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ilarity percentage analysi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유행관여에 따른 여성기성복 상표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20대 직장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Brand Image Positioning for Ladies' Ready-to wear According to Fashion Involvement - As Object of working women)

  • 박혜원;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93-403
    • /
    • 1992
  •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positioning strategies of brand Image for ladies' ready to wear by analysing the perceptual dimensions of working women. The subjects were de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ashion involvement, and in each group, a positioning map was composed by use of multidimensional scaling. 251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athered into stratified sample groups from working women in Seoul, being subdivided according to their each occupation and age. The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x^{2}-test$, 1-test,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lso, KYST, PROFIT, PREFMAP for multidimensional scaling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wo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degree of fashion involvement: high-involvement group, and low-involvement group. 2. From the analysis of the similarity of brand image, high involvement group percieved greater difference in brand image than low involvement group. 3. From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of brand attributes, the evaluations in self expression, fashionability, design, sales promotion activity, sociality, quality, fit showed differences bet-ween high involvement group and low involvement group. 4. From the analysis of the preference of brand image, the distribution of preference and ideal point were different between high involvement group and low involvement group.

  • PDF

영산강 하구역에 위치한 세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ree Estuarial Lakes of the Yeongsan River)

  • 조현진;나정은;이건주;이학영
    • 생태와환경
    • /
    • 제54권4호
    • /
    • pp.291-302
    • /
    • 2021
  • 본 연구는 영산강 하구에 위치한 세 호수들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포 양상 및 호소 간 군집 유사성을 확인하고 군집 구조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자 2014년 3월부터 2017년 11월까지 분기별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종 다양성은 영산호에서 가장 높았고, 평균 개체수는 금호호에서 가장 높았으며, 영암호는 다른 호수들에 비해 식물플랑크톤의 종수와 개체수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NMDS 분석 결과, 영산호와 금호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고, 세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온, DO, T-N, NO3-N, 전기전도도 등으로 확인되었다. Random Forest 분석을 통해 각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세 호수 모두 공통적으로 NO3-N의 영향력이 높았다. Indicator species analysis를 통해 확인된 각 호소별 지표종은 총 24종으로, 영산호에서 13종으로 가장 많았고, 영암호에서 2종으로 가장 적었으며, 호소별 지표종의 분류군이 구별되었다. SIMPER 분석 및 ANOSIM 결과, 영산호와 영암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유사성을 나타내었고, 금호호의 경우 다른 호수와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이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각 호수의 지점별 식물플랑크톤 군집 유사성은 지점에 따라 차이가 있어 식물플랑크톤 군집 형성에 대해 연락수로의 영향력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A Change of Vegetation at the Ecological Restoration Area of Simwon Valley in Jirisan National Park)

  • 정태준;김연경;김영진;정명희;박경희;신창근;박선홍;김영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94-304
    • /
    • 2021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복원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복원사업이 완료된 2017년도에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구 12개소와 대조구 4개소를 설치하였고, 2017년과 2020년의 상대우점치, 종다양도지수, 유사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었던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1.4552로 나타났고, 대조구와의 유사도지수에서는 1개 조사구가 1.32%로 분석된 것을 제외하고 모두 0%로 나타났다. 조사구의 종다양도지수 및 유사도지수가 매우 낮은 것은 복원사업 시 식재된 수목이 고사하거나 멧돼지 피해, 유수에 의한 침식으로 유실되는 등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지 않은 미식재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9538~2.3222로 나타났고, 유사도지수는 최대 8.33%까지 분석되었다. 국립공원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복원 공법 개발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과, 미식재 조사구의 천이과정을 분석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수도권 산업단지(클러스터)의 광역권 내부 및 외부 연계구조 분석 (An Analysis on the Linkage Structure of Industrial Complexes(Cluster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apital Region)

  • 구양미;남기범;박삼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1-195
    • /
    • 2010
  • 광역경제권 정책에 따라 산업단지 정책도 광역권 단위에서 연계구조를 구축하려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분석의 목적은 수도권 산업단지들을 대상으로 산업단지간 연계구조를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수도권 산업단지 입주업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광역권 내의 지역간 연계 현황을 파악하였다. 산업단지의 업종별 종사자수 자료를 이용하여 산업단지간 구조유사척도를 계산하고, 수도권 내부와 외부 산업단지의 유사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산업단지간 거리, 업종별 비율, 입지계수 등의 지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산업단지 허브-스포크 연계구조(안)를 도출하였다.

  • PDF

RAPD에 의한 지리산 내 산거울 집단의 공간적 상관관계 분석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of Carex humilis on Mt. Giri by RAPD)

  • 이복규;이병룡;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287-1293
    • /
    • 2010
  • RAPD에 의한 지리산 내 산거울 집단의 유전자 빈도와 지리적 거리에 따른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102 DNA 분절(밴드)이 107 개체에서 탐지되었다. 102 밴드 중 48(47.1%)개 밴드는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분집단간 다형성의 비교에서 거리 구간 I와 V가 가장 낮은 변이(16.7%)를 나타내었고, 거리 구간 VIII이 가장 높은 변이를 나타내었다(22.6%). 전체 다양도는 0.076이었다. 구간 VIII이 가장 높은 다양도(0.093)를 나타내었고, 구간 I가 가장 낮았다(0.063). 구간 사이의 유전적 유사도는 60 m 거리까지는 유사하였다. 지리산 집단에서 산거울은 강한 공간구조를 나타내고 있음이 RAPD 마커로 알 수 있었다. 이는 지리산 집단에서 낮은 이주자수와 개체들이 덩어리 모양의 분포를 나타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RAPD 마커로 산거울의 공간구조와 유전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Morphometric variation, genetic diversity and allelic polymorphism of an underutilised species Thaumatococcus daniellii population in Southwestern Nigeria

  • Animasaun, David Adedayo;Afeez, Azeez;Adedibu, Peter Adeolu;Akande, Feyisayo Priscilla;Oyedeji, Stephen;Olorunmaiye, Kehinde Stephe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298-308
    • /
    • 2020
  • Genetic diversity among Thaumatococcus daniellii populations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Nigeria were assessed using morphometric and molecular markers to determine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existing genetic relationship for its improvement,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tilisation. Populations from five locations in each of the six states were used for the study. Morphometric data were collected on folia characters and analysed for variability. Genome DNA was isolated from the plant leaf and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inter-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ISSR) to determine the allelic polymorphism, marker effectiveness and genetic relationship of the population.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variations in petiole length and leaf dimensions of the populations within and across the states. These morphometric traits are the major parameters that delimit the populations and they correlated significantly at P≤0.05. Analysis of the electrophoregram showed that the ISSR markers are effective for the diversity study. A total of 136 loci were amplified with an average of 7.16 loci per marker, 63.2% of the loci were polymorphic. The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revealed that seven factors accounted for 81.6% of the variation and the dendrogram separated the populations into two major groups at a genetic distance of 10 (about 90% similarity) with sub-groups and clusters. Most populations within the state had a high degree of similarity, nonetheless, strong genetic relationship exists among populations from different stat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s across the states suggests a common progenitor, which are likely separated by ecological or geographical isolation mechanisms.

상대적 계층적 군집 방법을 이용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의 군집분석 (Microarray data analysis using rel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 우숙영;이재원;전명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5호
    • /
    • pp.999-1009
    • /
    • 2014
  • 계층적 군집 분석은 분석 결과를 덴드로그램으로 쉽게 표시할 수 있어서 방대한 양의 마이크로어레이 자료를 탐색하기에 유용하며, 군집된 결과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계층적 군집방법은 두 군집간의 절대값 거리만을 고려하여 병합하기 때문에 군집 간의 상대적 비유사성은 설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 계층적 군집 방법을 소개하고, 마이크로어레이 자료와 같이 다양한 군집의 모양을 가진 모의실험 자료들과 실제 마이크로어레이 자료를 사용하여 상대적 계층적 군집방법과 기존의 계층적 군집 방법을 비교하였다. 두 계층적 군집 방법의 질적 평가는 오분류율, 동질성, 이질성 지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한·중 크로스오버 쇼퍼들의 모바일 앱 충성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Mobile app Loyalty of Cross-over Shoppers: A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 박은주;구진;박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93-303
    • /
    • 2018
  • Since 2009, consumers could access a new shopping channel called 'mobile shopping' with the generalization of smartphones. Mobile shopping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mphasizes convenience differentiated from internet shopping. A recent report introduced fashion products as powerful global drivers for mobile shopping sales. Korea and China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consumer mobile shopping experience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ross-over shopping orientation, perception of app attributes, and flow on app loyalty that compared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We obtained 652 usable questionnaires from two local college students; subsequentl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ackag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cross-over shopping orientation affected perception of app attributes that included Review/Information, Design, Response and Product. Product only affected Flow, which reflected a high similarity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However,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factors related to app loyalt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retailers of fashion products have developed strategies to improve mobile sales and increase the app loyalty of cross-over shopping orientation consumers.

금강 수계 서식지 유형분류 및 수서곤충 섭식기능군 분포특성 (Habitat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Aquatic Insect Functional Feeding Groups in the Geum River, Korea)

  • 박영준;김기동;조영호;한용구;김영진;남상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91-709
    • /
    • 2011
  • 본 연구는 금강 수계의 환경요인을 이용한 서식지 유형분류와 그에 따른 수서곤충 섭식기능군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금강 수계에서 총 38개 지점에 대하여 봄과 가을에 걸쳐 년 2회씩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38개 조사지점별로 15개의 환경요인들을 현장 측정한 후 서식지 유사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거리 척도값 4를 전후하여 상류구간(HD)은 C1과 C3그룹, 중류구간(MS)은 C2와 C4 그리고 C5그룹, 하류구간(LR)은 C6과 C7그룹으로 서식지 유형이 분류되었다. 서식지 유형분류에 있어 영향을 끼치는 주요한 환경요인은, 물리적 환경요인의 경우 하폭과 고도, 화학적 환경요인의 경우 수온과 전기전도도 그리고 DO, 하상재료의 경우 모래와 실트 그리고 잔자갈의 함량으로 분석되었다. 조사시기 동안 출현한 수서곤충은 총 9목 46과 142종으로 조사되었고, 서식지 유형별 종수 및 개체수 현존량 증감과 높은 상관성을 보인 주요 환경요인은 유속과 모래의 함량으로 나타났다. 또한 섭식기능군과 환경요인 사이의 상관성 분석결과, (1) 걸러먹는 무리(FC)는 유속, 수폭, 실트 (2) 주어먹는 무리(GC)는 유속 (3) 잡아먹는 무리(P)는 고도, 유속, 큰돌, 전기전도도, 모래 (4) 뚫어먹는 무리(PP)는 수폭, 실트 (5) 긁어먹는 무리(SC)는 유속, 전기전도도 (6) 썰어먹는 무리(SH)는 고도, 큰돌, DO, pH, 전기전도도, 수온과 각각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MRA)에 의해 도출된 금강 수계의 환경요인 중 고도, 하폭, 유속, 전기전도도, 수온 그리고 모래 등 6개의 요인은 생물군집의 서식과 상관성($r{\geqq}0.600$, P<0.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금강 수계 섭식기능군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Eukaryotic Microalga, Haematococcus pluvialis

  • EOM HYUNSUK;PARK SEUNGHYE;LEE CHOUL-GYUN;JIN EON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1060-1066
    • /
    • 2005
  • Under environmental stress, such as strong irradiance or nitrogen deficiency, unicellular green algae of the genus Haematococcus accumulate secondary carotenoids, i.e. astaxanthin, in the cytosol. The induction and regulation of astaxanthin biosynthesis in microalgae has recently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owing to the increasing use of secondary carotenoids as a source of pigmentation for fish aquacultures, and as a potential drug in cancer prevention as a free-radical quencher. Accordingly, this study generated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from a library constructed from astaxanthin-induced Haematococcus pluvialis. Partial sequences were obtained from the 5' ends of 1,858 individual cDNAs, and then grouped into 1,025 non-overlapping sequences, among which 708 sequences were singletons, while the remainder fell into 317 clusters. Approximately $63\%$ of the EST sequences showed similarity to previously described sequences in public databases. H. pluvialis was found to consist of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genes involved in genetic information processing ($15\%$) and metabolism ($11\%$), whereas a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sequences was involved in the signal transduction ($3\%$), structure ($2\%$),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cess ($3\%$). In addition, a relatively large fraction of H. pluvialis sequences was classified as genes involved in photosynthesis ($9\%$) and cellular process ($9\%$). Based on this EST analysis, the full-length cDNA sequence for superoxide dismutase (SOD) of H. pluvialis was cloned, and the expression of this gene was investigated. The abundance of SOD changed substantially in response to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indicating the possible regulation of this gene in H. pluvial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