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inkage rate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2초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Sulindac의 성장억제와 세포고사 유도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tion of Sulindac on Human Lung Cancer Cells)

  • 김학렬;양세훈;정은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514-522
    • /
    • 2004
  • 연구 배경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대장암의 화학 예방에 이용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를 복용한 결과 대장암 발생의 위험이 40-50% 감소하였다. Sulindac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일종으로 대장암의 예방 효과가 있으며 암세포의 성장 억제와 세포 고사를 유도시킨다. 이에 저자들은 3가지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sulindac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A549(선암), NCI-H157(편평상피암), NCI-H460(대세포암) 세포주에 sulindac을 농도별로 투여하여, MTT assay로서 암세포의 생존율을, 유식세포 분석법과 핵산 염색으로 세포 고사의 비율을, 유산탈수소효소유리로서 세포 사멸의 정도를 시간대별로 측정하였다. 결 과 : Sulindac에 의해 농도와 시간에 의존적으로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암세포의 생존율이 감소하였고, 유산 탈수소 효소 유리는 증가하였으며, 세포 고사 역시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결 론 : Sulindac은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농도, 시간에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생존율 감소와 세포 고사증가를 유도하였다.

국산 참나무류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건조특성 및 가공수율 평가 (Evaluation of Drying Properties and Yields of Domestic Quercus Species for Enhancing Utilization)

  • 장윤성;신현경;김세종;한연중;김민지;엄창득;이영근;심국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622-62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산 참나무류의 고부가가치재 이용기술 개발을 위해 굴참나무와 신갈나무를 대상으로 입목으로부터 마루판재까지의 가공수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참나무류 건조시간 단축을 위한 건조스케줄의 개선 및 물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건조시간은 총 173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최종함수율은 굴참나무 5.39%, 신갈나무 4.17%로 측정되었다. 건조에 따른 굴참나무와 신갈나무의 재색변화는 ${\Delta}E$ 값이 7~11으로 현저한 변화를 보였다. 건조에 따른 수축률은 굴참나무의 경우, 접선방향 8.1%, 방사방향 5.0%이었으며, 신갈나무의 경우, 접선방향 8.5%, 방사방향 6.2%로 평가되었다. 제재수율은 30~40%, 최종제품수율은 8~15%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참나무류의 가공특성은 아직까지 저이용되고 있는 국산 활엽수의 효율적인 생산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이온 농도의 변화가 배양 인체 치주인대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BIOLOGICAL EFFECTS OF pH CONCENTRATION ON CULTUR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ACTIVITY IN VITRO)

  • 김성호;박귀운;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539-556
    • /
    • 1995
  • Periodontal therapeutic modalities should be re-establishing and regenerating the periodontal tissue previously lost to the disease. To achieve periodontal regeneration, periodontal ligament cells must selective migrate to the deneded root surface, attached and proliferated it. Local pH concentration is one of the most factors that periodontal regeneration.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on biological effects of pH to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especially on the cell morphology, attachment, activity, vitality and viability.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cultured from extracted tooth for non-periodontal reason.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any soft tissue adhering to the cervical parts of the roots was carefully removed with a sterile curette. To produce different pH levels in the media, Eagle's MEM was adjusted from pH 6.6 to 8.2 in 0.2 intervals with 1 M NaOH and 1 N HCl. After cultivation, The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cultured at pH ranging from 6.6-8.2. attachment assay was done at 1, 2 day incubation and activity assay was done at 1, 2, 3 day incubation. The experiments were evaluated by scaning electron microscopic techniques (HITACHIX-650 Scaning Electron Microanalyzer, Tokyo, Japan), MTT assay, and the cultured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fixed in neutral formalin for 24 hours and immunohistochemically processed by PCNA for proliferating ability. The surviving cells in the medium showed slightly increased volume and widening intercellular distances at low concentration of pH than control group (pH 7.4), and apparently shrinkage at high concentration of pH than control group (pH 7.4).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from the experiment on attachment, vitality and viability were as follows. Attachment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at 1st and 2nd day, similar attachment rate of low concentration pH compared with control value (pH 7.4). But above pH 8.0, attachment rat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control value(P<0.05). Periodontal ligament cell's activities were maximum at pH 7.6 by MTT assay. Similar with control value at low concentration of pH. But, the activ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at high concentraration of pH(P<0.05). Cellular proliferating rate (PCNA inde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from control value at low and high concentration of pH(p<0.05). This results suggested that hjgh concentration pH, in other words, alkali pH was cytotoxic effects o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in vitro.

  • PDF

콘크리트의 수화도 및 단열온도상승량 예측모델 개발 (Mathematical Modeling of Degree of Hydration and Adiabatic Temperature Rise)

  • 차수원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18-125
    • /
    • 2002
  • 콘크리트는 수화과정을 통하여 재료가 성숙되고, 경화된다. 수화의 진행은 엄밀한 의미에서 재령에 의하지 않고 수화도에 의해 제어되므로, 경화가 진행되는 콘크리트의 모든 재료특성과 미세구조 형성과정은 수화도에 의해 정식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연구는 주로 양생온도가 수화발열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반응함수 개념을 주로 사용하였고, 또한 내부 수분상태의 영향을 습도함수의 형태로 고려한 연구결과는 실제 수화기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단지 각 연구자의 실험조건과 배합조건에만 부합하는 결과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제안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화기구와 미세구조 형성 과정에 기초하여 반응속도함수를 모델링하였다. 수화반응속도는 온도 및 수분상태에 따라 변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화발열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시멘트 종류, 물-시멘트비 등의 배합특성과 양생온도 빛 세공조직의 내부수분상태를 고려하였다. 똔 연구에서 제시한 콘크리트의 수화도 예측모델은 기존의 온도영향만을 주로 고려하는 반응속도함수를 콘크리트내부의 수분분포 상태를 고려하여 모델을 개선하였으며, 이는 실제 측정한 수화도에 매우 근접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수화도의 정의와 제시한 모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요소내의 온도, 습도 덴 수화도를 수치적으로 결정하여 단열온도상승곡선을 정확히 모사 할 수 있었다. 제안된 모델은 수화가 진행되는 콘크리트의 여러 역학적 특성 및 미세구조 형성과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수화과정이 온도 및 습도상태를 결정하는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단면 내 온 습도상태를 추정하여 궁극적으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균열 위험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페로니켈슬래그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결합재로 사용한 삼성분계 시멘트의 수화 특성 및 기초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dration Characteristics and Fundamental Properties of Ternary Blended Cement Using Ferronickel Slag)

  • 조원정;김한솔;안기용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9-4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철과 니켈의 합금강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산업부산물인 페로니켈슬래그를 혼입하여 기존 결합재와의 화학반응 및 성능을 확인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페로니켈슬래그를 활용하여 시멘트 대비 치환률 50%까지 삼성분계 치환하여 실험을 통해 기초 물성 및 특징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페로니켈슬래그를 혼입할 시 포졸란 반응이 기여하여 밀실한 내부 공극 및 수화물이 형성되었고, 수화열과 건조 수축 감소 효과도 나타났다. 압축강도는 초기 재령에는 다소 저조한 강도발현을 나타냈으나, 28일 장기재령으로 갈수록 강도 증가가 나타났다. 추후 최적 배합을 도출하여 용도에 맞게 활용할 경우 시멘트 결합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비정질상인 Ti5Si3 MA분말의 가압소결 동안 소결체의 치밀화 촉진현상 요인에 대한 조사 (Investigation of Factors for Promoting Densification of the Sintered Compact during Pressurized Sintering of the Amorphous Ti5Si3 MA Powder)

  • 한창석;진성윤;권혁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01-307
    • /
    • 2020
  • In this study, factors considered to be causes of promotion of densification of sintered pellets identified during phase change are reviewed. As a result, conclusions shown below are obtained for each factor. In order for MA powder to soften, a temperature of 1,000 K or higher is required. In order to confirm the temporary increase in density throughout the sintered pellet, the temperature rise due to heat during phase change was found not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While examining the thermal expansion using the compressed powder, which stopped densification at a temperature below the MA powder itself, and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no shrinkage phenomenon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densification is observed. The two types of powder made of Ti-silicide through heat treatment are densified only in the high temperature region of 1,000 K or more; it can be estimated that this is the effect of fine grain superplasticity. In the densification of the amorphous powder, the dependence of sintering pressure and the rate of temperature increase are shown. It is thought that the specific densification behavior identified during the phase change of the Ti-37.5 mol.%Si composition MA powder reviewed in this study is the result of the acceleration of the powder deformation by the phase change from non-equilibrium phase to equilibrium phase.

탄소섬유용 레이온섬유의 안정화공정 후 중량, 직경 및 열안정성에 미치는 인계 난연제의 영향 (Effect of Phosphorous-Based Flame Retardants on the Weight, Diameter, and Thermal Stability after Stabilization Processes of Rayon Fibers for Carbon Fibers)

  • 윤성봉;조동환;박종규
    • 폴리머
    • /
    • 제29권2호
    • /
    • pp.211-215
    • /
    • 2005
  • 안정화공정은 선구물질(precursor) 섬유를 화학적, 물리적, 열적 그리고 구조적으로 안정한 탄소섬유로 전환시키는데 반드시 필요한 공정이다. 특히, $400^{\circ}C$ 이하에서 행하는 안정화공정 단계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중량감소와 열수축을 동반하는 레이온섬유의 경우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레이온섬유의 안정화공정은 안정화온도뿐 아니라 승온속도, 화학전처리, 분위기가스 등 공정인자에 중요하게 의존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화공정 승온속도 및 세 종류의 인계 난연제 처리의 유${\cdot}$무 및 농도 변화에 따라 얻어진 레이온섬유에 대하여 안정화공정 동안 열처리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중량감소, 섬유직경 변화 그리고 안정화공정을 거친 레이온섬유의 열안정성을 조사하였다. 레이온섬유의 중량, 직경 및 열안정성은 승온속도 및 난연제 종류와 함량에 의존하였으며, $3\;vol\%$ 이하의 농도에서 인산으로 전처리하여 안정화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레이온섬유에 대하여 후속 탄화공정을 준비하기에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CuO를 첨가한 (Ba0.5,Sr0.5)TiO3 세라믹의 소결온도와 전기적 특성의 연구 (Study on the Sintering Tempera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uO Doped (Ba0.5,Sr0.5)TiO3 Ceramics)

  • 윤석우;이규탁;강이구;고중혁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454-457
    • /
    • 2010
  • The influence of CuO addition on what of the $(Ba,Sr)TiO_3$ ceramics was studied.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Ba,Sr)TiO_3$ ceramics was lowered by the addition of CuO additives. The 1 - 5 wt% CuO were selected and employed as the sintering aids. 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 technologies are popular technologies used in the manufacture of microwave devices. In this study, crystallin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uO doped $(Ba,Sr)TiO_3$ ceramic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low temperature sintering properties. The addition of CuO to $(Ba,Sr)TiO_3$ lowered the sintering temperature from $1350^{\circ}C$ to $1150^{\circ}C$. The dependence of the sintering temperature shrinkage rate and mechanism of CuO doped $(Ba,Sr)TiO_3$ ceramics a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Also,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CuO - doped $(Ba,Sr)TiO_3$ ceramics is discussed by the X-ray diffraction (XRD) method.

열분해 및 삭마 환경의 복합재 구조물의 열기계적 연계 해석 (Thermomechanical Analysis of Composite Structures in Pyrolysis and Ablation Environments)

  • 최윤규;김성준;신의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597-60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열분해 및 삭마 환경의 복합재 구조물에 대한 열기계적 연계 해석을 수행하였다. 열분해 과정의 재료 밀도 감소, 기공 가스 확산, 흡열 반응 에너지와 삭마 과정에서의 표면 침식 효과 등을 고려하였다. 상용 유한요소 코드에 교차 연계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완전 연계된 열 해석 및 구조 해석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다. 수치 실험을 통해서 탄소/페놀릭 복합재료의 기본적인 열분해 및 삭마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화학적 및 기계적 삭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에 따른 표면 침식량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열분해 과정의 수축 또는 팽창 변형도가 재료의 열기계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도 검토하였다.

Anato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Indonesian Bamboos Carbonized at Different Temperatures

  • Park, Se-Hwi;Jang, Jae-Hyuk;Wistara, Nyoman J;Hidayat, Wahyu;Lee, Min;Febrianto, Fauz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656-669
    • /
    • 2018
  • Tropical bamboo species, which have a very rapid growth rate, are considered as a promising non-timber forest product capable of exhibiting new functionality by carbonization techn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ized bamboos from Andong (G. pseuudoarundinacea (Steudel) Widjaja), Hitam (G. atrovialacea), Tali (G. apus), Kuning (B. vulgaris Var. striata (Lodd. Ex Lindl)), and Ampel (B. vulgaris Scharad. ex Wendland), and Betung (D. asper). Each bamboo was carbonized at 200, 400, 600, 800, and $1,000^{\circ}C$, respectively, and their phys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volume and weight of carbonized bamboo de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showed the substantial changes of volume and weight between 200 and $400^{\circ}C$. The highest and the lowest density of carbonized samples were found in Ampel bamboo and Betung bamboo, respectively. The density of all carbonized bamboos tended to decrease after carbonization at 200 and $400^{\circ}C$ and relatively become constant afterwards. The carbonized bamboo prepared at 800 and $1,000^{\circ}C$ showed better refining degree. The results of the anatomical observation showed that the vascular diameter of carbonized bamboo decreased with increasing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the shrinkage in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showed similar tendency.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contraction and anatomical contr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prehensive data about Indonesian bamboo charcoals could be obtained and it will be useful for future applicatio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