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ple root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7초

공간보간법의 매개변수 설정에 따른 평균제곱근 비교 및 평가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Root Mean Square for Parameter Settings of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 이형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9-41
    • /
    • 2010
  • 본 연구는 미측정점의 값을 모델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공간보간방법들의 예측오차를 비교하고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동해안 해안 지역의 표고점을 대상으로 역거리가중법, 크리깅, 지역 다항식보간법, 방사기반함수의 공간보간법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을 동일한 조건하에서 실행하여 평균제곱근을 산출한 결과, 단순 크리깅 방법의 원형 모델이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래스터의 연산 결과, 방사기반함수의 다중방정식에 의한 예측 지도가 대상 지역의 불규칙삼각망 표현과 일치정도가 높았다. 또한 공간보간 실행시 선택된 조건하에서 제공되는 최적 파워값을 사용하는 것이 양호한 보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매복된 중절치의 재식 (SURGICAL REPOSITIONING OF AN IMPACTED INCISOR IN MIXED DENTITION)

  • 최수미;이긍호;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87-692
    • /
    • 2005
  • 매복치는 인접치의 이동 및 치근흡수, 악궁의 공간상실, 치성낭종 형성, 부분맹출에 의한 감염, 전위맹출 등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복치의 발육상태, 모양 매복된 위치나 각도에 따라 발치, 외과적 노출 및 교정적 견인, 재위치 및 치아이식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좌측 중절치의 맹출장애를 주소로 본과에 내원한 환아로, 내원 당시 상악 좌측 중절치는 치조골 내에서 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이탈하여 역위 매복되어 있었다. 역위된 정도를 고려했을 때 외과적 견인 및 노출을 이용한 교정적 처치를 수행하기보다는 재식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치아를 발거하여 치근 부위의 치낭이 건전함을 확인하고 정상적인 치조와 내로 재식한 후 resin-wire splint로 1주일간 고정하였다 치아의 생활력이 건전하고 치근형성이 미약하여 치수에 퍼한 처치는 하지 않았으며 그 후 일년 동안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여 치근의 성장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매복된 영구치의 매복된 위치나 각도가 정상 범주에서 지나치게 벗어나 예후가 불확실하더라도 무조건 발치하기보다는 환자와 보호자의 심리적인 면, 저작기능,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더욱 보존적인 시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PDF

Pre-adaptation to Cu during Plant Tissue Culture Enhances Cu Tolerance and Accumulation in Begonia (Begonia evansiana Andr.)

  • Ahn, Yeh-Jin;Park, Jong-M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3호
    • /
    • pp.271-276
    • /
    • 2007
  • A simple and efficient protocol was developed for culturing Cu-tolerant and Cu-accumulating plants via pre-adaptation to Cu during plant tissue culture. We induced multiple shoots from begonia (Begonia evansiana Andr.) leaf explants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naphtaieneacetic acid and benzyladenine. After 3 months, small plantlets were transferred to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0{\mu}M\;CuCl_2$ for pre-adaptation to Cu and cultured for 5 months. Then, these plantlets were individually planted in pots containing artificial soil. An additional 500 mg of Cu dissolved in 1/4 strength MS solution was applied to each pot during irrigation over the course of 2 months. We planted pre-adapted and control begonias in soil from the II-Kwang Mine, an abandoned Cu mine in Pusan, Korea, to examine their ability to tolerate and accumulate Cu for phytore-mediation. Pre-adapted begonias accumulated $1,200{\mu}g$ Cu/g dry root tissue over the course of 45 days. On the other hand, non-Cu-adapted controls accumulated only $85{\mu}g$ Cu/g dry root tissue. To enhance Cu extraction, chelating agents,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dipotassiun and pyridine-2,6-dicarboxylic acid (PDA), were applied. While the chelating agents did not enhance accumulation of Cu in the roots of control begonias, EDTA application increased the level of Cu in the roots of pre-adapted begonias twofold (to $2,500{\mu}g$ Cu/g dry root tissue). Because pre-adapted begonias accumulated a large amount of Cu, mainly in their roots, they could be used for phytostabilization of Cu-contaminated soils. In addition, as a flowering plant, begonias can be used to create aesthetically pleasing remediation sites.

변위매복된 상악전치의 자가이식을 통한 자발적 맹출 유도 (PHYSIOLOGIC ERUPTION INDUCTION OF TRANSPOSED IMPACTED UPPER INCISORS THROUGH AUTOTRANSPLANTATION)

  • 김재곤;이두철;오경선;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1-286
    • /
    • 2001
  • 매복치아의 치료는 단순한 관찰에서 외과적 노출후 교정적 견인까지 매우 다양하며, 매복치의 위치 이상이 심한 경우에는 자가이식을 고려한다. 치아의 자가이식술은 맹출되었거나, 매복치아, 변위맹출된 치아 혹은 기능을 못하는 치아를 동일한 개체의 구강내에서 기존의 발치와나 외과적으로 형성한 수용부에 재위치시키는 술식을 의미한다. 자가이식할 치아는 치근장의 $\frac{1}{2}{\sim}\frac{3}{4}$정도의 치근 발육시기가 치아가 쉽게 발거되고, 합병증이 적게 생기며, 치근의 최종길이가 충분하게 발육한다. 치근 미완성 치아 이식은 무조건 근관치료 하지 않고, 대부분 치수치유를 목표로 하게 된다. 본 증례는 구순열 부위의 과잉치와 함께 상악 우측 중절치의 맹출지연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환아로, 방사선사진상 상악 우측 중절치와 측절치의 변위매복을 발견하였으며, 치은내 자가이식술을 시행하여 자발적 맹출을 유도, 정상적 치근발육 및 맹출 후 치열의 양호한 배열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왕버들과 굴참나무의 뿌리, 줄기 및 가지에 있어서 이기목부(二期木部)의 해부학적(解剖學的) 비교(比較) (An Anatomical Comparison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Branch, Stem and Root of Salix glandulosa and Quercus variavilis)

  • 류하용;소웅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283-293
    • /
    • 1988
  • 산공재(散孔材)인 왕버들(Salix glandulosa Seemenn)과 환공재(環孔材)인 굴참나무(Quercus variabilis BI.)의 뿌리, 줄기 및 가지에 있어서 2기(二期) 목부조직(木部組織)을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비교관찰(比較觀察)하였다. 굴참나무의 뿌리의 도관분포(導管分布)는 줄기와 달리 산공형(散孔型)이다. 뿌리의 연륜(年輪) 경계(境界)는 양(兩) 수종(樹種)에서 대체(大體)로 불분명(不分明)하다. 도관요소(導管要素) 및 대섬유(大纖維)는 뿌리에서 제일 길고, 가지에서 가장 짧다. 또한 도관(導管)의 직경(直徑)은 뿌리, 줄기, 가지의 순(順)으로 좁아진다. 횡단면상(橫斷面上)에서 도관(導管)의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분포수(分布數)는 가지에서 제일 많고 뿌리에서 가장 적다. 도관요소(導管要素)의 천공(穿孔)은 두 수종(樹種) 모두 단천공(單穿孔)이고, 천공판(穿孔板)의 경사각(傾斜角)은 뿌리, 줄기, 가지의 순(順)으로 작아진다. 접선단면상(接線斷面上)에서 방사조직(放射組織)은 뿌리가 줄기나 가지에 비(比)해 높은 반면(反面),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분포수(分布數)는 뿌리에서 줄기나 가지에 비(比)해 적다.

  • PDF

Efficacy of Chaetomium Specie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Phytophthora nicotianae Root Rot in Citrus

  • Phung, Manh Hung;Wattanachai, Pongnak;Kasem, Soytong;Poeaim, Supattra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288-296
    • /
    • 2015
  • Thailand is one of the largest citrus producers in Southeast Asia. Pathogenic infection by Phytophthora, however, has become one of major impediments to production. This study identified a pathogenic oomycete isolated from rotted roots of pomelo (Citrus maxima) in Thailand as Phytophthora nicotianae by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ibosomal DNA sequence analysis. Then, we examined the in vitro and in vivo effects of Chaetomium globosum, Chaetomium lucknowense, Chaetomium cupreum and their crude extract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controlling this P. nicotianae strain. Represent as antagonists in biculture test, the tested Chaetomium species inhibited mycelial growth by 50~56% and parasitized the hyphae, resulting in degradation of P. nicotianae mycelia after 30 days. The crude extracts of these Chaetomium species exhibited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mycelial growth of P. nicotianae, with effective doses of $2.6{\sim}101.4{\mu}g/mL$. Under greenhouse conditions, application of spores and methanol extracts of these Chaetomium species to pomelo seedlings inoculated with P. nicotianae reduced root rot by 66~71% and increased plant weight by 72~85%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The method of application of antagonistic spores to control the disease was simple and economical, and it may thus be applicable for large-scale, highly effective biological control of this pathogen.

경색도별(莖色度別) 고려임삼근(高麗人蔘根)의 사포닌 양상(樣相) (Saponin pattern of Panax ginseng root in relation to stem color)

  • 박훈;박귀희;이종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3권4호
    • /
    • pp.222-227
    • /
    • 1980
  • 고려인삼근(자경종)(高麗人蔘根(紫莖種))의 중심부(형성층내부)(中心部(形成層內部))와 외피십피층(外皮十皮層)에 있는 ginsenoside를 고속액 체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分析)하고 경(莖)의 자색정도(紫色程度)와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Ginsenoside의 단순상관(單純相關)에 의(依)한 saponin 양상(樣相)의 유사도(類似度)를 경색도군간(莖色度群間) 같은 뿌리 또는 다른 뿌리간(間)에 두부위(部位)에서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경색도(莖色度)는 saponin 양상(樣相)과 관련(關聯)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Saponin 양상(樣相)은 부위(部位)의 출처(出處)에 관계(關係)없이 서도 다른 부위간(部位間)에 약간 달랐다. 각(各) ginsenoside 함량순위(含量順位)는 표피십피층(表皮十皮層)에서 $Rg_1>Re>Rb_1>Rb_2>Rc>Rg_2{\geq}Rd>Rf$이고 중심부(中心部)에서는 $Rg_1>Re{\geq}Rg_2{\geq}Rb_1{\gg}Rb_2>Rc{\geq}Rd>Rf$였다.

  • PDF

이용부위 및 채취시기에 따른 꾸지뽕나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and Time)

  • 최소라;유동현;김종엽;박춘봉;김대향;류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5-120
    • /
    • 2009
  • To obtain the information on antioxidant activity by harvesting parts and time in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total phenolic contents, flavonoid contents,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y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Cudrania tricuspidata were investigated. Total phenolic contents was the highest in leaf [$30.2{\sim}38.8\;mg/g$ dry weight (DW)] and followed by root bark, stem bark, fruit, root except bark and stem except bark. Among harvesting time, total phenolic contents of leaf was the highest as $38.1{\sim}38.8\;mg/g$ DW in May and June, and then decreased to October. Root bark harvested in April and May contained $26.6{\sim}27.8\;mg/g$ DW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total phenolic content fell to a very low values at 1.8 mg/g DW in February. Flavonoid contents was very high in leaf and root bark. Especially, root bark harvested in April had the highest of flavonoid contents as 23.2 mg/g DW. As a result of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s on flavonoid contents according to harvesting parts,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p < 0.001) with $0.57{\sim}0.97\;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s $RC_{50}$ value, that was, the concentration of sample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DPPH absorbance, was $13.7{\sim}20.5\;{\mu}g/mL$ in leaf so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very high. But SOD like activity of $1,000\;{\mu}g$ extract/mL MeOH was a low value of $0.3{\sim}9.2%$ in all samples.

생물검정 및 토양환경요인에 의한 인삼 뿌리썩음병의 발병예측 모형의 적합성 검정 (Fitness Analysis of the Forecasting Model for the Root Rot Progress of Ginseng Based on Bioassay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 박규진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20-24
    • /
    • 2001
  • 생물검정에 의한 유묘 이병율의 직접 조사치, 또는 근면 및 토양요인에 의한 이병율의 추정치를 이용하여 포장내에서의 년생별 지상부 결주율을 추정함으로써 토양에서의 인삼 뿌리썩음병 발병을 예측할 수 있는 시험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발병예측 모형의 용인별 결주율 추정치와 포장에서 결주율 조사치간의 적합성을 통계분석을 통해 조사한 결과, 유묘 이병율에 의한 결주율 추정치는 근권요인(토양 이화학성 및미생물상 밀도)에 의한 추정치에 비해 결주율 조사치에 대한 적합성이 더 높았다. 조사 포장수를 확대하여 유묘이병율에 의한 발병예측 모형식의 적합성을 재확인한 결과, 저년생 인삼의 결주율 추정치는 3년생 포장, 그리고 고년생 인삼의 결주율 추정치는 5년생 포장에서의 실제 결주율 조사치와 1%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일치하였다. 유묘 이병율에 의한 발병예측 모형식은 인삼 뿌리썩음병에 대한 토양 검정 차원에서 적용할 경우 재배예정지의 적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인삼 생육기간 중에 적용할 경우 고년생 포장에서의 병진전을 예측할 수 있어 조기수확 여부를 판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농업용저수지를 이용한 소수력의 연간발전량 추정 (Estimation of Annual Capacity of Small Hydro Power Using Agricultural Reservoirs)

  • 우재열;김진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6호
    • /
    • pp.1-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ydro power factors (e.g., irrigation area, watershed area, active storage, gross head) on annual generation capacity and operation ratio for agricultural reservoirs in Chungbuk Province with active storage of over 1 million $m^3$. The annual generation capacity and operation ratio were estimated using HOMWRS (Hydrological Operation Model for Water Resources System) from last 10-year daily hydrological data.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nnual generation capacity and the hydro power factors except gross head were high (over 0.87),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operational rate and the factors were low (below 0.28). The optimum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of the annual generation capacity were expressed as the functions of watershed area, active storage, and gross head. Also, the simple regression equation of annual generation capacity was expressed as a function of watershed area. The average relative root-mean-square-error (RRMSE) between observed and estimated values by the optimum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was smaller than that by the simple regression equation, suggesting that the former has more accuracy than the l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