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comet assa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초

조선소 배출수 및 주변 하천수의 생물독성 (Biologic Effect of Effluents from Shipyard and the Adjacent Stream Water on Four Cultured Organisms)

  • 서진영;김기범;안준건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7-192
    • /
    • 2006
  • 조선소에서 배출되는 처리수, 혼합방류수 및 주변 하천수가 양식 생물에 미치는 생물 독성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8시간 급성독성과 DNA 손상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생물종으로는 조선소 주변에서 양식되고 있는 넙치, 조피볼락, 피조개, 멍게가 사용되었으며, 48 시간 노출 후 치사율을 파악하였고, DNA 손상 정도는 Comet assay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급성독성 실험 결과, 넙치는 장평천에서 치사가 나타났고(26%), 조피볼락은 혼합방류수 1에서 치사가 나타났다(13%). 멍게는 고현천에서 10%의 치사율을 보였고, 피조개는 어느 시료에서도 치사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 사용되어진 어떠한 시료에서도 실험생물을 50%까지 치사시키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아 $LC_{50}$은 계산될 수 없었다. 넙치는 장평천과 혼합방류수에서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DNA 손상을 보여주었고, 조피볼락은 장평천에서 유의하게 높은 DNA손상이 나타났다(p<0.05). 멍게는 세탁폐수에서 유의한 DNA손상이 나타났지만, 피조개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DNA 손상을 보이지 않았다. 치사율과 DNA 손상을 고려하였을 때 조선소의 처리수와 혼합방류수보다는 장평천에서 놀은 생물독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방사선과 수은에 의해 유도된 Eisenia fetida 체강세포의 DNA 손상 및 수복 평가 (Evaluation of DNA Damage and Repair Kinetics in the Earthworm (Eisenia fetida) Exposed to Radiation and Mercury)

  • 류태호;모하마드닐리;안광국;김진규
    • 환경생물
    • /
    • 제29권1호
    • /
    • pp.68-73
    • /
    • 2011
  • E. fetida를 방사선과 수은에 각각 노출시킨 후, 체강세포를 추출하고 단세포 겔 전기영동 기법을 이용하여 DNA의 손상정도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수복 양상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방사선 조사 후의 시간이 경과할수록 대체로 DNA 손상정도가 감소했으며, 12시간 내에 모든 실험군의 DNA가 완전히 수복되었다. 정확한 수복 완료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OTM 값을 대조군과 비교해 보면 2.5와 5Gy는 방사선 조사 후 약 2시간, 10과 20 Gy는 약 3시간, 50 Gy는 약 12시간이 지나자 DNA가 완전히 회복된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지렁이를 80과 160 mg $kg^{-1}$ 농도의 염화수은(II)에 48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수은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배양토에서 72시간을 다시 배양했을 때 손상된 DNA가 완전히 수복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화적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생물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자료로 제시될 수 있으며, 향후 다양한 생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다면 동일한 유전독성 물질에 대한 생물종 간의 감수성을 비교 분석할수 있을 것이다.

도심하천 생태계의 수환경 평가를 위한 생지표 바이오마커 및 바이오인디케이터 메트릭 속성 및 다변수 생태 모형 (Multiple-biometric Attributes of Biomarkers and Bioindicators for Evaluations of Aquatic Environment in an Urban Stream Ecosystem and the Multimetric Eco-Model)

  • 강한일;강남이;안광국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6호
    • /
    • pp.591-60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바이오마커, 물리적 서식지 지표 및 화학적 수질지표를 종합하여 12-메트릭 생태평가 모형을 확립하였고, 도심하천에 적용하여 수생태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생태모형 적용을 위해 도심하천의 상류역의 대조군 지역($C_Z$), 중류의 전이대($T_Z$) 및 하류역의 오염지역(IZ)을 선정한 후, 모델값에 대한 계절별 변이특성을 분석하였다. DNA 손상도 분석은 혈액을 이용한 단세포 전기영동법(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SCGE)인 Comet assay 지표에 의거한 생지표 메트릭으로 이용되었고, Tail moment, Tail DNA(%) 및 Tail length(${\mu}m$)값이 분석되었다. DNA의 손상은 하류역의 오염지역($I_Z$)에서 분명하게 나타났지만, 대조군($C_Z$)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개체군 지표로서 비만도 지수인 $C_F$ 값 분석, 체장빈도 분포 지표 및 개체 이상도(Abnormality) 지표가 생물지표로서 이용되었다. 물리적 서식지 지표는 QHEI 모델을 이용하였고, 4개 메트릭이 분석되었다. 화학적 수질지표는 부영양화 지표인 인(P)/질소(N), 화학적 산소요구량 및 전기전도도 지표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를 종합해보면, 12-메트릭 생태모형의 생지표 속성은 대조군($C_Z$)지역에 비해 오염지역($I_Z$)에서 화학적 스트레스 지표(부영양화 지표)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들은 부분적으로 서식지 평가지표에 의해 영향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oxicoproteomic Analysi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in Rat Liver by DEHP

  • Son, Bu-Soon;Seong, Ah-Reum;Park, Seul-Ki;Kim, Wan-Jong;Ryu, Jae-Chun;Lee, Mi-Young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3권4호
    • /
    • pp.299-305
    • /
    • 2007
  • The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di (2-ethylhexyl) phthalate (DEHP) is a plasticizer used in polyvinyl chloride products ubiquitous in our daily lives. DEHP has potentially adverse effects on the liver, kidney, lung, heart, reproductive organs and endocrine systems. Many toxicological data on the DEHP toxicity have been stated, but complete protein profiles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DEHP-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rat lymphocyte was evaluated by Comet assay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for the first time. Moreover, DEHP-induced protein profile alterations were examined in rat liver by using toxicoproteomic tools. 34 protein spots in the liver were identified to be significantly deregulated by DEHP on the 2-dimensional gel. Among them, 20 spots were up-regulated and 14 spots down-regulated by DEHP.

Resin-Based Root Canal Sealer의 생체 적합성 평가 (The Biocompatibility Evaluation of Resin-Based Root Canal Sealers)

  • 김형선;전성민;문종현;이광원;유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1호
    • /
    • pp.95-104
    • /
    • 2007
  • I. Objective The primary requirement of an endodontic root canal sealer is the biologic compatibility, because they remain in close contact with living periapical tissu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he evaluation of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of resin-based root canal sealers, AH 26 and ADSEAL. II. Material & Methods In this study,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human oral cancer cells (KB) and mouse osteoblasts (MC-3T3-E1) were used. Specimens of AH26, ADSEAL were eluted with culture medium for 1, 3, 5 and 7 days. Cytotoxicity was evaluated by using 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assay (MTT assay) for mitochondrial enzyme activity and cell viability. Genotoxicity was evaluated by using alkalin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Comet assay). Also cell apoptosis induced by AH 26 was detected by Hoechst33258 staining. III. Results AH 26 and ADSEAL exhibited cytotoxic effects in all investigated cell groups. Genotoxicity was also noted for both sealers in mouse osteoblasts (MC-3T3-E1). But, ADSEAL presented significantly low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compared with AH 26.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induced by AH 26 resulted in apopotosis. IV. Conclusion Our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the recently invented ADSEAL has better biocompatibility than another resin based root canal sealer, AH 26. However ideal root canal sealer should have not only biocompatibility but also satisfactory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sealing ability and stability. Thus continuous studies and developments should follow.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Jurkat 세포주 DNA 손상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dible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Flammulina velutipes, Lentinula edode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on DNA Damage of Jurkat Cell Line)

  • 조윤정;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4-39
    • /
    • 2015
  • 본 연구는 식용 버섯의 조리방법에 따른 항산화 생리활성의 평가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통해 조리방법을 달리한 버섯 추출물의 유전독성학적 방호효과를 살펴보았다. Human lymphocyte에 조리방법을 달리한 3가지 버섯(느타리, 팽이, 표고)의 추출물을 처리하고, hydrogen peroxide($H_2O_2$)로 산화적 손상을 준 후, DNA 감소 효과를 Comet assay로 평가한 결과, 모든 시료군에서 산화적 손상에 의한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3가지 버섯 모두 비조리군이 조리군보다 높은 효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조리과정에 의한 페놀성 화합물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조리군 중에서 볶기와 전이 비교적 낮은 DNA 손상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은 조리 시 첨가되었던 대두유의 가열 산화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조리된 버섯은 생버섯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감소효과가 낮으나,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손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네 가지 조리법(굽기, 데치기, 볶기, 전) 중 DNA 손상 감소에 효과적인 조리법은 대두유를 사용하지 않은 굽기와 데치기인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술기를 이용한 정계정맥류절제술이 정자 핵 내 DNA Integrity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crosurgical Varicocelectomy on Human Sperm Nucleus DNA Integrity)

  • 김기영;이재석;지희준;김종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3호
    • /
    • pp.245-251
    • /
    • 2010
  • 목 적: 인간 정자 핵 내의 DNA integrity는 배아의 발달 및 임신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DNA integrity가 손상된 경우 불임과 유산의 원인이 된다고 하며, 정계정맥류는 DNA 손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술기를 이용한 정계정맥류절제술로 정계정맥류를 교정을 하였을 때 정자 핵 내 DNA integrity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2006년 4월부터 2007년 4월까지 불임을 주소로 미세술기를 이용한 정계정맥류절제술을 받았던 18명의 환자에서 수술 전 후에 정액검사의 다른 지표들과 함께 정자 핵 내 DNA integrity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조사하였다. 정자 핵 내 DNA integrity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comet assay를 시행하였고, comet assay를 통한 DNA 손상 정도는 DNA fragmentation index (DFI)로 나타내었다. 결 과: 수술 후 4개월에 모든 환자에서 재발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DNA 손상 정도를 나타내는 평균 DFI는 수술 전에 19.3%, 수술 후에 13.7%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수술 전 DFI가 10 이상으로 비정상인 14명의 환자들 중 12명 (85%)에서 개선 소견을 보였으나, 수술 전 DFI가 10 미만인 정상 환자 4명에서는 1명 (25%)만이 개선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정자의 밀도, 운동성, 생존성에서 호전 양상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미세술기를 이용한 정계정맥류절제술을 통한 수술적 교정은 정액검사상의 다른 지표의 개선 뿐 아니라, 정자 핵 내 DNA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정계정맥류의 수술적 교정으로 정자 핵 내 DNA integrity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양호한 정자를 많이 얻을 수 있어 자연임신이나 보조 생식술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Benzo(a)pyrene 유도 DNA 손상에 대한 Genistein과 청국장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Genistein and Korean Fermented Soybean (Chungkookjang) Extract against Benzo(a)pyrene Induced DNA Damage in HepG2 Cells)

  • 송은정;김현표;허문영
    • 약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376-383
    • /
    • 2008
  • Chungkookjang (CKJ) is a fermented soybean product and one of favorite traditional foods in Korea. In this study, the alcoholic extract from Korean fermented soybean (CKJ) and its one of major flavonoids, genistein were evaluated for their protective effect against B(a)P induced cytotoxicity and DNA damage in HepG2 cells. CKJ extract and genistein decreased B(a)P-induced cell cytotoxicity. CKJ extract inhibited DNA single strand breaks evaluated by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From RT-PCR study, it was revealed that CKJ extract decrease DNA damage induced in HepG2 cells expressing CYP1A1 and 1A2 by B(a)P. The metabolizing activities of CYP1A1 and CYP1A2, as measured by the 7-alkoxy resorufin O-deethylation (AROD) assay, showed that CKJ extract and genistein inhibited CYP1A1 and CYP1A2 activities. Genistein may contribute to these biological effects of CKJ extract at least in part. 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KJ extract and genistein may be useful for protection against B(a)P-induced cytotoxicity and DNA damage. Therefore, the alcoholic extract of Korean fermented soybean (CKJ) is suggested to be promising functional food which can prevent the cellular genotoxicity of dietary and lifestyle related carcinogens.

일부 자원 여성에서 모발염색 후 림프구의 DNA손상과 관련 요인 (DNA Damage in Lymphocytes after Hair Dyeing and Related Factors among Women Volunteers)

  • 조진아;오은하;설동근;이은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5권4호
    • /
    • pp.275-281
    • /
    • 2002
  • Objectives : To evaluate the DNA damage by hair dyeing in human lymphocytes Methods : Comet assay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NA damage in lymphocytes by hair dyeing. Twent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women volunteers whose age ranged from 55 to 67 year old. All subjects had no smoking history.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6 hours after hair dyeing. DNA damage was evaluated by means of the tail moments, which were quantified by a KOMET 4.0 image analysis system. Results : The tail moments before hair dyein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ubjects except for the high frequency group. The mean values of the tail moments in subjects with low and high frequencies of hair dyeing were 1.39 and 1.77, respectively (p<0.05). The tail moments after hair dyeing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ean values of tail moments in subjects before and after hair dyeing were 1.45 and 1.79, respectively (p<0.01). However, the difference levels of DNA damage in lymphocytes before and after hair dyeing were found to be slightly lower in both the dietary supplement taking group and high frequency group. Conclusions : The high frequency group appears to have a higher level of DNA damage than the low frequency group before hair dyeing. DNA damage in lymphocyt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olunteers after hair dyeing. In this study, the related factors such as high frequency and taking dietary supplements appeard to reduce DNA damage in lymphocytes after hair dyeing.

Cytotoxicity and Genotoxicity Study of CKD-712 in Mammalian Cell System

  • Kim, Eun-Young;Yun, Hye-Jung;Kim, Youn-Jung;Ryu, Jae-Chun
    • 한국환경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독성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6-186
    • /
    • 2003
  • CKD-712, named S-YS49 is a chiral compound derived from higenamine (one component of Aconite spp.) derivatives. To compare the cytotoxicity of CKD-712 between in the absence and in the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we performed trypan blue dye exclusion assay in Chinese hamster lung (CHL) cell. In CHL cells, the cytotoxicity (IC50) of CKD-712 was 92.9 $\mu\textrm{g}$/ml and 186.1 $\mu\textrm{g}$/ml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respectively. And we also investigated the induction of DNA damages in mammalian cells. To perform th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we determined optimum concentration in mouse lymphoma L5178Y cells using frypan blue dye exclusion assay Each IC20 of CKD-712 was determined the concentration of 23.4 $\mu\textrm{g}$/ml and 24.8 $\mu\textrm{g}$/ml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respectively. In the comet assay, DNA damage was not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23.4 $\mu\textrm{g}$/ml to 5.9 $\mu\textrm{g}$/ml in the ab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the presence of S9 metabolic activation system, DNA damage was not observed at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24.8 $\mu\textrm{g}$/ml to 6.2 $\mu\textrm{g}$/ml. From these results, it is assumed that CKD-712 may be metabolized to less cytotoxic metabolit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