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milarity coefficient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49초

추천 선행평가에 의한 마케팅 도메인 및 고객군 선정 (Selecting Marketing Domains and Customer Groups by Pre-evaluation on Recommendation)

  • 윤찬식;이수원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추계정기학술대회
    • /
    • pp.220-229
    • /
    • 2002
  • 협력적 추천 기법은 유사한 이웃의 선호도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개인화된 아이템을 추천해 주는 방법으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이며 추천 시스템의 중심으로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추천 시스템은 도메인의 특성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한채 추천을 시행함으로써 특정 도메인에서 추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평균 고객 유사도, 평균 아이템 유사도, 밀집도 등의 추천 선행 평가 척도를 제안하고, 추천 선행평가 척도와 추천의 정확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를 이용하여 짧은 수행시간 안에 추천 적용이 가능한 마케팅 도메인 및 고객군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Comparison of QSAR Methods (CoMFA, CoMSIA, HQSAR) of Anticancer 1-N-Substituted Imidazoquinoline-4,9-dione Derivatives

  • Suh, Myung-Eun;Park, So-Young;Lee, Hyun-J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417-422
    • /
    • 2002
  • Comparison studies of the 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QSAR) methods with new imidazo-quinolinedione derivatives were conducted using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ity Indices Analysis (CoMSIA), and the Hologram Quantitative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HQSAR). When the CoMFA crossvalidation value, q2, was 0.625,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2, was 0.973. In CoMSIA, q2 was 0.52 and r2 was 0.979. In the HQSAR, q2 was 0.501 and r2 was 0.924. The best result was obtained using the CoMSIA method according to a comparison of the calculated values with the real in vitro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human ovarian cancer cell lines.

Market Approach to Valuation Based on Technology Transfer Cases in Korea

  • Kim, Sang-Gook;Lee, Hyun;Park, Hyun-Wo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2권1호
    • /
    • pp.97-122
    • /
    • 2013
  • This study secured comparable sales transaction information of technology transfer corresponding to an active market conditions and proposes a method to assess the similarity of technologies with regard to comparability of technology transfer based on these cases information. In order to analyze the association and similarity between target technology and sales transactions, it proposes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royalty decision and the cosine coefficient method by industry categories. It also proposes the method to adjust royalty, which means that this method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provides clear standards to valuators in order to revise royalty. Therefore, it offers a solution to the difficulties of applying the market approach for a lot of valuators that have wanted to apply it and objective method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value of intangible asset evaluated by the market approach.

RAPD 표지인자를 이용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품종의 유전적 변이 및 유연관계 분석 (Genetic Polymorphism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Italian Ryegrass Cultivars Based on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 RAPD ) Markers)

  • 임용우;이승재;신정섭;정영수;최기준;임영철;임근발;박병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5-42
    • /
    • 1998
  • Eleven Italian ryegrass cultivars were examined for their genetic polymorphisms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using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In RAPD analysis of 34 random primers, 96 of total 162 bands obtained from 16 primers were polymorphic and sizes of polymorphic band ranged between 0.5 and 1.5kb. Number of bands amplified per primer was varied from 3 to 16 and average number was 14.8. Phylogenetic relationship among cultivars based on the RAPD analysis was examined using UPGMA computer program. In pairwise genetic similarity test of 11 Italian ryegrass cultivars, Grazer and Orlando showed highest coefficient of genetic similarity as 0.740, whereas Marshall and Orlando was lowest as 0.438. Eleven Italian ryegrass cultivars were grouped into 3 major clusters and genetic distance of clusters ranged between 0.567 and 0.646, indicating low level of genetic variation.

  • PDF

Analysis of Seven Islands with Insect Fauna and Vascular Plant Flora in Gogunsan Archipelago, Korea

  • Hwang, Jeong Ho;Yim, Mean-Young;An, Seung-Lak;Paek, Woon-Kee;Lee, Wang-He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1호
    • /
    • pp.23-31
    • /
    • 2022
  • The analysis of seven islands in Gogunsan archipelago, Korea with insect fauna and vascular plant flora was carried out based on a field survey conducted in May, July, and September. As a result, a total of 2,817 insect individuals including 264 species and 315 taxa of vascular plant were recorded. Bangchukdo the largest island among the seven islands showed the largest number both insect species and plant taxa. The similarity analysis suggested that the nearness of each island strongly affected the insect fauna and vascular plant flora on each island. In additi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reas of each island and the numbers of insect specie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0.857, P-value=0.014).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related to island ecology and conservation.

식물사회학적 식생자료의 종조성 균질성에 대하여 (On the Homotoneity of Species Composition in the Phytosociologically Synthesized Community Tables)

  • 김종원;엄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33-443
    • /
    • 2017
  • 식생자료의 종조성적 온전성(전형성과 대표성) 확보는 Z.-M. 학파의 정제된 식생자료(phytosociological $relev\acute{e}$)와 식물군락(plant community)을 이용하는 국가식생자원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주요 선행 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정 단위식생으로 모둠화된 식생자료의 종조성 균질성에 대한 질적 양적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식생자료의 이질적 요소가 적용된 새로운 균질도, 현존균질도(actual homotoneity: $H_{act}$)와 최적균질도(optimal homotoneity: $H_{opt}$)를 제안하였다. 사례 식생형에서 식물상 변수들, 새로 개발한 균질도, 선행연구의 유사 균질도(Pfeiffer's homogeneity, basic homotoneity-coefficient, corrected homotoneity-coefficient, mean floristic similarity)와의 상관관계는 Spearman 순위 상관계수(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되었다. 현존균질도와 최적균질도는 각각 식생자료 간과 단위식생 간의 식물상 균질성 차이를 더욱 분명하게 드러내었다. 식생자료수로부터 가장 독립적인 균질도는 현존균질도였다. 오랜 교란 역사를 지닌 한반도의 현존식생 조건에서 최적균질도는 현존균질도에 대한 더욱 정교한 해석이 가능한 보완적 수단이 되었다. 현존균질도와 최적균질도는 국가 식생자원에 대한 일관성과 객관성을 포함하는 식생자료의 DB 구축을 위한 균질한 식생자료 선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분자마커 이용 여교잡 육종을 위한 토마토 유전자원 평가 및 SSR 마커 개발 (Evaluation of Germplasm and Development of SSR Markers for Marker-assisted Backcross in Tomato)

  • 황지현;김혁준;채영;최학순;김명권;박영훈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5호
    • /
    • pp.557-567
    • /
    • 2012
  • 본 연구는 마커이용여교잡(marker-assisted backcross, MAB)을 통한 내병성 토마토 신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TYLCV, 시들음역병, 청고병, 흰가루병에 내병성인 공여친 계통 10종과 이병성이지만 우수 원예형질을 지닌 회복친 계통 4종에 대해 병리검정과 TYLCV 내병성 연관 분자마커 분석을 수행하였다. MAB를 위한 회복친 유전자 선발(background selection)용 마커개발을 목표로 SOL Genomics Network에 공시된 토마토 유전자지도(reference map)로부터 전 게놈에 균등히 분포된 108개(염색체 당 평균 9개) SSR 마커를 분석하여, 총 303개의 다형성 마커를 기반으로 공여친, 회복친 계통 간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사도 값의 전체 범위는 0.33-0.80으로계통 간 가장 높은 유사도 값(0.80)을 나타낸 것은 청고병에 저항성인 '10BA333'와 '10BA424'이었고, 가장 낮은 유사도 값(0.33)을 나타낸 것은 시들음역병에 내병성인 야생종 L3708(Solanum pimpinelliforium L.)과 청고병에 저항성인 '10BA424'이었다. 유사도 값을 이용하여 UPGMA 분석한 결과, 유사도 0.58를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3개의 군(cluster)으로 분류되었는데, 대부분 동일한 내병성을 지닌 공여친계통 간 유전적 거리가 가까워 이들은 공통된 저항성 재료를 이용한 육성과정에서 파생된 계통일 것이라 판단되었다. 계통수(dendrogram)를 기준으로 유전적 거리가 지나치게 멀지 않으면서 비교적 다수의 회복친 유전자 선발용 SSR 마커의 확보가 가능한 여교배 조합(공여친 ${\times}$ 회복친)은 TYLCV 내병성의 경우 'TYR1' ${\times}$ 'RPL1', 청고병의 경우 '10BA333' 또는 '10BA424' ${\times}$ 'RPL2', 흰가루병의 경우 'KNU12' ${\times}$ 'AV107-4' 또는 'RPL2'로 판단되었다. 시들음역병의 경우 내병성 공여친인 'L3708'은 야생종으로서 모든 회복친 계통들과 유전적 거리가 매우 멀었으며, 적절한 조합은 유사도 값이 0.41이며 계통 간 45개의 다형성 SSR 마커가 선발된 'L3708' ${\times}$ 'AV107-4'로 판단되었다.

자갈하천의 조도계수 특성 분석 (Analysis of Roughness Coefficient in Gravel-bed Rivers)

  • 이찬주;김용전;김지성;김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B호
    • /
    • pp.149-157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9개 하천에서 실측한 자료를 사용하여 하상재료의 입경에 기초한 자갈하천의 조도계수 특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도계수는 Manning 식을 역산하여 산정하였다. 산정된 조도계수는 유량에 따라 대체로 감소하였으며, 일정한 유량 이상에서는 수렴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상대수심(R/D)이 증가함에 따라 조도계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적합식을 구한 결과 Limerinos(1970) 식과 매우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일정한 유량 이상에서 수렴된 조도계수값은 0.024~0.045의 범위에 있었으며, 이를 기초로 하상재료만을 고려한 조도계수 산정식을 도출하고 기존의 식과 비교하였다.

RAPD에 의한 천문동 수집종의 유연관계 분석 (Genetic Relationships Analysis of Asparagus cochinchinensis $L_{OUR}$ Collection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 강찬호;박춘봉;최정식;최영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84-391
    • /
    • 2002
  • 한약재 및 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이 높지만 현재 멸종 위험에까지 처해있는 천문동의 체계적 보호 및 보존을 위하여 수집된 유전자원의 유전 유연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자생 천문동 23종에 대한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primer 당 평균 8.5개의 PCR 밴드가 얻어졌으며 polymorphism 비율이 $42.9{\sim}91.7%$ 이었으며 평균 72.9%를 나타내어 객관적 다형 현상 분석이 가능하였다. 2. 유사도 0.82를 기준으로 23개의 천문동 수집종을 구분한 결과 6개의 group으로 분리되었는데 group I 은 전남 여수의 은적암, 경남 남해 이동, 전북 부안 위도, 전남 진도 지산과 전북 부안 하서종 이었고 Group II는 전남 영광 송이도와 전북 부안 계화. 전북 고창 아산 2, 전북 군산 개야도(적경종), 전북 고창 아산 1 그리고 일본 자생종 이었으며 group III는 전남 여수의 향일암, 충남 보령 남포, 전북 군산 선유도 1, 전북 군산 선유도 2, 전북 군산 오식도, 충남 서천 서면 자생종, Group IV는 경남 사천종과 전북 군산 선유도 2 적경종이었고 Group V는 전북 익산 금마 자생종과 중국 호남성의 적경종, Group IV는 중국종(청경종)과 군산 개야도 자생종(청경종)으로 각각 나뉘어겼다. 3. BLOTTO 사용에 의한 효율적 유연관계 분석에서는 BLOTTO를 사용할 경우 PCR 효율이 향상되어 band 획득수가 증가하고 좀더 선명한 PCR 산물의 획득이 가능하였으며 적절한 사용농도는 1% 이었다.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에 따른 잡초군락(雜草群落)의 변화(變化) (Changes of Weed Flora Under Direct Seeded Rice Cultivation in Dry Paddy Field)

  • 구연충;박광호;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9-163
    • /
    • 1993
  • 건답직파(乾畓直播)를 연속(繼續)함에 따라서 야기되는 잡초군락(雜草群落)의 변이양상(變異樣相)을 밝혀 효과적(效果的)인 제초체계(除草體系)를 확립(確立)하고자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벼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를 4년간(年間) 연속재배(連續栽培)한 경우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는 감소(減少)한 반면 광엽잡초(廣葉雜草)는 증가(增加)하였으며 생활형(生活型)으로 보면 1년생잡초(年生雜章)는 증가(增加)하였으나 다년생잡조(多年生雜草)는 감소(滅少)하였다. 2. 기계이앙시(機械移秧時) 우점잡초(優占雜草)는 올방개-피-올챙이고랭이-물달개비 등의 수생잡초(水生雜草)가 우점(優占)하였으나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를 연속(繼續)할 경우 피-바랭이-가막사리-조개풀-자귀풀 등의 습생잡초(濕生雜草)가 우점(優占)하였다. 3. 건답직파(乾畓直播)에 따른 초종(草種)의 다양화(多樣化) 정도(程度)(Simpson Index) 및 군락우점도(群落優占度)(Community dominance)를 보면 기계이앙(機械移秧)의 경우 1-2 초종(草種)이 우점화(優占化)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건답직파(乾畓直播)의 경우 여러 초종(草種)이 다양(多樣)하게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4. 직파재배(直播栽培)에 따른 연도별(年度別) 유이성(類似性) 계수(係數)(Similarity coefficient)를 보면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첫해는 41%의 유이성(類似性) 계수(係數)를 나타내 기계이앙(機械移秧)과 상당히 달랐으나 4년간(年間) 연속직파재배(連續直播栽培)를 할 경우 67%로 높아졌다. 5. 건답직파(乾畓直播) 첫해인 1979년도(年度) 잡초방임구(雜草放任區)의 잡초(雜草) 건물중(乾物重)은 $m^2$당 61.3g에 벼 수량(收量)은 290kg/10a이었으나 3년후(年後)인 1992년(年)에는 잡초건물중(雜草乾物重)이 293g/$m^2$으로 1979년에 비해 4.7배가 증가(增加)하였으며 벼 수량(收量)은 전무(全無)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