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ide

검색결과 979건 처리시간 0.065초

Test turnaround Time for Complete Blood Cell Count using Delta and Panic Value Checks and the Q-flag Limit

  • Koo, Bon-Kyung;Ryu, Kwang-Hyun;Lim, Dae-Jin;Cho, Young-Kuk;Kim, Hee-Ji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66-74
    • /
    • 2012
  • Test turnaround time (TAT) is the lead time from reception to reporting. In the complete blood cell count (CBC), 4 units of the XE-2100 (Sysmex Corp., Japan) processed around 80% of quantity, 1 unit of the LH-780 (Beckman-Coulter Incorp., USA) processed around 10% and 1 unit of ADVIA-2120 (Siemens AG, Munich, Germany) processed around 10%. We analyzed the change in the TAT for the CBC for over 7 years, from January of 2005 to December of 2011. The delta check made alterations of delta to WBC, 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 and metamyelocyte, however, did not made them to band neutrophil, eosinophil, basophil and monocyte. The panic value check made alterations of panic value to 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 and monocyte. In the criteria of currently slide review, LH-780 and ADVI-2120 analyzers prepared suspect flags of "Blast, Imm NE2, Immature granulocyte, Imm NE1, Left shift, Variant lymphocyte, Atypical lymphocyte, Platelet clumps and NRBC". The New slide review in the XE-2100 analyzer altered the preparations of a smear slide more than a "Platelet clumps flag(${\geq}200unit$), a single flag excluding the "Platelet clumps flag (${\geq}250unit$) and a multiple flag (${\geq}200unit$)". Also, below the 240 unit, medical technologists prepared manual slides selectively according to their evaluations. The automatic reporting rate was 33.4% without alterations, whereas it was 41.0% without alterations, and was thus improved by 7.6%. The slide review rate was 15.2% before using the Q-flag limit, whereas it was 12.1% for a reduce 3.1%. TAT was 45 minutes without the creation alterations of the delta and panic value checks, whereas it was 35 minutes after making alterations of the delta and panic value checks and thus was shortened by 10 minutes.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delta and panic value checks and slide review criteria suitable for laboratory environment can reduce unnecessary smear slides, re-checking, re-sampling, re-testing, telephone inquiries and concentrated workloads during specific times of the day.

  • PDF

천연방벽 내 암반 절리의 수리-역학적 조건에서의 마찰회복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rictional Healing Behavior of Rock Joints in the Natural Barriers under Hydro-Mechanical Conditions)

  • 이용기;최승범;박경우;김진섭;김태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1호
    • /
    • pp.42-56
    • /
    • 2023
  •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심층처분시스템에서 천연방벽은 처분시설을 물리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최소 수십만년 이상 수행해야 한다. 천연방벽의 지구조적 장기진화평가를 위해서는 암반 절리의 장기거동 분석이 필수적이며, 여기에는 마찰회복 거동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암반 절리의 수리-역학적 조건 하 마찰회복 거동을 슬라이드-홀드-슬라이드(slide-hold-slide, SHS) 실험을 통해 실험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서로 다른 거칠기의 절리 시험편을 대상으로 역학적 및 수리-역학적 조건에서 SHS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역학적 조건에서 마찰회복률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거칠기가 큰 시험편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또한, 절리면에 작용하는 유효 수직응력이 작은 경우에 수리-역학적 조건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천연방벽 암반 절리의 마찰회복 거동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막 Hall 소자제작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fabrication of thin film Hall device(1))

  • 조판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6-19
    • /
    • 1976
  • InSb-Sn 박막 Hall소자를 InSb-Sn분말을 flash흡착법으로 슬라이드 글래스 위에 흡착하여 만들었다. 이 소자를 자속계로 사용할 때 특성이 재현성이 좋고 직선성이 양호하였다. InSb-Sn thin film Hall device Was drepared by flash evaporation of InSb-Sn powder on the Slide qlass. The Characteristics Curve of this device showcd good linearity and reproducibility.

  • PDF

전륜구동차용 등속 죠인트 부품의 정밀 냉간 단조 기술 연구 (Development of C. V. joint for FF car by precision cold forging)

  • 이정환;정형식;유재운
    • 오토저널
    • /
    • 제14권1호
    • /
    • pp.13-24
    • /
    • 1992
  • 1) 1/2 Scale Model 실험과 실제품 성형실험을 통하여 정밀 냉간단조에 의한 Tripod Slide Housing의 제조공정 설계기술을 확립하고, 4단계 성형공정으로 시제품 제작에 성공하였다. 2) Triod Slide Housing을 성형할 수 있는 4단계(전방압출, Heading, 후방압출, Ironing)의 금형을 설계 및 제작하여 시제품 생산에 적용하고, 관련 필요기술을 축적하였다. 3)XC 48 등 중,고탄소강의 소둔 실험을 통하여 소둔 조건에 따른 구상화율 및 경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고탄소강의 냉간단조시에 필요한 최적 소둔 조건에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축적하였다.

  • PDF

직선가이드프레스 구동부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Dirve for Lineaer-Guide Press)

  • 이영섭;황병복
    • 소성∙가공
    • /
    • 제9권2호
    • /
    • pp.171-178
    • /
    • 2000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optimization of the drive for linear-guide press which is one of mechanical presses. The design of linear-guide drive for a mechanical press is introduced and the drive for the linear-guide press is optimized for the improvement of load and velocit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optimization, the load capacity during stroke increases and the slide velocity decreases in working region, respectively. The new design could be suited to many applications in precision forming such as extrusion and the sheet metal-forming processes.

  • PDF

A New Material for Rapid and Easy Method of Plant Surface Imprinting

  • Bhat, R.B.;Etejere, E.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329-332
    • /
    • 1985
  • A simple new device for obtaining very clear epidermal imprints for light microscopic studies is discussed. This new device is developed from“Britfix”(polystyrene cement) which is non-toxic to the plant organs. It involves direct application of the material on the desired surface of the plant organ to obtain thin, transparent replica.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Britfix”is found to be useful for the study of epidermal anatomy, morphology and physiology. Epidermal imprints can be mounted on the microscope slide without a mounting medium. Permanent slide of these imprints can be kept for any desired period without any deterioration of the replica.

  • PDF

전자빔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MgO 박막의 증착 및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gO Thin Films Prepared by Electron Beam)

  • 이춘호;김선일;신호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171-1176
    • /
    • 2002
  • MgO 박막은 성장용 기판 또는 완충층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AC PDP의 유전체 보호막으로써 그 활용도가 넓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증착법에 의해 MgO 박막을 증착시켜 증착변수에 따른 MgO 박막의 성장특성을 연구하였다. 실험은 증착기판, 증착속도, 기판온도 등의 변화에 따른 MgO 박막의 우선배향성, 표면형상을 통하여 MgO 박막의 물성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Si 기판에서는 증착속도가 빠를수록 (111)우선배향된 박막을 얻을 수 있었고, 기판온도가 상온일때는 (200)에서 기판온도가 증가할수록 (220)의 peak이 관찰되었다. 비정질인 slide galss 기판일 경우에는 상온에서 MgO 박막의 (200)면의 우선배향을 얻을수 있었고, 온도에 의해 배향성이 (200)면에서 (111)면으로 바뀌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gO 박막의 배향성과 특성에 대한 관계를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