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pping orientationI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전남지역 청소년기 여학생의 쇼핑유형과 의류제품의 윤리적 소비행동 연구 (The Ethical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Female Adolescents in Jeollanamdo Area by their Shopping Orientation)

  • 위은하;박우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7-71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소비행동을 분석하여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여학생들의 쇼핑성향에 따른 하위요인을 도출하고 이 하위요인에 따른 쇼핑유형을 분류하였다. 이 쇼핑유형의 집단에 따른 청소년 여학생의 의류제품의 윤리적 소비행동 즉 구매, 사용, 처분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쇼핑성향의 하위요인이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기의 여학생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의 경향이 보통보다 낮아 교육이 필요함이 시사되었다. 그리고 쇼핑성향의 하위요인인 충성적 성향, 향유적 성향, 충동적 성향, 모방적 성향, 독립적 성향에 따라 즐거움추구 유형, 중간 유형, 독립추구 유형의 세 쇼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즐거움추구 쇼핑유형은 상대적으로 의류제품의 윤리적 사용행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독립추구 쇼핑유형은 윤리적 구매행동과 윤리적 처분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쇼핑자체를 즐기는 욕구만족의 성향이 낮을수록 혼자서 의사결정을 신중하게 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그리고 구매상표와 점포에 대한 신뢰가 강한 능동적인 성향이 높을수록 의류제품의 윤리적 구매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반면 욕구만족의 성향과 독립적인 성향을 모두 가진 경우 윤리적 사용행동은 더 많이 하였다. 그리고 혼자서 구매의사결정을 하는 독립적 성향만 높을수록 윤리적 처분행동은 높아졌다. 소비단계와 쇼핑성향에 적합한 세분화된 소비자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터넷쇼핑몰 이용 소비자의 쇼핑스타일 유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ypology of Internet Shopping Style in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 문숙재;이윤희;천혜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9호
    • /
    • pp.1-13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internet shopping mall user by their shopping styles an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ed individual cluster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38 men and women who have used internet shopping malls at lead once during the previous 6 months. The internet shopping styles were classified into 4 clusters after facto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Cluster I, named 'high brand proneness', can be described as having low score on devotee tendency. Cluster II, named 'high value proneness', is characterized by a high score on seeking substance. Cluster III, called 'steadiness orientation', can be described as having a tow score on seeking trend and substance. Cluster IV, named 'individuality inclination', can be described as having low score on seeking trend. These four clusters differ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and internet using ti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소비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판매원 서비스 평가와 구매행동 특성 (A Study on Evaluation of Salesperson′s Service and Purchase Behavior as related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 마윤진;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155-1166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1) to identify shopping orientation according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2) to examine perceived importance of servi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 related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3) to find the relationships of evaluation of salesperson's servic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each of customer's personality types. The data were collected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434 female formal wear shopper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ANOV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hopping orientations varied according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E type had stronger Hedonic/self-confidence than I type, F type had higher Depending decision making than T type and P type had higher Quick decision making than J type. And service items satisfied the customers with a certain personality type. E type was satisfied with timely and proper A/S, not forcing to purchase and trustful behavior of salesperson more than I Type was. And also with expertise, individualized care, polite attitude, and merchandising promotion. N type was satisfied with individualized care more than S type was. A service evaluation criterion affected the re-purchase intention for a customer with a certain personality type. Customer's convenience in E. I. S, N, T, F, J typ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Expertise/ care in E, N, T, J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lso Politeness in E, I, S, N, T, J, P types did. But in only E type, Merchandising promotion affected re-purchase intention.

  • PDF

인터넷 이용고객의 장기지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관계기간의 조절효과- (A model of internet customer long-term orienta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length)

  • 황화철;서용한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7권
    • /
    • pp.147-165
    • /
    • 2001
  • 인터넷비즈니스 기업이 고객과의 성공적인 관계유지를 위해서는 자신들이 구축한 고객베이스내 고객들간 태도나 구매행동패턴 차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 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터넷 고객의 장기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와 장기지행성 간의 관계가 거래 특성변수인 거래기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 았다. 탐색적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인터넷 쇼핑몰에서 상품구매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 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정보탐색과 구매 단계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선택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Buyers' Choice of Online vs. Offline Channel at Information Search and Purchase Stages)

  • 김상훈;박계영;박현정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2권3호
    • /
    • pp.69-90
    • /
    • 2007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구매과정을 정보탐색 및 구매결정 단계로 나누어 각각의 단계에서 소비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채널을 선택하는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어떤 요인이 채널 전환(온라인 탐색$\rightarrow$오프라인 구매, 오프라인 탐색$\rightarrow$온라인 구매)을 가져오는지 검증하였다. 영향 요인으로는 소비자 개인 특성, 제품 특성, 구매 상황과 관련된 10개 변수를 고려하였으며, 순차적 로짓(sequential legit) 기법을 사용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탐색 단계에서는 소비자의 채널에 대한 지식이 채널 선택에 영향을 미쳤으며 쇼핑에서 재미를 추구하거나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경우 오프라인 채널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온라인으로 쇼핑한 경험이 많은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정보를 탐색하는 경향이 높았다. 구매 단계의 검증결과는 탐색 채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정보를 탐색한 경우, 온라인 쇼핑경험이 많거나 가격추구의 쇼핑 가치를 크게 느끼거나 시간적 여유가 없는 소비자일수록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경향이 높았던 반면에, 필요한 정보의 양이 많거나 제품에 대한 관여도와 인지된 위험이 높은 소비자는 구매 단계에서 오프라인 채널로 전환하였다. 한편 소비자가 오프라인에서 정보를 탐색한 경우, 쇼핑에서 편의나 재미를 추구하는 소비자와 시간적 여유가 없는 소비자일수록 오프라인에서 구매할 가능성이 높았고, 온라인 쇼핑경험이 많은 소비자는 구매 채널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경향이 높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정보탐색 및 구매 단계에서 채널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서로 다름을 보여주었으며 두 개의 채널을 모두 제공하는 유통 업자에게 매우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Impacts of Information Source and E-service Quality on Mobile Shopping Behavior in KakaoTalk

  • Yi, Kyong-Hwa;Jeon, Sua;Kim, HaeJung Maria;Forney, Judith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6호
    • /
    • pp.32-51
    • /
    • 2016
  • KakaoTalk has become a reputed mobile social network and an inseparable part of people's lives by leading the mobile industry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in academia regarding perception of the consumers and assessment toward the mobile marketing and services by KakaoTalk. Based on the theoretical orientation of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Petty & Cacioppo, 1986) and electronic service quality (E-S-QUAL: Parasuraman, Zeithaml, & Malhotra, 200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s (Charles & Richard, 1988), and examines the consumer perception toward the service quality of KakaoTalk. A total of 209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survey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from March 2015 to June 2015. A seven-point Likert scale survey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information sources (i.e., argument quality, post popularity, and post attractiveness), electronic service quality (i.e., efficiency, fulfillment, privacy, and system availability), attitude (i.e., usefulness, preference, and overall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i.e., like intention, share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reveals a consensus that an online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retail context in terms of information source and service quality.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argument quality greatly impacts the attitudes of the individuals and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ward mobile shopping via social media channel. The most powerful factor among E-S-QUAL is "efficiency." This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influences the customer perception of usefulness and preference as well as share and like intention toward mobile shopping on KakaoTal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