 유출량관계를 통해 추정된 회귀식을 이용하여 보완하여 이상치 자료를 활용하였다.

광물찌꺼기 적치장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 연구 (Study of Monitoring Methods for Maintenance Management of Tailings Dams)

  • 오삼주;김기준;송재용;최의규
    • 지질공학
    • /
    • 제26권4호
    • /
    • pp.473-484
    • /
    • 2016
  • 본 연구는 환경유해시설인 광물찌꺼기 적치장의 효과적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광물찌꺼기 적치장 유지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은 세분된 점검항목 및 평가항목의 선정을 통해 상세한 조사가 필요하며, 조사결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불량정도 및 그 진행성 여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모니터링 항목을 옹벽구조물(콘크리트 옹벽, 석축, 돌망태) 및 일반시설물(차수층, 복토층, 사면, 광물찌꺼기, 우수배제시설, 침출수, 식생)로 점검항목을 세분하고, 각 항목별 모니터링 결과에 대한 상태평가를 수행하여 등급 및 점수화를 통해 체계적인 유지관리가 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개선안에 따른 현장 적용성 평가 결과, 기존 모니터링에 비해 최대 16건(우수배제시설)의 하자 발생 건수가 추가로 확인되는 등 기존 모니터링에 비해 세부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등급에 따른 광물찌꺼기 적치장별 종합점수는 금장광산이 89.3점으로 가장 양호하고 거풍광산이 22.2점, 화천광산이 27.8점으로 가장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개선안을 적용할 경우, 보다 상세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항목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러한 정량적 평가는 향후 광물찌꺼기 적치장의 보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중점관리항목 선정, 유지보수 계획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탈면보호를 위한 폐유기물질의 활용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Waste Organic Matter for Slope Protection)

  • 박경식;황인상;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41-48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커피소비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연간 약 20만 톤의 커피박(Spent Coffee Grounds, SCG)이 발생되고 있으며 SCG는 폐유기물질로 대부분 음식물쓰레기로 분리되어 연간 27만 톤이 수분이 함유된 채로 버려져 심각한 환경적 이슈가 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커피박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화학적 특성분석과 중장기 생육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 기존의 기반재에 SCG를 혼합하는 경우 보습력의 증가와 유기물함량의 보강으로 초기발아나 초기생육은 기존 기반재에 비해 저조하나 중기적으로 발아와 성장이 촉진되는 현상을 보이며 특히 관수중단 등의 상황에서 기존 기반재에 비해 고사율이 낮고 양분의 부족으로 인한 여러 현상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SCG는 질소성분이 풍부한 폐유기물로 초기성장을 저해하는 특성이 있으나 보습능력과 유기물의 공급으로 장기생장에 유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존의 기반재를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재료인 것으로 판단된다.

리기테다소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에 관(關)한 연구(研究) (The Suitable Site for Planting Pinus rigida × P. taeda)

  • 이천용;이원규;박승걸;김갑성;오민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3호
    • /
    • pp.200-205
    • /
    • 1987
  • 리기테다소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부지방(中部地方)의 조림지(造林地)에서 91개(個) plot 를 대상으로 환경(環境), 토양(土壤) 및 기상인자(氣象因子)를 조사(調査)한 후(後) 지위등급(地位等級)을 외적기준(外的基準)으로 리기테다소나무의 생장(生長)에 관련하는 인자(因子)들을 다중회귀방법(多重回歸方法)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생장(生長)에 영향하는 인자(因子)의 중요도(重要度)는 평균최저기온(平均最低氣溫), 표고(標高), 토양습도(土壤濕度), 지형(地形), 경사(傾斜), 토심(土深), 풍충도(風衝度), 견밀도(堅密度),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의 순(順)이었고 (2)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는 인자(因子)는 온도(溫度)($x_1$), 표고(標高)($x_2$), 토양습도(土壤濕度)($x_3$), 지형(地形)($x_4$)으로서 $Y=2.6369+0.1982x_1-0.0021x_2+0.1935x_3+0.1201x_4$라는 다중회귀식(多重回歸式)을 얻었다. (3) 이 식(式)에 의하면 리기테다소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는 1월(月) 평균최저기온(平均最低氣溫)이 $-8^{\circ}C$ 이상(以上)으로, 표고(標高) 200m이하(以下), 토양습도(土壤濕度)는 적윤상태(適潤狀態)로, 산록(山麓), 계곡(溪谷) 또는 평탄지(平坦地)로서 한건풍충지(寒乾風衝地)가 아닌 곳이다.

  • PDF

명예훼손 소송의 위법성 조각사유로서의 공익성에 대한 연구 (A Critical Review on 'Public Interest' Defense in Libel Litigation)

  • 이재진;이성훈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0권
    • /
    • pp.141-176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명예훼손 소송에 있어 위법성 조각사유로서의 '공공의 이익'과 관련하여 한국 법원이 이를 어떻게 개념화하고 판결에 적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대상 판례들을 살펴본 결과 한국 법원이 공익성과 진실성, 상당성의 적용에 있어 공무원이나 정치인, 연예인의 경우 공익보다는 보도사실의 진실성이나 상당성에 더 비중을 두어 판결하는 반면, 기업인이나 일반인의 경우 판례 상에 진실성, 상당성의 부분에 있어서는 다소 과장이 있더라도 공익에 비춰 보도할 수 있다고 판시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상 법원이 공익성을 가진다고 판단하는 주제들은 (1) 국가안전보장과 사회질서 유지, (2) 반사회 범죄방지, (3) 대중계몽, (4)소비대중 이익보호와 사회적 손실방지로 구분할 수 있으나, 관련 기사들이 세부적 요건을 충족시킬 경우에만 면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한국 법원은 명예훼손 판단에 있어 공익성을 진실성의 부수적인 요건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공익성은 아직까지 위법성 조각사유로서의 독자적인 위치를 누리지 못한다. 그런데 최근 헌법재판소가 공익성의 적용범위를 과거보다 더욱 폭넓게 해석해야 한다고 판시한 바 있어 공익성 적용에 있어 그 적용양태와 범위에 대해서 한국 법원은 공익에 관련된 표현의 자유에 대해 더 깊이 숙고하고 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모래밭버섯 균근균을 인공접종한 소나무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비탈면의 녹화가능성 (Potentials for reforestation on forest fire-damaged slope land by transplanting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oculated artificially with Pisolithus tinctorius)

  • 정주해;이종규;이상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99-107
    • /
    • 2003
  • 모래밭버섯 (Pisolithus tinctorius) 균근균을 접종한 소나무와 접종하지 않은 소나무를 6개월간 육성하여 산불훼손지에 식재 3개월후에 묘목의 고사율을 조사한 결과,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의 경우는 3.5%만이 고사하였으나, 균근균 무접종 소나무 묘목는 29.5%만이 생존하였다. 모래밭버섯 균근균을 접종한 소나무 실생묘의 뿌리에 Y분지형의 균근이 형성되었고, 균근 형성율은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의 경우에는 약 82%, 무접종 소나무묘목은 52%로 나타났다.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을 무접종 소나무묘목에 비교하였을 때 3개월.6개월.9개월 경과시 체장은 각각 63%.35%.18%, 생중량은 각각 206%.114%.70%, 건중량은 각각 187%.109%.63% 높게 나타났고, T/R율은 산출한 결과 9개월 경과시 모래밭버섯 균근균 접종 소나무묘목은 1.75, 무접종 소나무묘목은 1.90으로 모래밭버섯 균근균접종 묘목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장이 균형있게 촉진되었다.

  • PDF

석축 산성의 계곡부 체성과 못(池)에 관한 연구 - 거창 거열성과 함안 성산산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all and Reservoir at the Valley Part of Stone Fortress - Focused on the Fortress of $Geoyeol-seong$ and $Seongsan-seong$ -)

  • 권순강;이호열;박운정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3호
    • /
    • pp.7-22
    • /
    • 2011
  • With the accumulations of outcomes from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mountain fortress of three kingdoms period, there have been studies about time-periodic territory range of mountain fortress, difference in the way(method) of construction, defence system and so 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is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valley part of stone fortress.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secure large quantity of fresh water for those who lived at mountain fortress. Especially when builders of fortress construct a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stone fortress, in advance they must sufficiently consider several option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s. First, when it comes to build a fortification on a ridge[or a slope] of a mountain, you have only to consider a vertical stress. However, when it comes to build a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a mountain, You must have more sufficient preparations for the constructing process. Because there are not only a vertical stress but also a horizontal pressure simultaneously. Second, a fortification of mountain fortress built by using unit building stone is a structure of masonry construction like brick construction, and the valley part of it is where the construction of the fortification begins. Third, when it comes to build a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a mountain, it seems that they use a temporary method such as coffer dam in o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fortification due to heavy rain. Furthermore, in response to a horizontal pressure a fortification is built by the way of its plane make an arch, or by piling up the soil with the plate method(類似版築) and earthen wall harder method(敷葉) they increas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ortification and its cutoff capacity. In front direction they put the reservoir facility for the fear that the hydraulic pressure and earth pressure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rtificatio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a mountain is done in the same oder as follows; leveling of ground(整地) ${\Rightarrow}$ construction of coffer dam ${\Rightarrow}$ construction of the fortification between the both banks of the valley ${\Rightarrow}$ construction of the fortification at bottom part of spill way(餘水路) between the both banks of the valley ${\Rightarrow}$ construction of spill way(餘水路) & reservoir facility ${\Rightarrow}$ construction of the fortification at upper part of spill way between the both banks of the valley. Coffer dam facility seems to be not only the protection device on occasion of flood but also an important criterion to measure the proper height of spill way or tailrace(放水路). This study has a meaningful significance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s the method of reduction of the horizontal pressure which the fortification at the valley part of a mountain takes, the date the construction was done, and wether the changes in climate such as heavy rainfall influence the process of construction.

한라산 구상나무림의 식생구조와 분포 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s in Mt. Halla)

  • 송국만;김찬수;고정군;강창훈;김문홍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5-425
    • /
    • 201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Abies koreana forests in Mt. Halla, and to provide basicdata for an ecological study on Abies koreana in Mt. Hall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 importance percentage(M.I.P,) of Abies koreana in the Youngsil and Bangaeoreum and the Azalea field were 28.3%, 23.6%, and 46.4%, respectively. The ratios of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to height were similar in all region, except in the Azalea field, where Abies koreana of various ages, both young and old, were found. The species diversity (H)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in the Youngsil and Bangaeoreum and in the Azalea field were 0.625 and 0.810, 0.731 and 0.848, and 0.342 and 0.757, respectively. A total of 52 community were distributed at locations higher than 1,300m above sea level. The proportions of each community in the whole Abies koreana forest were 56.5%(Azalea field), 11.0% (Youngsil trail at 1,550-1,650 m above sea level), and 8.1%(Janggumok and Kundurewat region). The total area of the Abies koreana forest was calculated to be 795.3ha by combining all the areas of each community. An Abies koreana forest with the largest area was found at locations 1,500-1,600 m above sea level, taking up 38.8% of the total Abies koreana forest area. For the slopes of the distributional area of Abies koreana, 46.1%(highest proportion) of the total area was $10\sim25^{\circ}$, and for the azimuth of the distributional area, 17.4%(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total area was $0-45^{\circ}$. The vegetation structure showed large differences between areas. It was found, however, that the distribution was mostly in the areas with a relatively gentle slope.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be done to forecast the possible changes in the differences in the vegetation structures between different areas caused by climate chang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monitor the Abies koreana and alpine plants in the subalpine zones of Mt. Halla, which are sensitive to climate change, to obtain the basic data that are necessary for the prot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ecosystem.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Social Exclusion on Suicidal Impulse of Senior Citize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djustment Resilience)

  • 김숙향;황경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63-27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자녀와의 동거유무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75세 이상 80세 미만이 자살 생각을 가장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은 학력이 낮아질수록 자살 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혼, 사별, 별거 등으로 혼자된 노인과 자녀와 비 동거 상태인 노인일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울기 검정 결과는 사회적 배제가 높은 집단의 적응유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노인의 자살생각이 자살행위로 이전되기 전 예방을 위한 사회적 차원의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며, 보호요인인 적응유연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후속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라이다 자료를 이용한 하천지역 인공 제방선 추출 (Construction of a artificial levee line in river zones using LiDAR Data)

  • 정윤재;박현철;조명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5-185
    • /
    • 2011
  • Mapping of artificial levee lines, one of major tasks in river zone mapping, is critical to prevention of river flood, protection of environments and eco systems in river zones. Thus, mapping of artificial levee lines is essential for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river zones. Coastal mapping including river zone mapping has been historically carried out using surveying technologies. Photogrammetry, one of the surveying technologies, is recently used technology for national river zone mapping in Korea. Airborne laser scanning has been used in most advanced countries for coastal mapping due to its ability to penetrate shallow water and its high vertical accuracy. Due to these advantages, use of LiDAR data in coastal mapping is efficient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significant topographic change in river zones.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for construction of a 3D artificial levee line using a set of LiDAR points that uses normal vectors. Multiple steps are involved in this method. First, a 2.5-dimensional Delaunay triangle mesh is generated based on three nearest-neighbor points in the LiDAR data. Second, a median filtering is applied to minimize noise. Third, edge selection algorithms are applied to extract break edges from a Delaunay triangle mesh using two normal vectors. In this research, two methods for edge selection algorithms using hypothesis testing are used to extract break edges. Fourth, intersection edges which are extracted using both methods at the same range are selected as the intersection edge group. Fifth, among intersection edge group, some linear feature edges which are not suitable to compose a levee line are removed as much as possible considering vertical distance, slope and connectivity of an edge. Sixth, with all line segments which are suitable to constitute a levee line, one river levee line segment is connected to another river levee line segment with the end points of both river levee line segments located neares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o each other. After linkage of all the river levee line segments,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is generated. Since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consists of the LiDAR points, the pattern of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is being zigzag along the river levee. Thus, for the last step, a algorithm for smoothing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is applied to fit the initial river levee line into the reference line, and the final 3D river levee line is constructed. After the algorithm is completed,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o construct the 3D river levee line in Zng-San levee nearby Ham-Ahn Bo in Nak-Dong river.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the constructed river levee line generated using a proposed method has high accuracy in comparison to the ground truth. This paper shows that use of LiDAR data for construction of the 3D river levee line for river zone mapping is useful and efficient; and, as a result, it can be replaced with ground surveying method for construction of the 3D river levee l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