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ica dispersion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3초

전기도금법을 이용한 퍼멀로이-실리카 복합도금 (Electrodeposition of Permalloy-Silica Composite Coating)

  • 정명원;김종훈;이흥렬;이재호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83-88
    • /
    • 2010
  • 복합전기도금은 도금 중 반응성이 없는 물질을 첨가하여 도금층 내부에 함께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퍼멀로이는 철과 니켈의 합금을 말하는 것으로써 높은 투자율를 나타내기 때문에 산업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복합도금을 통해 제품의 미세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의 수명과 연관된다. 하지만 실리카 나노분말 표면의 수산화기는 표면을 수분에 취약하게 만들고 이는 나노분말의 응집을 발생시켜 균일한 도금층의 형성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나노분말의 응집을 줄이기 위하여 첨가제의 변화, 초음파 처리 시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초음파 처리시간의 증가시 입자의 분산효과가 좋았고 조성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첨가제에 따라 표면 형상과 공석되는 실리카 나노입자의 함량 차이가 나타났다. 염기성 도금용액에서 sodium lauryl sulfate를 사용하였을 경우 표면이 매끄럽고 공석되는 실리카 나노분말의 양도 높았다.

극초경량 실리카 에어로겔의 폴리우레탄 멤브레인 적용 특성 (Application Properties of Ultra Light Weight Silica Aerogel to Polyurethane Membrane)

  • 민문홍;정천희;윤석한;양정한;김태경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79-286
    • /
    • 2013
  • Application properties of ultra light weight silica aerogel toward polyurethane membran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results of pre-milling process of the silica aerogel, the solvent for dispersion of the aerogel was determined for methyl ethyl ketone and its content in the solvent was determined by 30%. Using this aerogel dispersion, the polyurethane membranes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mixing amount of silica aerogel and various properties of the membranes were investigated. As results, the optimum mixing amount of silica aerogel inside polyurethane membranes was decided at 11%, because the improvement of light weight property, air permeability, and moisture vapor permeability were improved upto 11% of silica aerogel content, maintaining the water penetration resistance almost unchanged.

실리카계 물질에 의한 산화철 입자의 표면개질 (Surface Modification of Iron Oxide Particle by Silica-contained Materials)

  • 류병환;이정민;고재천
    • 공업화학
    • /
    • 제8권5호
    • /
    • pp.830-836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물유리를 사용하여 산세척에 의하여 제조된 산화철 입자의 표면개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용한 물유리의 $SiO_2$$Na_2O$의 몰비($SiO_2/Na_2O$)는 1, 2, 3.5이였다. 첨가되는 실리카의 양과 pH에 따라 산화철 현탁액의 분산성을 입자의 표면하전과 침강속도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그리고, 중성 영역에서 산화철 입자의 분산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표면개질제(실리카)의 양을 도출하였으며, 물유리에 의한 산화철 입자의 표면개질을 습식 볼밀링에 의하여 슬러리 상태에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면처리한 산화철 현탁액의 분산 안정성은 실리카의 양과 pH에 상호 의존하였다. 미처리한 산화철은 등전점인 pH 8에서 분산안정성을 잃고 있었으나, 산화철에 대하여 약 0.8wt%의 실리카로 표면처리한 산화철은 pH 5 이상 중성영역에서 분산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0.2wt% 이상 첨가에 의한 분산안정성이 더욱 증가되었다.

  • PDF

롤밀과 밀폐식 혼합기가 실리카 분산 및 부틸고무 복합소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ing Geometr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ilica Dispersion of Silica-Filled Isobutylene-Isoprene Rubber (IIR) Compounds)

  • 김성민;조현우;김진욱;김광제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3호
    • /
    • pp.223-229
    • /
    • 2010
  • 가공기기의 기하학적 구조(geometry)가 실리카 분산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롤밀(two roll mill)과 밀폐식 혼합기(internal mixer)를 사용하여 실리카가 충전된 부틸고무 가황물을 제조하여 가황특성, 인장특성 및 실리카 분산을 비교하였다. 가공 시, 롤밀을 사용하여 제조한 배합물은 밀폐식 혼합기를 사용하여 제조한 배합물보다 경화 속도($t_{90}$)는 약간 느렸으나, 긴 유도시간($ts_2$), 높은 최대 토크 값($T_{max}$)을 보였다. 또한 롤밀을 사용하여 제조한 배합물은 실리카 입자의 분산 및 기계적 물성의 특성에 있어서 밀폐식 혼합기를 사용했을시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보였다.

지방산으로 개질된 글리세라이드가 실리카 충진 배합고무의 가황과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lyceride Modified by Fatty Acid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ilica filled Rubber Compounds)

  • 김동욱;김창환;정호균;강용구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2호
    • /
    • pp.114-124
    • /
    • 2013
  • 글리세라이드의 지방산 사슬길이 및 구조적 차이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팜오일에서 추출된 글리세롤과 palmitic acid, stearic acid등 사슬길이가 $C_{12}{\sim}C_{18}$인 지방산을 이용하여, mono, di, tri등 다양한 글리세라이드 구조를 가진 신규 분산제를 합성하였고, 이를 실리카 충진배합물에 적용하여 기존의 금속염 분산제와 비교평가 하였다. 실험결과, 글리세라이드 분산제는 기존의 금속염 지방산 분산제 대비 혼합고무 내 윤활효과가 낮아서 혼합고무의 점도는 높으나, 실리카 분산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계적 물성과 마모성능, Payne effect로 확인되었다. 또한 글리세라이드의 지방산 사슬길이가 길수록, 글리세롤에 중합된 지방산 수가 적을수록(tri- < di-< mono-glyceride)혼합고무 내 실리카 분산특성은 향상되었다.

졸-겔법을 이용한 실리카 핵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안료의 제조와 잉크젯 분산 잉크로서 응용 (Preparation of Silica Core-Hybrid Pigment via Sol-Gel Process and It's Application for Inkjet Dispersion Ink)

  • 전영민;김종규;공명선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6권10호
    • /
    • pp.599-605
    • /
    • 2006
  • N-(3-triethoxysilylpropyl)-1,4-diaminoanthrquinone-2,3-dicarboximide (TESP-DADI), an organic blue pigment, has been prepared and incorporated into silica solid matrix reacting triethyl orthosilicate (TEOS) via sol-gel method. Morphology and microstructure of resulting hybrid pigment were studied employing SEM and TEM. The micrographs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showed that uniform pigment can be obtained employing TEOS-based sol-gel method forming silica cor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dispersed pigment in water was examined using the technique of dynamic light scattering. The ensuing pigment dispersion ink was subjected to various physicochemical evaluation such as viscosity, surface tension, inkjet stability, storage stability, and color change as inkjet ink using spectrophotometric, and microscopic techniques.

반응 결정화에 의한 실리카 미립자 합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he Silica Particles by the Reactive Crystallization)

  • 김준호;이창환;이철호
    • 공업화학
    • /
    • 제17권1호
    • /
    • pp.12-1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물유리에 의해 제조된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입도와 입도분포에 미치는 반응조건, 용매 및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실리카 미립자는 다양한 종류의 계면활성제와 분산용매를 사용하는 에멀젼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인 Span 20, Span 40, Span 60 및 Span 80을 사용하였으며, 분산용매로는 알킬그룹인 n-Hexane, n-Heptane, iso-Octane 및 n-Decane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유화교반속도에 따른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일정한 입경의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한 최적의 유화교반시간은 약 6 min임을 알 수 있었다. 생성된 실리카 미립자의 평균입경은 사용된 용매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사용한 계면활성제의 hydrophobic lipophilic balance(HLB) 값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내에서의 흄드 실리카 현탁액의 전단농화 거동연구 (Shear Thickening Behavior of Fumed Silica Suspension in Polyethylene Glycol)

  • 박혜수;조봉상;유의상;안재범;노시태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384-389
    • /
    • 2011
  •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내에 흄드 실리카를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하고, 실리카의 함량과 분산조건,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온도 및 수분함량에 따른 유변학적 거동을 연구하였다. 현탁액의 유변학적 거동은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전단농화 현상을 일으키는 임계전단속도와 전단점도 상승폭을 측정하였다. 분산매는 PEG 200, 400 및 600을 사용하였다. 실리카의 함량을 5, 7, 9, 13, 그리고 18 wt%으로 한 흄드 실리카 현탁액은 단순교반, 균질교반, 비드밀링의 세 가지 분산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10, 20, 30 그리고 $40^{\circ}C$에서 유변학적 거동을 측정하였다. 현탁액 내의 실리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분산매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임계전단속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측정온도의 영향에서도 온도가 증가할수록 임계전단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의 함량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으나, 분산공정의 영향은 크게 나타났다. 단순교반 방법으로 제조한 현탁액의 임계 전단속도가 가장 낮았으며 비드밀링공정으로 제조한 현택액의 임계전단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단점도의 상승폭은 단순교반으로 제조한 현탁액이 비드밀링 공정의 현탁액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분산 공정에 따른 실리카 입자의 분산상태에 기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계면활성제가 반도체 실리콘 CMP용 슬러리의 분산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tant on the Dispersion Stability of Slurry for Semiconductor Silicon CMP)

  • 윤혜원;김도연;한도형;김동완;김우병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95-401
    • /
    • 2018
  • The improvement of dispersion stability for the primary polishing slurry in a CMP process is achieved to prevent defects produced by agglomeration of the slurry. The dispersion properti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ilica sol sample. Further, the difference in the dispersion stability is confirmed as the surfactant content. The dispersibility results measured by Zeta potential suggest that the dispersion properties depend on the content and size of the abrasive in the primary polishing slurry. Moreover, the optimum ratio for high dispersion stability is confirmed as the addition content of the surfactant.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long-term stability of each slurry is analyzed. Turbiscan analysis demonstrates that the agglomeration occurs depending on the increasing amount of surfactant. As a result, we demonstrate that the increased particle size and the decreased content of silica improve the dispersion stability and long-term stability.

Influence of Loading Procedure of Liquid Butadiene Rubber on Properties of Silica-filled Tire Tread Compounds

  • Jinwoo Seo;Woong Kim;Seongguk Bae;Jungsoo Kim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7권4호
    • /
    • pp.129-137
    • /
    • 2022
  • Low molecular weight liquid butadiene rubber (LqBR) is a processing aid that can resolve the migration problem of tire tread compounds.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replace the petroleum-based processing oil with LqBR. However, the effect of the loading time of LqBR in the compounding process on silica dispersion and vulcanizate properties is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we analyzed silica dispersion, vulcanizate properties, and viscoelastic properties of silica-filled tire tread compoun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aid type (TDAE oil, non-functional LqBR) and, silane terminated LqBR) and input timing. In the non-functional LqBR compounds, the 'with TESPT' mixing procedure showed excellent dynamic viscoelastic properties while silane-terminated LqBR compounds showed that the 'after TESPT' mixing procedure was good for 300% modulus and abrasion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