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C III malocclus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Angle III급 부정교합자의 악안면골격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OF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CASES)

  • 유영재;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57-468
    • /
    • 1991
  •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categorize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groups through analyzing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of craniofacial skeleton in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The material selected for this study consisted in standard lateral cephalogram of one hundred and fifty five children, seventy four boys and eighty one girls, aged 6 through 15 years, having Angle's class III malocclusion. On the basis of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horizontal skeletal classifications,16 groups were classified FMN-A-B, SE-FMN-A according to the Ba-SE-Me, Ba-SE/R. 2. The sequences that have relatively high frequency are as follow; a) Horizontal Group l b) Horizontal Group 3 c) Horizontal Group 5 d) Horizontal Group 9 e) Horizontal Group 4 3. In vertical skeletal classification, 8 group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MV/PP, PMV/OP, PMV/MP. 4. The sequences that relatively high are as follows; a) Vertical Group 1 b) Vertical Group 3 c) Vertical Group 4 d) Vertical Group 8.

  • PDF

Position of the hyoid bone and its correlation with airway dimensions in different classes of skeletal malocclus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Shokri, Abbas;Mollabashi, Vahid;Zahedi, Foozie;Tapak, Leil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0권2호
    • /
    • pp.105-11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on of the hyoid bone and its relationship with airway dimensions in different skeletal malocclusion classes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CBCT scans of 180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A point-nasion-B point angle into class I, class II, and class III malocclusions. Eight linear and 2 angular hyoid parameters(H-C3, H-EB, H-PNS, H-Me, H-X, H-Y, H-[C3-Me], C3-Me, H-S-Ba, and H-N-S) were measured. A 3-dimensional airway model was designed to measure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volume, and total and upper airway length. The mean crosssectional area, morphology, and location of the airway were also evalua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with P values <0.05 indica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mean airway volume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malocclusion classes(P<0.05). The smallest and largest volumes were noted in class II (2107.8±844.7 ㎣) and class III (2826.6±2505.3 ㎣), respectively. The means of most hyoid parameters (C3-Me, C3-H, H-Eb, H-Me, H-S-Ba, H-N-S, and H-PN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malocclusion classes. In all classes, H-Eb was correlated with the minimum cross-sectional area and airway morphology, and H-PNS was correlated with total airway length.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noted between H-Y and total airway length in class II and III malocclusions and between H-Y and upper airway length in class I malocclusions. Conclusion: The position of the hyoid bone was associated with airway dimensions and should be considered during orthognathic surgery due to the risk of airway obstruction.

New approach of maxillary protraction using modified C-palatal plates in Class III patients

  • Kook, Yoon-Ah;Bayome, Mohamed;Park, Jae Hyun;Kim, Ki Beom;Kim, Seong-Hun;Chung, Kyu-Rhim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09-214
    • /
    • 2015
  • Maxillary protraction is the conventional treatment for growing Class III patients with maxillary deficiency, but it has undesirable dental effect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an alternative modality of maxillary protraction in patients with dento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a modified C-palatal plate connected with elastics to a face mask. This method improved skeletal measurements, corrected overjet, and slightly improved the profile. The patients may require definitive treatment in adolescence or adulthood. The modified C-palatal plate enables nonsurgical maxillary advancement with maximal skeletal effects and minimal dental side effects.

Characterization of facial asymmetry phenotypes in adult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nd cluster analysis

  • Ha, Sang-Woon;Kim, Su-Jung;Choi, Jin-Young;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85-101
    • /
    • 2022
  • Objective: To classify facial asymmetry (FA) phenotypes in adult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C-III) malocclusion. Methods: A total of 120 C-III patients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OGS) and whose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images were taken one month prior to OGS were evaluated. Thirty hard tissue landmarks were identified. After measurement of 22 variables, including cant (°, mm), shift (mm), and yaw (°) of the maxilla, maxillary dentition (Max-dent), mandibular dentition, mandible, and mandibular border (Man-border) and differences in the frontal ramus angle (FRA, °) and ramus height (RH, mm), K-mean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ree variables (cant in the Max-dent [mm] and shift [mm] and yaw [°] in the Manborder).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differences in the FA variables among the clusters. Results: The FA phenotyp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1) non-asymmetry type (35.8%); 2) maxillary-cant type (14.2%; severe cant of the Max-dent, mild shift of the Man-border); 3) mandibular-shift and yaw type (16.7%; moderate shift and yaw of the Man-border, mild RH-difference); 4) complex type (9.2%; severe cant of the Max-dent, moderate cant, severe shift, and severe yaw of the Man-border, moderate differences in FRA and RH); and 5) maxillary reverse-cant type (24.2%; reverse-cant of the Max-dent). Strategic decompensation by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considerations for OGS planning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FA phenotypes. Conclusions: This FA phenotype classification may be an effective tool for differential diagnosis and surgical planning for Class III patients with FA.

전치부 반대 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REATMENT IN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 WITH ANTERIOR CROSSBITE)

  • 문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5-483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ects on anterior crossbite patients using chin cap and labiolingual arch appliance. In the present study, I statistically evaluated measurement values on a cephalogram before and after treatment form twenty anterior crossbite c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raniofacial patterns, cranial base increased after treatment. 2. In the maxillo-mandibular relationship, ANB and Facial convexity significantly increased. 3. In the denture patterns, occlusal plane, Ul to FH and Overjet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contrary overbite decreased significantly. Lower incisors inclined lingually. 4. In the soft tissue profile changes, lower lip protrusion was signifacantly improved.

  • PDF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들의 각 치료법에 따른 측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치의 비교 (Cephalometric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treatment methods in Class III malocclusion;)

  • 백형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8
    • /
    • 1997
  •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각 환자의 문제점들과 상태를 다양한 진단방법들을 동원하여 분석한 후에 가장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초진시에 치성 또는 기능성 또는 골격성인 원인들의 감별이 분명한 증례에서는 치료계획 수립이 큰 문제가 없지만, 감별이 모호한 증례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저자는 각 치료방법을 적용하여 치료한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 482명 (남;253,여 ;229)을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D군은 가철성 교정장치나 악기능장치를 사용하여 치료한 115명(남;64, 여;51), A군은 악정형장치로 치료한 210명 (남;111, 여 ;99), B군은 고정식 교정장치로 Camouflage 하여 치료한 63명 (남;30, 여 ;33), C군은 악교정 수술로 치료한 94명(남;48, 여;46)이었다. 초진시에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전후방, 수직적, 치성, 악골의 형태학적인 계측항목들을 선정하여 각 군에서 측정한 계측치의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네 군간의 유의성 여부를 검정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A각과 Nasion Perpendicular Plane에서 A점까지의 거리는 네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SNB, Wits, Nasion Perpendicular Plane에서 B점까지의 거리,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PDI의 값은 C,A,B,D군의 순이었지만 A군과 B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전안면고경, 후안면고경, 하전안면고경의 값이 남자에서는 C,B,A,D의 순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자에서는 C와 B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3. 남자에서 전두개저에 대한 하악체 길이의 비율, 하악체의 길이와 Symphysis의 길이는 C,B,A,D순으로 나타났으나 B군과 A군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여자에서는 Ramus height, 하악체 길이, 전두개저에 대한 하악체 길이의 비율이 네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Symphysis의 길이는 C군과 B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상악전치 치축은 C,B,A,D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네 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Nasolabial angle의 값은 C,A,B,D순으로 작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C와 A,B,D군 간에서만 나타났다.

  • PDF

골격성 3급 부정 교합을 지닌 법랑질 형성 부전증 환자의 복합적 치료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FOR AMELOGENESIS IMPERFECTA PATIENT WITH SKELETAL C III MALOCCLUSION)

  • 오정환;김학렬;황윤태;김여갑;류동목;이백수;윤병욱;전준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1호
    • /
    • pp.91-96
    • /
    • 2007
  •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전치부 개교합과 같은 골격적인 문제를 자주 동반하며, 이러한 경우 구강악안면외과, 보철과, 보존과, 교정과 의사들이 함께 치료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법랑질의 약화와 치아 우식증 등의 이유로 일반적인 교정치료를 시행할 수 없어 보철적 방법으로 치료하였다. 보존적, 보철적 방법을 이용하여 술전 교정과 같은 안정된 교합을 형성하였다. 악교정 수술을 시행하고 SAS 등을 이용하여 악간고정을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열궁 폭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sal and Dental Arch Width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이해경;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91호
    • /
    • pp.117-127
    • /
    • 2002
  • 본 연구는 전후방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I급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을 비교하였고, III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부조화가 폭경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Hyperdivergent군과 Neutral군으로 나누어 폭경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III급(ANB< 0$^{\circ}$) 부정교합자 중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상에서 하악 평면각(SN-Mandibular plane; 정상인의 평균 32 ${\pm}$ 5$^{\circ}$)이 1.5 SD이상(39.5$^{\circ}$이상)인 환자 37명 (남자 18명, 여자 19명 )을 hyperdivergent군(Group B)으로, 하악 평면각이 정상치의 0.5 SD이내인(32 ${\pm}$ 2.5$^{\circ}$) 40명 (남자 20명, 여자 20명)을 neutral군(Group C)으로 분류하였고 11개의 치과대학 교정과에서 선별한 정상교합과 정상적인 안모를 가진 성인 24) 중 41명(남자 20명, 여자 21명)을 정상교합군(Group A)으로 하여 이 세 군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내에서 수직적인 양상에 따른 폭경 비율은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 하악 기저골에 대한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상악에서는 III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더 컸고(p<0.001), 하악에서는 제 1대구치 부분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III급 부정교합군의 비율이 작아서(p<0.001) I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에 비해 기저골에 대해 상악 치아가 더 협측으로 경사되고, 제1대구치를 제외하고 기저골에 대해 하악 치아가 설측 경사되어 횡적인 치성보상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3.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치아간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분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4. 정상교합군과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기저골 폭경 비율의 비교에서 모든 부위에서 III급 부정교합군이 정상교합군보다 더 커서(p<0.0001) III급 부정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폭경이 하악보다 더 좁게 나타났다.

청소년기의 정상교합자에 대한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F CRANIOFACIAL SKELETON ON THE AGE OF PUBERTY WITH NORMAL OCCLUSION)

  • 백일수;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7-191
    • /
    • 1982
  • The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the cephalometric standards of Hellman dental age III B, IV A, IV C groups of the age of puberty and to aid for the case analysis and diagnosis of malocclusion.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was made from 365 subjects, that consist of 162 males, 203 females with normal occlusion, acceptable profile and no history of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tables of standards from the measurements by age, sex group were made. 2. All linear measurements of skeletal pattern in male were greater than in females. 3. The Bjork's sum was reduced gradually by aging in group I $396^{\circ}$, group II $395^{\circ}$, and group III $393^{\circ}$. 4. Posterior facial height to anterior facial height was 63% in group I, 64% group II, and 67% in group III. 5. The angulation of SNA and SNB were $81^{\circ}$ & $78^{\circ}$ in group I, $81^{\circ}$ & $78^{\circ}$ in group II, and $82^{\circ}$ & $79^{\circ}$ in group III.

  • PDF

한국 아동의 측모두부 수평 기준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rizontal Reference Planes in Lateral Cephalogram in Korean Children)

  • 김경호;최광철;이지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1-265
    • /
    • 1999
  • 환자의 진단이나 치료계획 수립 및 치료의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현재까지 여러 가지 수평 기준선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 정확성과 재현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기존의 연구도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수평 기준선을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후의 상태를 평가하는 성인 환자와는 다르게 성장기 아동에서는 발육단계에 따라 수평 기준선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수평 기준선의 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 아동의 골성숙도와 부정교합군 및 성별에 따른 Sella-Nasion (SN) 평면과 Frankfort-Horizontal(FH)평면이 이루는 각도와 FH평면과 다른 수평면 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성장기 남녀 아동 540명을 대상으로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과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SMA(Skeletal Maturity Assessment)를 이용하여 골성숙도에 따라 SMI 1-4를 A군, SMI 5-7을 B군, SMI 8-11을 C군으로 분류하고, 측모두부규격 방사선 사진 계측결과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골격성 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급 부정교합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군의 세 군으로 분류한 후 10개의 항목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골성숙도와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SN 평면과 FH 평면이 이루는 각도는 남자는 $8.27^{\circ}{\pm}2.31^{\circ}$, 여자는 $8.59^{\circ}{\pm}2.24^{\circ}$, 전체에서는 $8.42^{\circ}{\pm}2.28^{\circ}$였다. 3. FH 평면과 구개평면이 이루는 각은 골성숙도, 부정교합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교적 일정하였다. ($1.09^{\circ}{\pm}3.21^{\circ}$).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