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ulated acid rai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人工酸性雨가 處理된 盆植한 은행나무幼苗의 生長과 生理的 特性과의 相關 (The Relations betwee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tted Ginkgo Biloba L. Seedling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 김갑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26
    • /
    • 1987
  • One-year-old seedlings of Ginkgo biloba, potted in three different soils (nursery soil, mixed and sandy soil), were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pH 2.0, 3.0, 4.0 and 5.0) and tap water (control, pH 6.4) during the growing seasons (1985. 4. 28 - 1985. 10. 19) to examine the effects of acid rain on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 between seedling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ffects of soil types on the total, top and root dry weight per seedling were significant at 5% level, and those of the pH of the rain treated at 1% level. The total dry weight of the pH 3.0 sub-plots was the highest for nursery soil, while for mixed and sandy soils, those of the control and the pH 5.0 sub-plots were the highest, respectively. 2. The leaf surface areas of pH 2.0 sub-plots severely decreased after July, but those of other sub-plots were not affected. The correlations between growth and leaf surface area differed among soil-types, however,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September. 3. The injured leaf rate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levels of acid rain.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growth and injured leaf rate were found. 4. The lower the pH level of acid rain treated was, the more the chlorophyll content was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and the more severely it decreased at late growing season. A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in August, September and Octobfer. 5. The photosynthetic ability decreased rapidly after July with decreasing pH levels.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owth and photosynthetic ability was found in August.

  • PDF

인공산성비에 의한 볍씨발아 장해경감에 대한 Brassinosteroids의 처리효과 (Soaking Effects of Brassinosteroids on Germination of Rice Under Simulated Acid Rain)

  • 김상국;최충돈;이승필;이상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7-61
    • /
    • 1999
  • 본 연구는 밀양 23호와 내풍벼 볍씨를 Brassino-steroids에 24시간 침종 후 인공산성비에 7일간 발아시킨 후 생육, 발아율, 유기산 함량 등 몇 가지 조사를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인공 산성비의 조성은 sulfate가 $427.9mg\;kg^{-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nitrate로 $130.6mg\;kg^{-1}$이었다. 초장은 밀양 23호에서 인공 산성비 처리구보다 식물생장조절제 처리구가 길었으나 내풍벼에서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감소하였고 근장은 밀양 23호에서 인공 산성비 처리구보다 식물생장조절제 처리구에서 높은 뿌리의 신장 효과를 보였다. 발아율은 밀양 23호에서는 인공산성비 단일 처리구가 84.3%인 것보다 모든 생장조절제 처리에서 88.3%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유기산 함량은 밀양 23호에서는 인공 산성비 처리구에서 succinic acid와 acetic acid가 각각 $878,419{\mu}g$으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고 hBR처리에서는 농도가 낮은 $10^{-3}mg\;kg^{-1}$에서 succinic acid와 acetic acid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epiBR처리에서는 acetic acid는 농도가 높을 때, succinic acid는 농도가 낮을 때 함량이 증가하였다.

  • PDF

고추의 발아 및 역병 발생에 미치는 인공산성비의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Treatment on the Germination Rate and the Phytophthora Rot of Capsicum annum)

  • 차병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7-216
    • /
    • 1996
  •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아질수록 고추씨의 발아에 걸리는 시간은 단축되었으며 발아율은 향상되었으나 어린 싹에게는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어린 고추모는 이미 자란 식물체에 비하여 산성비에 훨신 더 민감하게 작용하였다. 산성비의 전형적인 가시피해증상은 잎에 나타나는 흰색 반점이었으며, 빗물의 pH가 낮을수록 더 빨리 더 심하게 나타났다. 고추의 역병은 일반적으로 인공산성비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빨리 발병하였으나, 인공산성비의 pH가 아주 낮을 때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오히려 병의 발생이 줄어들었다. 인공산성비 처리중에 역병을 접종하였을 때는 처리 전에 접종하였을 때보다 병이 더 빨리, 더 심하게 나타났다. 역병의 발생이 가장 심했던 것은 역병의 접종시기와는 관계없이 pH 4.0 또는 4.5인 빗물을 처리하였을 때였다.

  • PDF

구성성분이 다른 인공산성비에 의한 토양의 양이온 용탈에 관한 연구 (Leaching of Soil Cations by Simulated Acid Rains of Different Compositions)

  • 유관식;민태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7-413
    • /
    • 1998
  • 토양의 구성광물이 전혀 다른 광질토양인 규암(Eutrochrepts)과 화산회 토양인 평대(Melanudands)토양을 $2^{{\prime}{\prime}}{\times}30cm$ column에 각각 충진 후 구성성분($SO_4:NO_3$의 비율)이 다른 pH 2.0의 인공산성비(1, 2, 5 pore volume)를 토양에 처리한 결과, 산성비 구성성분에 있는 음 이온의 토양흡착은 평대(화산회)토양에서 규암(광질)토양보다 아주 많았으며, 평대토양에서 $SO_4$$NO_3$ 흡착이 커서 염기의 용탈이 적었으며 $SO_4$의 흡착이 $NO_3$의 흡착보다 많아 산성비의 구성 성분중 $SO_4$가 적고 $NO_3$의 양이 많은 강우에서 염기의 용탈이 많았다. 한편 규암토양은 $NaNO_3$$Na_2SO_4$ pH의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에 $NO_3$$SO_4$의 흡착이 적어 상대적으로 대응 음이온이 많아 염기의 용탈이 많았고 토양이 산성화되었으며, 토양염기의 용탈양율은 규암토양에서 컸다. 평대 토양에서는 산성비 구성 성분간의 차이로 염기의 용탈양 차이가 컸고 산성비의 구성 성분중 $NO_3$$SO_4$ 보다 많은 산성비 처리에서 Ca, Mg을 더 용탈시켰다. 산성비에 의한 토양염기의 용탈은 Ca>Mg>K의 순으로 많았고, 평대토양은 주로 표토, 규암토양은 전 토층을 통하여 비교적 고르게 일어났다.

  • PDF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decomposing leaf litter

  • Cha, Sangsub;Lim, Sung-Min;Amirasheba, Bahitkul;Shim, Jae-Ku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23-233
    • /
    • 2013
  • Acid deposition is one of the mos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ecosystems. The present study surveyed the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leaf litter mass loss and microbial community in the decomposing leaf litter of Sorbus anifolia in a microcosm at $23^{\circ}C$ and 40% humidity. Microbial biomass was measured by substrate-induced respiration (SIR) and phospholipid fatty acids (PLFAs), and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omposition of PLFAs at each interval of decomposition in litter sample and at each pH treatment. The microbial biomass showed peaks at mid-stage of decomposition, decreasing at the late stage. The leaf litter mass loss of S. anifolia decreased with decreasing pH during early and mid-decomposition stages; however the mass loss becomes similar between pH treatments at late-decomposition stage. The acidification remarkably lowers the microbial biomass of bacteria and fungi; however, microbial diversity was unchanged between pH treatments at each stage of litter decomposition. With changes of decomposition stage and pH treatment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replacement and compensation of microbial species. Fungi/bacteria ratio was considerably changed by pH treatment. The PLFA profile showed significantly larger fungi/bacteria ratio at pH 5 than pH 3 at the early stage of decomposition, and the difference becomes smaller at the later decomposition stage. At low pH, pH 3 and pH 4, the fungi/bacteria ratios were stable according to the litter decomposition stages. Simulated acid rain caused decreases of 10Me17:0, 16:1${\omega}$7c, 18:1${\omega}$7, 15:0, but increase of 24:0. In addition, litter mass lo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icrobial biomass measured by SIR and PLFA on the decomposing leaf litter.

쿠퍼 수화제 살포시 마늘에 미치는 인공산성비의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arlic in spraying copper hydroxide solution)

  • 정봉진;이성달;명을재;김용태;김승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5-182
    • /
    • 2002
  • 본시험은 쿠퍼 77% 수화제 살포에 따른 산성비가 마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공 산성비만을 마늘에 처리한 결과 경미한 백화 현상이 발생되었고, 잎이 구부러지고 표피세포가 손상을 받았으며 기공이 열려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인공산성비를 처리한 후 쿠퍼 수화제를 처리할 경우 더욱 심했지만, 마늘수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마늘에 대한 구리 이온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황산구리 희석액을 살포한 결과 구리 이온으로 100 ppm 이상의 농도에서 백화증상이 발생되었다. 쿠퍼 수화제 희석액에 산을 첨가하여 pH를 낮추면 구리 이온의 용출량이 수용해도 이상으로 크게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산성비가 처리된 후 쿠퍼 수화제를 살포한 마늘잎에서 인공산성비 무처리구에 비해 구리이온의 잔류량이 증가되었다. 인공산성비에 의해 피해를 입은 마늘에 동제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탄산칼슘을 쿠퍼 수화제와 혼용하여 살포하면 백화증상을 줄일 수 있었다.

산성우(酸性雨), 건조(乾燥) 및 식염수(食塩水) 처리(處理)에 따른 잣나무와 은행나무 잎의 조직변화(組織變化) (Histological Changes in Pinus koraiensis Needles and Ginkgo biloba Leave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Drought and Salt Solution)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3권1호
    • /
    • pp.55-62
    • /
    • 1986
  • 본(本) 연구(硏究)는 잣나무와 은행나무에 대하여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 건조(乾燥) 및 식염수(食鹽水)를 처리(處理)하여 가시적(可視的) 엽피해(葉被害)를 유발(誘發)시켰을 때 수종간(樹種間) 및 처리간(處理間)의 엽피해(葉被害)에 대한 조직변화(組織變化)를 알아보고자 시도(試圖)되었다. 잣나무의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관찰(觀察)된 것은 엽육조직(葉肉組織)의 파괴(破壞)였으며, 산성우(酸性雨)에 의한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는 표피(表皮)가 파괴(破壞)되었으며, 건조(乾操)에 의한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는 표피(表皮), 엽육조직(葉肉組織) 및 내피(內皮)가 수축되거나 변형(變形)되었으며, 식염수(食鹽水)에 의한 피해(被害)는 사부(篩部)와 이입조직(移入組織)(transfusion tissue)의 파괴(破壞) 등이 각각 특이(特異)한 점으로 나타났다. 한편, 은행나무 피해엽조직(被害葉組織)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관찰(觀察)된 것은 해면조직(海綿組織)의 파괴(破壞)였으며 산성우(酸性雨)에 의한 피해(被害)로는 표피(表皮)와 책상조직(柵狀組織)의 파괴(破壞), 건조(乾操)에 의 한 피해(被害)로는 해면조직(海綿組織)의 수축 변형(變形), 식염수(食鹽水)에 의한 피해(被害)로는 내피(內皮)와 이입조직(移入組織)의 가벼운 비대현상(肥大現象)과 파괴(破壞) 등이 각각 특이(特異)한 점이었다.

  • PDF

인공산성비 처리가 백합나무 묘목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Above- and Below-Ground Growth of Liliodendron tulipifera L. Seedlings)

  • 윤준혁;이도형;우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04-214
    • /
    • 2008
  • 본 연구는 인공산성비 처리가 백합나무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pH 수준을 5.6, 4.9, 3.9, 2.9로 구분하고 묘목에 처리한 후, 지상부와 지하부의 부위별 건중량, 줄기의 길이생장, 토심별 뿌리생장을 조사하여 인공산성비 처리에 따른 백합나무 묘목의 생장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상부의 총건중량은 인공산성비 처리와 토양 종류별로 1% 또는 5% 수준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인공산성비의 산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상부의 건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하부의 총건중량은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인공산성비 처리 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토양종류에 대해서는 pH 2.9 처리구에서만 유의차가 있었다. 또한, 토양 A와 토양 C에서 pH 수준이 낮아짐에 따라 지하부 건중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줄기생장률은 6월-8월까지 인공산성비 처리(p<0.01)와 토양 종류 간(p<0.01 또는 p<0.05)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6월에 줄기생장이 큰 폭으로 생장하였다. 또한 pH 3.9 와 pH 4.9 처리구에서는 생장이 오히려 촉진되기도 하였으며, pH 2.9 수준에서는 생장이 억제되었다. 토심 0-7cm와 7-14cm에서의 세근과 미세근량은 pH 수준 간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토심 14-21cm 에서의 세근량은 pH 수준별 처리에 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의 종류는 전반적으로 미세근에 대해서만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다.

인공산성비가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의 지방산 구성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System in Garden Balsam(Impatiens balsamina L.))

  • 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2-159
    • /
    • 2011
  • 산성비에 대한 봉선화의 피해양상과 지질조성 변화 및 방어기작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2주 동안 여러 농도(pH 2.0, 3.0, 4.0, 5.6)의 인공산성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생육피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H_2O_2$ 함량은 증가하였다. 인지질과 당지질 모두 인공산성비에 의해 포화지방산이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선화에는 주로 3종류의 polyaimne이 존재하며 이들 모두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talase의 활성도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공산성비에 의해 활성산소 생성되고, 지방산의 변화를 일어나며, polyamine 증가와 catalase 활성 증가는 산성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어기작이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모래밭버섯과 비단그물버섯 균근균(菌根菌)으로 접종(接種)한 리기테다소나무 묘목(苗木)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of Pinus rigida × taeda Seedlings Inoculated with Ectomycorrhizal Fungi, Pisolithus tinctorius and Suillus luteus)

  • 고민규;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53-459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산성우(酸性雨) 수목(樹木)의 생장(生長)과 균근(菌根)의 형성(形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그리고 균근형성(菌根形成)이 기주식물(寄主植物)의 산성우(酸性雨)에 대(對)한 저항성(抵抗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수행(遂行)하였다. 리기테다소나무의 종자(種子)를 토양소독(土壤消毒)한 화분(花盆)에 파종(播種)하고, 모래밭버섯균(Pt) 비단그물버섯균(Sl)의 균계(菌系)로 접종(接種)한 후. pH 3.0, 4.5, 6.4의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황산(黃酸)과 실산(室酸)의 3:1 교석(橋釋))로 관수(灌水)하면서 5개월간(個月間) 야외(野外)에서 생육(生育)시켜서 생장량(生長量), 균근형성(菌根形成) 및 엽피해율(葉被率)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Pt균(菌)을 화분전체(花盆全體)에 혼합(混合)시켜 접종(接種)한 경우(境遇), 묘목(苗木)의 묘고생장(苗高生長)이 접종(接種)하지 않은 비교구(比較區)보다 45-90% 증가(增加)하였으며, Pt균(菌)을 band 형태(形態)로 토양(土壤)에 섞어 접종(接種)한 경우(境遇)에는 효과(效果)가 감소(減少)하였다. pH 4.5 산성우(酸性雨)를 사질토양(砂質土壤)에 처리(處理)한 경우(境遇), 묘고생장(苗高生長)을 10-55% 촉진(促進)시킨 반면(反面)에, pH 3.0 산성우(酸性雨)는 묘고생장(苗高生長)에 큰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pH 4.5 처리(處理)는 T/R율(率) 증가(增加)시키고, pH 3.0은 T/R율(率)을 감소(減少)시켰다.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는 균근형성율(菌根形成率)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며, Pt균(菌) 접종(接種)은 pH 3.0과 4.5의 산성우(酸性雨)에 의(依)한 엽피해율(葉被害率)을 28-58% 감소(減少)시켰다. Sl균(菌)도 묘고생장(苗高生長)을 촉진(促進)시키고 엽피해율(葉被害率)을 감소(減少)시켰으나, 그 효과(效果)는 Pt균(菌)보다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