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icate

검색결과 1,830건 처리시간 0.022초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실리카복합재료의 레올로지 속성 개선 (Improvement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Silica Composites Employ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임기홍;양승남;김남기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19-25
    • /
    • 2008
  • 본 논문은 실리카복합재료인 치약제의 결합제 역할을 하는 수용성 폴리머인 carboxymethylcellulose (CMC)와 carbomer, Mg/Al silicate의 최적의 조성 비율을 구하여 치약제의 레올로지 속성을 개선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실험계획법 중 혼합물 반응표면분석법을 적용하여 응력, 겔 강도, 늘어짐, 탄성에 대해 oscillatory 레오미터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CMC와 carbomer는 치약제의 겔 강도와 응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CMC는 치약제의 늘어짐을 초래하며, CMC와 Mg/Al silicate가 탄성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반응치 최적화를 통해 최적의 폴리머 및 silicate 조성비를 구하여 실험한 결과 개선된 레올로지 속성의 치약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리콘 웨이퍼위에 증착된 실리케이트 산화막의 CMP 슬러리 오염 특성 (CMP Slurry Induction Properties of Silicate Oxides Deposited on Silicon Wafer)

  • 김상용;서용진;이우선;장의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31-136
    • /
    • 2000
  • We have investigated the slurry induced metallic contaminations of undoped and doped silicate oxides surface on CMP cleaning process. The metallic contaminations by CMP slurry were evaluated in four different oxide films, such as plasma enhanced tetra-ethyl-orthyo-silicate glass(PE-TEOS), O3 boro-phos-pho-silicate glass(O3-BPSG), PE-BPSG, and phospho-silicate glass(PSG). All films were polished with KOH-based slurry prior to entering the post-CMP cleaner. The Total X-Ray fluorescence(TXRF) measurements showed that all oxide surfaces are heavily contaminated by potassium and calcium during polishing which is due to a CMP slurry. The polished O3-BPSG films presented higher potassium and calcium contaminations compared to PE-TEOS because of a mobile ions gettering ability of phosphorus. For PSG oxides, the slurry induced mobile ion contamina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phosphorus contents. In addition, the polishing removal rate of PSG oxides had a linear relationship as a function of phosphorus contents.

  • PDF

PP-SEBS/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유변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P-SEBS/silicate composites)

  • 김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988-1992
    • /
    • 2011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SEBS(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triblock copolymer)/실리케이트 복합체를 PP의 조성을 35, 40 그리고 45wt%로 변화시키며 실험실 규모의 Brabender Mixer를 이용하여 $200^{\circ}C$에서 용융상태에서 제조하였다. 실리케이트 조성은 5wt%로 고정하였다. PP-SEBS/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열적특성을 DSC와 TG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PP-SEBS 콤파운드의 용융온도는 SEBS 함량에 따라 $141^{\circ}C$까지 감소하였다. 실리케이트가 PP-SEBS에 첨가되었을 때 분해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TGA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콤파운드의 유변학적 특성을 동적유변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P-SEBS/실리케이트 복합체는 PP-SEBS 콤파운드보다 shear thinning과 탄성특성이 증가하였다. 탄성특성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Van Gurp-Palmen 분석을 이용하였다.

CHARACTERISTICS OF FIRE PROTECTIVE COATING THE TERNARY SOLUBLE SILICATE

  • Lee, Nae-Woo;Choi, Jae-Wook;Kim, Jeong-Hun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120-129
    • /
    • 1997
  • The fire protective coating can reduce certain damages in case of fire, also conserve energy by thermal insulation and prevent corrosion and errosion in normal daily life by means of blocking thermal transfer, that were generally made of organic, inorganic and metallic materials as adiabatic coating. In case of inorganic material such as soluble silicate, it produces less toxic substances which are exposed to Ore, and have a plenty of raw material. Also inorganic thermal insulator is good in heat resistance. To develope such a excellent inorganic thermal insulator, the study of fire protective coating using the alkali silicate is necessary The principle of intumescence for alkali silicate is from rapid evolution of water in the coating material, the quantity of water in it is of course influenced on the degree of intumescence. The phenomenon of intumescence in ternary silicate is increased as the radius of ion is bigger, and this is caused by evolution of so many kinds of water. The individual degree of intumescence is ordered like this ; $K^+$ > $Na^+$ > $Li^+$ . The best protection effect is similarity found to intumescence of ternary silicate. The result of X-ray diffraction analysis indicates that $KHSi_2O_5$ is an important ingredient in K-silicate.

  • PDF

도자기 표면 변색에 대한 중화제(Sodium Meta Silicate 및 Triethylamine)의 농도별 표백 효과 - 10% 과산화요소 표백겔을 중심으로 - (Study on Bleaching Effect of Neutralization Agent (Sodium Meta Silicate and Triethylamine) Regarding Its Concentration - Focused on 10% Urea Hydrogen Peroxide Bleaching Gel -)

  • 함철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4호
    • /
    • pp.130-1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넓은 pH영역에서도 증점효과를 가지는 카보풀 수지 940, 934를 가지고 중화제(sodium meta silicate, triethylamine)별 겔을 제조하여 10% 과산화요소를 첨가하고, 이에 따른 표백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메타규산나트륨(sodium meta silicate) 1.6g을 첨가한 실험군에서 표백효과의 최적 조건인 pH 10을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각군별 대조군 Baseline 색 변화량(${\Delta}E*ab$)과 시간별 색 변화량(${\Delta}E*ab$)을 비교해 보면 1군(카보풀 940, 메카규산나트륨, 과산화요소)은 CS-2에서 112%, CS-4는 63.3%, CS-6은 87.4%의 표백효율을 나타냈으며, 2군(카보풀 934, 메카규산나트륨, 과산화요소; CS-8, CS-10, CS-12)에서는 순서대로 77.3%, 67.3%, 109.%로 나타났다. 그리고 3군(카보풀 940, 트리에탄올아민, 과산화요소;CT-1, CT-3, CT-5)에서 36.8%, 73.2%, 74% 순으로, 4군(카보풀 934, 트리에탄올아민, 과산화요소; CT-6, CT-8, CT-10)에서는 81.7%, 95.4%, 95.7%의 표백효율을 보였다. 따라서 중화제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표백표율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타규산나트륨을 중화제로 첨가한 것보다 트리에탄올을 중화제로 첨가한 것이 표백효율이 다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실험에 사용된 겔의 점도는 메타규산나트륨을 첨가한 군에서 점도가 트리에탄올아민을 첨가한 겔보다 높았다. 이는 유약이 시유된 경사진 도자기 표면에 표백겔이 흐르지 않고 부착되는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10% 과산화요소 표백겔을 만들고자 할 때 메타규산 나트륨을 첨가하면 증점효과와 원하는 표백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rganic Passivation Material-Polyvinyl Alcohol (PVA)/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for Organic Thin Film Transistor

  • Ahn, Taek;Suk, Hye-Jung;Yi, Mi-Hy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7년도 7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제7권2호
    • /
    • pp.1539-1542
    • /
    • 2007
  • We have synthesized novel organic passivation materials to protect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 (OTFTs) from $H_2O$ and $O_2$ using polyvinyl alcohol (PVA)/layered silicate (SWN) nano composite system. Up to 3 wt% of layered silicate to PVA, very homogeneous nanocomposite solution was prepared.

  • PDF

Ethyl Silicate Bonded Alumina as a Ceramic Binder

  • N, Korobova;Dea-Wha, Soh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전자세라믹 방전플라즈마 일렉트렛트 및 응용기술
    • /
    • pp.103-107
    • /
    • 2002
  • Ethyl silicate was used as organic binder for alumina refractories. In the present work only 15% of the water required for complete hydrolysis of ethyl silicate was initially added. The balance was provided from the atmosphere under controlled conditions of temperature and rh. The purpose of detailing the possible binder problem areas is more to indicate that the binder can have an effect on ceramic operations.

  • PDF

토양(土壤)에 처리한 광재규산질비료의 입도별(粒度別) 용해도(溶解度) 및 이동성(移動性) (Particle-size Effect of Silicate Fertilizer on Its Solubility and Mobility in Soil)

  • 유순호;박리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7-63
    • /
    • 1980
  • 시판(市販)되고 있는 광재규산질비료를 사별(篩別)하여 10목이하(目以下) 20-35목(目) 및 100목이상(目以上)의 3개입자군(個粒子群)으로 분리(分離)하고 그들을 토양(土壤)에 처리했을 때 토양용액(土壤溶液)의 규산함량변화(珪酸含量變化), 토양(土壤)에서의 이동성(移動性) 등을 조사(調査)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20mg을 증류수50ml로 침출(浸出) 했을 때 용액(溶液)의 규산농도(珪酸濃度)는 10목이하(目以下), 20-35목(目), 100목이상(目以上) 입자(粒子)에 처하여 각각 0.3, 1.0, 3.2ppm 이었으며 1N-Na-acetate용액(溶液)으로 침출(浸出)했을 때의 농도(濃度)는 각각 24.5, 126.2, 225.5ppm 이었다. 2.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 20mg을 첨가(添加)한 상양(上壤)20g을 증류수 50ml로 침출(浸出)했을 때 10목이하(目以下), 20-35목(目), 100목이상(目以上) 입자(粒子)의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처리한 토양용액중(土壤溶液中)의 규산농도(珪酸濃度)는 규산(珪酸)을 첨가(添加)하지 않았을 때 보다 각각 0.25, 0.97, 3.28ppm 증가하였다. 3. 토양용액(土壤溶液)의 pH는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첨가(添加) 여부와 관계(關係)없이 담수일수(湛水日數)와 함께 2~4주(週)까지는 상승(上昇)하고 그 후(後) 6~10주(週)까지 하강(下降)하였다. 이때 수용액중(水溶液中)의 규산농도(珪酸濃度)는 pH와 역상관(逆相關)을 냐타내었으나 담수(湛水) 6~10주이후(週以後)에는 pH와 관계(關係)없이 수용액중(水溶液中)의 규산농도(珪酸濃度)는 증가하였다. 4. 토양투하수(土壤透下水)의 분액별(分液別) 규산농도(珪酸濃度)는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첨가(添加)하지 않았을 경우 투과수(透過水)의 양(量)이 0.88 pore volume에 달(達)했을 때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내었으며 20-35목(目), 100목이상(目以上)의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를 첨가(添加)하였을 때에는 각 각 0.94, 1.03pore volume에서 최고농도(最高濃度)를 나타내었다. 5. 1.5pore volume의 증류수를 투하(透下)시킨 후(後) 토양(土壤) column의 부위별(部位別) 규산함량(珪酸含量)을 분석(分析)한 바 수용성(水溶性) 규산(珪酸) 함량(含量)은 6~9cm이하에서는 깊이에 관계없이 일정(一定)하나 그 위 부위(部位)에서는 위로 갈수록 낮은 함량(含量)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N-Na-acetate 가용규산(可溶珪酸)은 이동(移動)되지 않고 규산(珪酸) 처리부위에 집적(集積)되어 있었다.

  • PDF

답토양(畓土壤)에서의 시비규산(施肥珪酸)과 인산(燐酸)의 상호작용(相互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Interaction between Silicate and Phosphate Fertilizers Applied in the Paddy Soils)

  • 임선욱;백남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5-332
    • /
    • 1983
  • 답토양(畓土壤)에 시용(施用)한 규산(珪酸) 및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토양중(土壤中)에서의 가급성(可給性)에 대한 상호간(相互間)의 작용(作用)과, 수도체(水稻體)에 의한 양성분(兩成分)의 흡수(吸收)에 미치는 상호관계(相互關係) 및 수도체(水稻體)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시험(試驗)하기 위하여 수도품종(水稻品種) "진흥(振興)"에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와 과인산석회(過燐酸石灰)를 각각(各各) 다른 수준(水準)으로 처리(處理)하여 재배시험(栽培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에서는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은 상호간(相互間)에 길항적(拮抗的)으로 작용(作用)하여 두 성분(成分)의 유효도(有效度)를 저하(低下)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2. 규산질비료(珪酸質肥料)의 시용량(施用量)이 많을수록 토양(土壤)의 pH가 상승(上昇)하였다. 3. 규산(珪酸)은 시용수준(施用水準)이 높을수록 수도체(水稻體)가 흡수(吸收)하는 규산(珪酸)의 양(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인산(燐酸)은 시용수준(施用水準)이 높아져도 체내(體內)의 인산(燐酸)의 양(量)은 증가(增加)하지 않았다. 4. 수도체(水稻體)에 의한 규산(珪酸)의 흡수(吸收)는 인산시용(燐酸施用)에 의해 뚜렷이 억제(抑制)되었으며 인산(燐酸)의 흡수(吸收)는 규산(珪酸)의 시용량(施用量)이 많을 때에는 뚜렷이 억제(抑制)되었으나 규산(珪酸)의 시용량(施用量)이 그보다 낮을 경우에는 생육시기(生育時期) 및 수도체(水稻體)의 부위(部位)에 따라 인산(燐酸)의 흡수(吸收)가 억제(抑制) 또는 촉진(促進)되는 경향(傾向)이었다. 5.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증시(增施)는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및 이삭중(重)을 증가(增加)시켰고, 건물량(乾物量)은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았다.

  • PDF

ABS/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제조 및 열적특성 연구 (Study on Fabrica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the ABS/silicate Composites)

  • 윤이슬;김연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3호
    • /
    • pp.301-305
    • /
    • 2011
  • ABS/실리케이트 복합체를 clay의 종류 및 함량을 변화시키며 에멀젼 중합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ABS의 화학구조는 적외선분광기(FT-IR)를 이용하여 이중결합 C-H 신축진동 피크(3000 $cm^{-1}$ 근처)의 변화를 통해 확인하였다. ABS/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열적특성은 시차주사열용량분석기(DSC) 와 열중량분석기(TGA)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Clay의 종류에 따른 ABS의 유리전이온도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GA에 의한 분해온도는 20A의 함량이 3 wt%인 ABS/20A 복합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합체의 실리케이트 분산정도는 X-선회절(XRD)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BS/20A 복합체의 실리케이트 분산은 20A 함량에 의존하였고, 함량이 5 wt% 이상 첨가되었을 때 20A의 회절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