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node cultur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7초

In vitro Conservation of Coleus forskohlii- an Endangered Medicinal Plant

  • Rajasekharan P.E.;Ambika S.R.;Ganeshan S.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2호
    • /
    • pp.135-141
    • /
    • 2005
  • Protocols for in vitro conservation was developed for Coleus forskohlii. Plants maintained both in field served as explant source. Shoot tips and single node cuttings were used to optimize protocols for in vitro multiplicati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0.54\;{\mu}M$ naphthalene acetic acid (NAA) and $8.87\;{\mu}M$ benzy-ladenine (BA) induced multiple shoots in shoot tips and nodes. Shoot multiplication was amplified with a gradual decrease of BA concentration, leading to its final omission after 4 months. Concomitant rooting on multiplication media enabled successful establishment extra vitrum. For in vitro conservation studie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2-3 week maintained in vitro plants under standard and reduced culture conditions (SCC, RCC). In vitro plants could be successfully conserved in full strength MS medium (FMS) under SCC for 6 months without subculture with full potential to regenerate, producing viable shoots and nodes. The root production remained unaffected due to conservation, showing high rooting activity in mannitol and low temperature treatments. Preset low temperature (15 and $10^{\circ}C$) and reduction in media constituents does not appear to favour conservation, although the former accomplished conservation levels equal to (FMS) under SCC.

좌식공간관습의 건축사적 함의 - 신발의 문제를 중심으로 -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the Floor-Sitting Culture in Korea - Focused on the Matter of Shoes -)

  • 조재모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1호
    • /
    • pp.83-98
    • /
    • 2012
  •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e concerning of simple behavioral pattern that whoever enters the inner space with taking off his shoes should go out from the position where he laid his shoes. The using of Ondol (floor heating room) and Maru (lifted wood floor) had changed the architectural space from chair-sitting to floor-sitting space, and it also made the behavior of taking off the shoes at the entrance of building and stepping on the lifted floor. This simple behavior has possibility to make lots of changes to the culture of architectural design. With this noticeable point, this paper is talking about the cultural feature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especially about the influence of tanking off and putting on shoes. The matter of shoes has changed diverse aspects of building and layout planning. It maximized the difference between front and rear part of building and characterized the lateral extension of Korean traditional house. The ritual space also had evolved from chair-sitting to floor-sitting space according to the type of ritual behavioral pattern. The change on the single building level had influenced on the layout planning of architectural complex. For examples, the parallel layout of ChangDeok-gung palace and the long sequential process to the main pavilion of Buddhist temple are the result of the matter of shoes. And NuGak(樓閣), the double-storied pavilion, on the axis of entering sequence's node is one of the unique planning elements that makes possible to go through the building without taking off the shoes and also makes upper level space for staying. In shor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at has the chair-sitting spatial origin of the East Asian cultural sphere has pursued new architectural issues and planning methods according to evolution to the floor-sitting culture.

큰용담의 기내증식에서 multiple shoot의 유기 (Multiple Shoot Formation of Gentiana axillariflora Leveille by in Vitro Culture)

  • 임정대;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8
    • /
    • 2000
  • 큰용담을 대상으로 실시한 체세포배의 형성, 재분화 체계의 확립 및 multiple shoot의 형성 등의 대량증식에 관한 일련의 실험의 결과는 다음 몇 가지로 요약된다. 큰용담의 잎절편을 2, 4-D 2 mg/ l 에 배양한 경우 callus 형성율이 90%, embrogenic callus 형성율이 70% 로 높은 형성율을 나타내었으나 실제 형성되는 체세포배의 발생 숫자를 조사하였을 때 2,4-D 단독처리시 보다 2, 4-D 0.5 mg/ l 와 BAP 0.5 mg/ l이 조합처리 시 잎절편체 당 18.8 개의 높은 체세포배가 형성되었다. 큰용담의 줄기와 마디를 배양한 결과 캘러스의 형성은 단독처리시 $20{\sim}30%$의 캘러스 형성율을 보인 반면 고농도의 2,4-D에 TDZ를 조합처리 하여 줄기마디를 배양한 경우 50% 이상의 우수한 캘러스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분화식물체는 단독처리에서 MS medium 에 BAP 2 mg/ l 처리한 줄기마디 배양에서 7개의 재분화 식물체를 얻음으로 해서 가장 높은 shoot 분화율을 나타내었다. 큰용담에서는 TDZ, BAP를 조합처리한 결과 TDZ 1 mg/ l 와 BAP 1 mg/ l 조합처리하였을 경우 multiple shoot를 형성하였으며 explant 당 $70{\sim}80$개의 식물체가 분화되었다. 식물체의 각 치상조직을 배양한 결과 정아 마디 줄기 순으로 식물체 많이 유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조직에서는 새로운 신초는 유도되지 않았다. 배양기간에서 대한 차이는 배양한지 30일 경과한것 보다 60 일이 경과한것에서 거의 모든 조직에서 2배 이상의 신초형성을 보였다.

  • PDF

Promoted Growth and Development of Carnation Plantlets In Vitro by Ventilation and Combined Red and Blue Light

  • Nguyen, Quan Hoang;Thi, Luc The;Park, Yoo Gyeong;Jeong, Byoung Ryong
    • 화훼연구
    • /
    • 제26권4호
    • /
    • pp.166-178
    • /
    • 2018
  • In this study, the principal objective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quality and vessel ventilation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physiology,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and contents of mineral nutrients of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Marble Beauty'. Single node cuttings stuck into the plant growth regulator (PGR)-free MS medium in containers covered with caps with or without a ventilation filter were cultured first four weeks under white and then additional four weeks under either white (control), blue, red, or red + blue light emitting diodes (LEDs) for 56 days. Interestingly, a ventilated culture condition not only reduced the percentage of the hyperhydricity, but also increased the total chlorophyll content (Chl a + Chl b) of the plantlets as compared to the non-ventilated condition. In addition, blue LEDs produced plantlets with the greatest number of shoots and red LEDs produced plantlets with the greatest shoot length. The quality of plantlets was improved under a ventilation condition. Besides, under a ventilated condition, red + blue LEDs raised APX activity, and blue LEDs not only raised the activity of the CAT, but also increased tissue contents of such elements as K, Ca, Mg, Zn, Mn and Fe. The red LEDs increased contents of B and Si under a ventilated condition, and Na accumulation under a non-ventilated condition. Thus, including blue or red LEDs as the light source in a ventilated culture condition will produce plantlets of carnation 'Marble Beauty' in vitro with improved quality.

LED가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기내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ght-emitting Diodes on In Vitro Growth of Virus-free Sweet Potato Plantlets)

  • 유경란;이승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490-498
    • /
    • 2017
  •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주의 기내 소식물체 생장에 미치는 LED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맛나미', '신천미', '연황미'의 소식물체에서 10mm 크기의 마디를 잘라 $0.2mg{\cdot}L^{-1}$ BA를 첨가한 MS배지에 배양하였다. 광질은 형광등을 대조구로 하여, 적색(660nm), 청색(460nm), 백색, 적:청(8:2), 적:청(7:3) LED를 20cm 거리에서 $150{\pm}5{\mu}mol{\cdot}m^{-2}{\cdot}s^{-1}$ 광합성유효광량자속(PPF)을 유지하였으며, 일장은 16/8(day/night)시간, 배양온도는 $25^{\circ}C$로 조절하였다. LED 광질에 대한 품종간 반응은 적색 LED에서 같은 방법으로 10품종의 마디배양을 하여 소식물체 생장을 조사하였다. 배양 3주 후에 줄기신장은 적색 LED에서 형광등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청색광에서 가장 낮았다. 줄기두께는 적:청(7:3)과 백색 LED에서 증가하였다. 생체중 및 건물중도 적색광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적색 LED에서 신초생육은 유의한 품종간 차이를 보였다. 줄기길이,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은 '신천미', '맛나미', '신황미' 등에서 컸다. 따라서 LED 광원을 이용한 고구마 마디배양은 적색 LED에서 3주간 배양하여 5cm 이상 키운 소식물체를 토양이식하는 것이 대조구인 형광등보다 배양기간을 1주 이상 단축할 수 있었다.

고구마의 경정조직 유래 기내 소식물체의 생장촉진과 순화 (Growth Acceleration and Acclimatization of In Vitro Plantlets derived from Apical Meristem of Sweet Potato)

  • 은종선;김영선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5-119
    • /
    • 1999
  • 고구마의 기내 소식물체의 생장촉진 및 순화율을 높이기 위하여 마디를 광혼합영양과 종속영양, 광독립영양 조건하에서 각각 배양하였다. Shoot길이는 3$0^{\circ}C$의 종속영양배양에서 11.9 cm로 가장 길었고 $25^{\circ}C$의 혼합영양배양에서 3.4cm로 가장 짧았다. 3$0^{\circ}C$에서 배양된 마디의 생육이 가장 빨라 마디수가 10.5개로 가장 많았지만 식물체는 도장되어 연약하였다 엽면적은 MF-처리구인 종속영양배양보다 MF+처리구인 혼합영양배양에서 2배로 넓었고 shoot의 건물률도 약간 높게 나타나 함수량이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투명화된 불량묘는 광혼합영양배양의 경우 $25^{\circ}C$와 3$0^{\circ}C$ 모두 14.8%였고, 종속영양배양에서는 $25^{\circ}C$에서 22.2%, 3$0^{\circ}C$에서 31.5%로 MF+처리구에서 훨씬 적게 나타났다. Sucrose-free배지의 경우 MF-처리구에서 배양 30일 후에 마디절편이 노랗게 변하고 결국 고사되었으나 MF+처리구의 광독립영양배양에서는 정상적인 식물체로 생장되었다. 또한 sucrose와 호르몬이 첨가되지 않은 MS기본배지에서 MF+처리구의 경우 마디절편의 생존율은 양호하였다.

  • PDF

갯봄맞이(Glaux maritima L.) 실생의 단마디배양을 통한 기내증식 (In vitro Multiplication through Single-Node Culture of Sea-Milkwort (Glaux maritima L.))

  • 배수지;강범창;정미혜;김수종;김창길;한증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3호
    • /
    • pp.461-471
    • /
    • 2016
  • 본 연구는 원예적 가치가 높은 멸종위기 해안식물인 갯봄맞이(Glaux maritima L.)의 기내번식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09년 개인 원예가로부터 갯봄맞이가 심겨진 화분을 분양 받아 줄기와 꽃의 색을 기준으로 'Red type'(RT)과 'Pistachio type'(PT)으로 구분한 후 본 연구의 식물 재료로 사용하였다. 분양 받은 모식물체는 예전 연구 보고에서와 일치하는 꽃, 삭과 및 종자의 외형을 나타내었다. 기내 파종 후 $4^{\circ}C$의 저온에서 4주 이상 처리하였을 때 종자 발아율이 최대에 달했는데, 이는 종자흡습에 이어서 저온처리가 종자의 발아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기내 실생은 모식물체와 동일하게 'RT'와 'PT' 표현형으로 분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새롭게 신장한 액아 유래 신초의 마디 수 합을 기준으로 판단한 증식 효율은 표현형과 배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했지만 기내 실생에서 절취한 제4절과 제5절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았다. 더불어, 'RT'와 'PT' 표현형의 마디를 BA $0.5mg{\cdot}L^{-1}$ 단용 배지와 BA $0.5mg{\cdot}L^{-1}$ + IAA $0.5mg{\cdot}L^{-1}$ 혼용 배지에서 각각 배양하는 것이 신초 분화율을 가장 높였다. 마디배양 유래 유식물체는 배양실에서 양호하게 기외 순화되었고, 비록 내륙 환경에서 담수 관수를 하는 재배법을 사용했지만 염습 자생지에서와 동일하게 유사일년생 생활환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갯봄맞이의 기내 번식에 관한 한 최초인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이 희귀 종의 서식지외 보존, 자생지 복원 및 원예용으로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various medium on mass propagation of in vitro cultured Platycodon grandiflorum with yellow green petals

  • Kwon, Soo Jeong;Han, Eun Ji;Moon, Young Ja;Cho, Gab Yeon;Woo, Sun Hee;Boo, Hee Ock;Koo, Jin-Woog;Kim, Hag Hyu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71-171
    • /
    • 2017
  • Propagation by crown division in Platycodon grandiflorum is too slow for producing many plants in a short time although the plants are unifor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the mass propagation for Platycodon grandiflorum containing yellow green petals via various medium compositions and the growth regulators. The nodes containing yellow green petals were used as materials to execute the study with a variety of MS medium concentrations. The 1/4MS medium showed the best development of adventitious root, while the 1/2MS medium exhibited the potential growth.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sucrose showed the better development and growth of both shoots and adventitious roots. Many adventitious roots were developed at the controlled culture medium at pH 4.8 with a tendency of suppression with higher levels of pH. Also, the cultivated node and leaf explants with the treatments of simple and combined applications with auxin and cytokinin at the 1/4MS culture medium with adding 5% of sucrose were us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growth regulators. The regeneration of plantlets at the 234single application showed a good result with the addition of BA $1mg{\cdot}L^{-1}$ and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adventitious roots appeared to be good at the addition of NAA $1mg{\cdot}L^{-1}$. For the combined applications, the regeneration of plantlets and the development of adventitious roots were prosperous at the combined applications with BA $0.1mg{\cdot}L^{-1}$ and IAA $0.5mg{\cdot}L^{-1}$. The addition of IAA for the leaf explants induced a number of plantlets that showed the potential regeneration, and the highest results was obtained from the combined applications of both BA $1mg{\cdot}L^{-1}$ and IAA $2.5mg{\cdot}L^{-1}$.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dventitious roots showed the satisfactory results at the combined application of both BA $1mg{\cdot}L^{-1}$ and IAA $0.5mg{\cdot}L^{-1}$.

  • PDF

헛개나무의 캘러스 형성 및 multiple shoot 유기 (Callus formation and multiple shoot induction of Hovenia dulcis Thunb.)

  • 엄승희;강원희;신동용;허권;최원철;이현용;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7-24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조직 배양에서 체세포배 유토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적절한 배지, 생장조절물질, 탄소원 그리고 배양 환경을 조사하였으며 대량 번식 시스템을 위해 체세포 배로부터 식물체로 재분화 하기전 세포 동조화와 건실한 유묘 생산에 최적인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강원도 양양 헛개나무 자생지에서 채취한 종자를 배배양하여 기내 발아시킴으로 기내 식물체를 얻었으며 이를 본실험에 이용하였다. 기내 발아후 7-14일 된 식물체의 자엽과 잎 절편을NAA를 처리한 배지에 배양했을 때 callus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shoot가 유기되었는데 NAA 0.5mg/에서 43.6%로 형성율이 가장 높았으며 절편체 당 shoot의 수도 2.8개였다. NAA와 BA 조합처리 하였을 때 BA 0.1mg/ + NAA 1mg/에서 38.1%의 형성율을 보였으며 절편체 당 shoot의 수는 4개 이상으로 유기 되었다. 체세포배는 NAA와 2,4-D의 단독처리 또는 BA와의 조합처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직접 체세포배 또는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하였다. BA 0.1mg/ + 2,4-D 1mg/ 또는 BA 0.1mg/ + NAA 1mg/ 에서 발생한 배발생 캘러스의 생장과 성숙 및 발아에 최적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을 때 GA3 1mg/ 을 처리하여 배 발아를 촉진시켰으며 자엽은 발달하지 못하고 하배축이 신장하여 유근이 발생한 형태의 유묘를 생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