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21초

물레나물(Hypericum ascyron L.)의 식중독 미생물 증식 억제 물질의 분리 및 식품적용 (Isolation of Growth Inhibition Substance on Food borne Microorganisms from Hypericum ascyron L. and Application to Food Preservation)

  • 한지숙;이지영;백남인;박일웅;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4-282
    • /
    • 2002
  • 물레나물 에탄올 추출물과 헥산 분획물은 L. monocytogenes 5균주에 대해 25 ppm에서 72시간까지 완전 균증식 억제 효과가 있었다. 물레나무 헥산 분획물의 항균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얻은 H2-5-2 소획분의 경우 실험 MIC가 10 ppm으로 그 항균력을 생균수로 나타내었을 때 초기 접종 균수보다 0.5 log cycle정도 감소하여 그 살균효과를 알 수 있었다.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 스펙트럼을 살펴보면 B. cereus나 S. aureus에 대해서는 실험 최저 농도인 25 ppm에서도 72시간까지 완전 증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V. parahaemolyticus에 대해서는 50 ppm 첨가시 72시간 동안 균증식이 억제되었다. 물레나물의 항균활성 물질은 불포화도가 높은 sterol로 추정되었다. 쇠고기와 명태육 마쇄물에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을 첨가하여 $32^{\circ}C$$5^{\circ}C$에서 식품 적용 실험을 실시한 결과 $32^{\circ}C$ 저장온도에서는 쇠고기, 명태육에 첨가한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5^{\circ}C$ 저장온도에서는 명태육에 첨가된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은 항균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물레나물 헥산 분획물의 항균효과는 배양액 상태보다 감소하였다.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의 항균효능(抗菌效能) 및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Active Constituents of Sonbanghwalmyoungum)

  • 이범용;안덕균;우은란;박호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9-99
    • /
    • 1998
  • 약효(藥效) 및 안정성(安定性)이 입증(立證)된 한약(韓藥)으로부터 새로운 항균제(抗菌劑)를 도출(導出)하고자, 임상(臨床)에서 청열작용(淸熱作用)이 있거나 염증성(炎症性) 질환(疾患)과 박테리아의 감염(感染)으로 비롯된 질환(疾患)에 자주 쓰이는 22개(個)의 처방(處方)에 대(對)해 paper disk 법(法)을 사용(使用)하여 항균(抗菌) 효능(效能)을 검색(檢索)하였다. 시료(試料)는 한약(韓藥)의 고용(股用) 방법(方法)을 고려(考慮)하여 물로 추출(抽出)하였으며, 사용(使用) 균주(菌柱)로는 그람 양성균(陽性菌)인 포도상구균(葡萄狀球菌)과 고초균(枯草菌) 그리고 그람 음성균(陰性菌)인 대장균(大腸菌)과 녹농균(綠膿菌)을 사용(使用)하였고, 대조물질(對照物質)로는 tetracycline을 사용(使用)하여 상법(常法)에 의(依)해 실험(實驗)하였다. 22개(個)의 처방(處方) 가운데 백두옹탕(白頭翁湯), 황연해독탕(黃連解毒湯), 증황연황연해독탕(增黃連黃連解毒湯), 사심탕(瀉心湯),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등(等)의 처방(處方)이 탁월(卓越)한 항균(抗菌) 활성(活性)을 보였다. 이 가운데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탕제(湯劑)의 구성(構成) 약재(藥材)가 다른 처방(處方)들에 비(比)해 비교적(比較的) 다양(多樣)한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에 대(對)해 활성(活性) 성분(成分)의 규명(糾明) 및 구성(構成) 약재간(藥材間)의 상화작용(相互作用)을 밝히고자 하였다.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5 kg을 메탄올 (MeOH)로 추출(抽出)한 뒤 우수(優秀)한 항균(抗菌) 활성(活性)을 보인 에칠아세테이트 (EtOAc) 분획(分劃)에 대(對)하여 silica gel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反復)하여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 (Compound 1)과 Rhaponticin (Compound 2)을 얻었다. S. aureus SG 511에 대(對)해 Rhapontigenin은 50 mg/ml 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고, Rhaponticin은 $200\;mg/m{\el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며, B. subtilis ATCC 6633에 대(對)해 Rhapontigenin은 50 mg/ml 이상(以上) 농도(濃度)에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고, Rhaponticin은 200 mg/ml 농도(濃度)에서 우수(優秀)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으며, 100 mg/m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또한 E. coli 055에 대(對)해서는 Rhapontigenin과 Rhaponticin 모두 200 mg/ml 농도(濃度)에서 미약(微弱)하게 유효(有效)한 항균(抗菌) 효과(效果)를 나타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보아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의 항균(抗菌) 효능(效能)은 군약(君藥)인 대황(大黃)의 성분(成分) 중(中)의 하나인 stilbene 계열(系列)의 화합물(化合物)인 Rhapontigenin과 Rhaponticin의 작용(作用)에 의(依)한 것이며, 이는 한의학(韓醫學) 방제(方劑) 원리(原理)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理論)에서 군약(君藥)이 주증(主症)에 주(主)로 작용(作用)하는 약물(藥物)이라는 것을 밝혀주는 것이라고 사료(思料)된다.

  • PDF

산거울 추출물의 Elastase 활성 저해 및 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arex humilis Extract on Elastase Activity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Expression)

  • 박선희;이강혁;한창성;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9-1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거울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항산화, 엘라스타제 활성 억제,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mRNA 발현 및 단백질의 생성 억제 관련 실험을 진행하였다. 산거울의 뿌리부분을 95 % 에탄올로 추출하고 유기 용매로 분획하여 각 추출물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과 엘라스타제 억제 효능을 측정한 결과, EtOAc 분획이 각각 SC50=4.89 ${\mu}g/mL$, IC50=23.5 ${\mu}g/mL$ 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활성이 가장 좋은 EtOAc 분획물로 부터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질이 ${\alpha}$-viniferin임을 분광학적 분석결과로 확인하였다. RT-PCR을 이용한 MMP-1 mRNA 발현능 평가에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각각 50 ~ 60 % (10 ~ 100 ${\mu}g/mL$), 약 60 ~ 75 % (0.5 ~ 2 ${\mu}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Western-blot을 이용한 MMP-1 단백질 생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역시 EtOAc 분획물과 ${\alpha}$-viniferin은 같은 농도에서 각각 50 ~ 65 %와 55 ~ 65 %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alpha}$-viniferin을 함유한 산거울의 EtOAc 분획층의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바위솔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 증식억제 (The activity of antioxidants and suppress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in extra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김충현;박재호;임종국;이건주;정규영;정형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39
    • /
    • 2003
  • 바위솔의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동물 항암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 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지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비교에서 재배지에서 수확한 시료의 활성이 $6.07(IC_{50}:{\mu}g/m{\ell})$로 가장 높았다 생육시기별 DPPH 프리라디칼 소거 및 xanthine/xanthine oxidase 억제의 활성은 9월 수확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다.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항산화물질 분리결과에서 S-4 분획물의 DPPH와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이 $5.02(IC_{50}\;:\;{\mu}g/m{\ell})$$6.18(IC_{50}:{\mu}g/m{\ell})$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분리효율를 보였다.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 LH-4 분획물의 주요화합물은 GC/MS에 의하여 지방산, 폴리페놀화합물 및 페놀유도체로 동정되었으며 alpha-androsta-7,14-diene과 1,2,3-benzenetriol이 주 물질이었다. POD 및 SOD 활성은 생육지간에 재배지, 산, 바닷가 순으로, 생육시기간에는 시기가 늦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의 밴드수는 전 생육지, 전 생육시기에서 공히 2개의 밴드가 나타났으나, 그 세기는 재배지와 9월의 수확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LH-4 분획물은 HL-60 세포의 종양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종양유발유전자와 IPTG로 콜로니 형성을 유도한 암세포(2-12 cells)에서 분획물 400ppm 처리와 negative control 처리간의 colony형성은 유의차가 없었다.

천마(Gastrodia elata)로부터 분리한 VHR DS-PTPase 저해 물질 (The VHR Dual-Specificity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DS-PTPase) Inhibitor Isolated from Gastrodia elata)

  • 이명선;오원근;배은영;안순철;손천배;히로유키 오사다;안종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05-509
    • /
    • 2002
  • 천마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VHR DS-PTPase 저해 물질을 분리하여 이를 HREI-MS와 $^1H-NMR$, $^{13}C-NMR$, DEPT 등의 기기 분석 자료에 의하여 baicalein으로 구조를 동정 하였다. 이 물질은 VHR에 대하여 $2.4{\mu}M$$IC_{50}$값을 나타내었고 T-cell PTPase나 PPase 1과 같은 다른 단백질 탈인산화 효소에 대하여는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7종류의 인간 암세포주(흑색종 세포주인 LOX-IMVI, 폐암 세포주인 NCI H23과 A549, 대장암 세포주인 HCT 116와 SW 620, 전립선암 세포주인 PC-3와 백혈병 세포주인 MOLT 4F)에 대한 세포독성을 조사하여 본 결과 $5.26{\sim}12.93\;{\mu}g/mL$에서 $GI_{50}$값을 나타내었다.

가열산화 대두유의 돌연변이원성 (Mutagenicity of Thermally Oxidized Soybean Oil)

  • 이진영;안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213-1220
    • /
    • 2000
  • 가열산화된 유지의 산패도와 돌연변이원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대두유를 $180{\pm}3^{\circ}C$에서 48시간 동안 가열산화시키면서 0, 8, 16, 24, 32, 40, 48시간 후의 유지시료와 여기서 분획한 산화물 및 비산화물을 대상으로 Salmonella typimurium 변이균주 중 구조이동형(frame shift) 변이균주인 TA98, TA1537과 염기치환형(base-pair substituent) 변이균주인 TA100, TA1535 및 TA102를 사용하여 Ames test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80{\pm}3^{\circ}C$에서 48시간 가열산화된 대두유의 가열시간에 따른 돌연변이원성을 조사했을 때 직접법 [-S9] 및 대사활성화법 [+S9] 모두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180{\pm}3^{\circ}C$에서 가열산화된 대두유를 산화물 및 비산화물로 분리하여 돌연변이원성을 조사한 결과 가열 16시간 및 24시간 후의 산화 물질에서 돌연변이 활성이 나타났다.

  • PDF

천마의 젖산발효에 따른 이취성분 및 Parishin 유도체의 변화 (Changes of Off-Odor Constituent and Parishin Derivatives of Fermentation of Gastrodia elata Rhizome by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 송영은;이인석;송은주;최민경;한현아;신소희;최소라;이기권;김명곤;박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73-982
    • /
    • 2017
  • Gastrodia elata Blume often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headaches, convulsions, hypertension,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e main active constituents are gastrodin, 4-hydroxybenzyl alcohol, vanillyl alcohol, 4-hydroxybenzylaldehyde and parishin A, B, C and E. Because Gastrodia elata has also unacceptable off-odor (swine barnyard-like) for food, there is a need to reduce it as well as allow for greater utilization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s. In this study, a major off-odor producing substance of Gastrodia elata was fractionated by steam distillation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substance was identified as p-cresol(4-methyl phenol) by GC-MS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retention time with that of an authentic compound in GC. The content of p-cresol in fermented Gastrodia elata was decreased. A fermented sample of Latobacillus sakei for 2 days was reduced to 54.7%, when compared with a unfermented sample. The five parishin derivatives in Gastrodia elata were identified by HPLC-MS analyses, and a comparison of HPLC retention times with those of authentic compounds. When compared with parishin derivatives of an unfermented Gastrodia elata, those of Gastrodia elata fermented by L. sakei, increased to 18.3% for 2 days. Increases of about 14.0~38.4% of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57.4~77.3% total flavonoids were found in fermented extracts, by 3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They were compared with $97.1{\pm}2.9{\mu}g/g$ and $40.9{\pm}2.0{\mu}g/g$ in the unfermented control, respectively. The extracts of Gastrodia elata Blume that were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had highe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reducing power than the unfermented control.

Dammarane-type triterpene oligoglycosides from the leaves and stems of Panax notoginseng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 Li, Juan;Wang, Ru-Feng;Zhou, Yue;Hu, Hai-Jun;Yang, Ying-Bo;Yang, Li;Wang, Zheng-Ta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377-384
    • /
    • 2019
  • Background: Inflammation is widespread in the clinical pathology and closely associated to the progress of many diseases. Triterpenoid saponins as a key group of active ingredients in Panax notoginseng (Burk.) F.H. Chen were demonstrated to show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the chemical structures of saponins in the leaves and stems of Panax notoginseng (PNLS) are still not fully clear. Herein, the isolation, purification and further evaluati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ammarane-type triterpenoid saponins from PNLS were conducted. Methods: Silica gel and reversed-phase C8 column chromatography were used. Furthermore, preparative HPLC was used as a final purification technique to obtain minor saponins with high purities. MS, NMR experiments, and chemical methods were used in the structural identifications.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isolated saponin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by lipopolysaccharides.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measure the gene expressions of inflammation-related gene. Results: Eight new minor dammarane-type triterpene oligoglycosides, namely notoginsenosides LK1-LK8 (1-8) were obtained from PNLS, along with seven known ones. Among the isolated saponins, gypenoside IX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 10, interferon-inducible protein 10 and $interleukin-1{\beta}$. Conclusion: The eight saponins may enrich and expand the chemical library of saponins in Panax genus. Moreover, it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at gypenoside IX showed moderate antiinflammatory activity.

탄저병균에 대하여 길항작용을 보이는 Burkholderia cepacia EB215로부터 분리한 Pyrrolnitrin의 항균활성 (In vivo Antifungal Activity of Pyrrolnitrin Isolated from Burkholderia capacia EB215 with Antagonistic Activity Towards Colletotrichum Species)

  • 박지현;최경자;이선우;장경수;최용호;정영륜;조광연;김진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38
    • /
    • 2004
  • 오이 뿌리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식물내생세균 EB215균은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species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 균은 생리 생화학적 특성과 Biolog 실험 및 16S rDNA 유전자 서열에 의해 Burkholderia cepacia로 동정되었다. 이 균의 항균물질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는 nutrient 액체(NB) 배지로 그리고 배양기간은 3일로 결정되었다. B. cepacia EB215 균주의 NB 배양체로부터 원심분리, n-hexane 분획, silica gel 컬럼, preparative TLC 및 in vitro 생물검정 등을 통하여 한 개의 항균물질을 분리하였다. 이 물질은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 분석을 통하여 pyrrolnitrin으로 동정되었다. Pyrrolnitrin은 고추 탄저병(Colletotrichum coccodes), 오이 탄저병(Colletotrichum orbiculare), 벼 도열병(Magnaporthe grisea), 벼 잎집무늬마름병(Corticium sasaki) 등의 4가지 식물병에는 $11.1\;{\mu}g/ml$ 낮은 농도에서도 90% 이상의 높은 방제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또한 토마토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과 밀 붉은녹병(Puccinia recondita)에 대해서는 $33.3\;{\mu}g/ml$ 이상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방제활성 보였다. 하지만 Phytophthora infestans에 의한 토마토 역병에 대해서는 전혀 항균활성이 없었다. 앞으로 B. cepacia EB215균을 이용한 미생물살균제 개발에 대하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항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활성을 가지는 해양미생물 Pseudomonas sp. YJ-1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Marine Bacterium, Pseudomonas sp. YJ-1 with Anti-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ctivity)

  • 우예주;정성윤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94-7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항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활성을 가지는 해양미생물을 분리, 동정하고 항MRSA 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그 물질의 활성과 시너지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리한 해양미생물 중에서, YJ-1 분리 균주가 가장 강한 항MRSA 활성을 나타내었다. YJ-1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에 기초하여 분류 동정되었다. YJ-1 균주의 염기서열은 Pseudomonas stutzeri와 99.2%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Pseudomonas sp. YJ-1이라 명명하였다. 이 균주의 최적 성장조건은 $25^{\circ}C$와 초기 pH 농도 7.0이었다. 항MRSA 물질들을 분리정제하기 위하여 YJ-1 균주를 PPES-II 배지에 배양하였으며, 배양 상등액을 ethyl acetate, hexane과 80% MeOH로 순차적으로 추출하였다. 활성을 보인 80% MeOH 분획을 $C_{18}$ ODS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silica gel 크로마토그래피와 역상 HPLC법으로 순차적으로 정제하여 항MRSA 활성을 가지는 3개의 순수물질 MR1, MR2 및 MR3를 얻었다. $250{\mu}g\;mL^{-1}$ 농도의 MR1 물질을 MRSA 세포에 접종했을 때, MRSA 세포의 95%가 48시간 이내에 사멸하였다. 활성을 vancomycin 및 ampicillin과 비교해 보아도, MR1 물질은 보다 우수한 항MRSA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MRSA 활성은 투여량과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더욱이 MR1 물질과 vancomycin을 조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보았을 때, MR1 물질을 단독으로 투여했을 때보다 신속한 MRSA 세포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MRSA 감염에 있어서 Pseudomonas sp. YJ-1과 이것이 생산하는 항MRSA 물질은 천연 항균제로서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