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tip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2초

Cryopreservation of in Vitro Grown Shoot Tip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by the Encapsulation-Vitrification Method

  • Yi, JungYoon;Lee, GiAn;Lee, YoungYi;Gwag, JaeGyun;Son, EunHo;Park, HongJa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5-641
    • /
    • 2016
  •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shoot tips grown in vitro were successfully cryopreserved by encapsulation-vitrification. Encapsulated explants are very easily manipulated, due to the relatively large size of the alginate beads, and a large number of samples can be treated simultaneousl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ucrose preculture, cryoprotectant preculture, and post-warm recovery media on regrowth, following liquid nitrogen (LN) exposure, were investigated to establish an efficient encapsulation-vitrification protocol for sweet potato. Shoot tips of plants grown in vitro were precultured in 0.3 M sucrose for 2 d before encapsulation. Encapsulated shoot tips were pre-incubated in liquid MS (Murashige and Skoog) medium containing 0.5 M sucrose for 16 h, before preculturing in sucrose-enriched medium (0.7 M sucrose) for 8 h. Shoot tips were osmoprotected with 35% plant vitrification solution 3 (PVS3) for 3 h, before being dehydrated with PVS3 for 2 h at $25^{\circ}C$. The encapsulated and dehydrated shoot tips were transferred to 2 mL cryotubes, suspended in 0.5 mL PVS3, and plunged directly into liquid N. High levels of shoot formation were obtained for the cv. Yeulmi (65.7%) and Yeonwhangmi (80.3%). The regrowth rates of cryopreserved samples in Yeulmi (78.9%) and Yeonwhangmi (91.3%), following culture on ammonium-free MS medium for 5 d, were much higher than those cultured on standard MS medium (65.7% and 80.3%, respectively). This encapsulation-vitrification is a promising method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sweet potato.

딸기의 잎과 탁엽 절편체로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Plant Regeneration via Organogenesis from Leaf and Stipule Segments of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 최준영;김현정;형남인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47-351
    • /
    • 1998
  • 딸기 '수홍'의 기내배양된 잎과 탁엽 절편체로부터 기관형성을 통한 식물체 재생 방법을 확립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엽절편체 배양에서는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라 NAA 첨가시에는 뿌리 재생, BA 첨가시에는 신초 재생이 이루어졌으며, BA 1.0㎎/L + NAA 0.2 ㎎/L 처리구에서 재생률 31.1%, 절편체당 신초수 1.7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탁엽절편체 배양에서는 생장조절제와 광조건의 처리를 실시하였는데, 명조건에서는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뚜렷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암조건에서는 고농도 BA와 저농도 NAA의 혼용처리가 신초 재생에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탁엽절편체는 BA 2.0 ㎎/L + NAA 0.1㎎/L 처리구에서 재생률 44.4%, 절편체당 신초수 4.0개로 가장 양호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재생된 신초는 NAA 0.1㎎/L 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발근되었으며, 이어서 인공토양(vermiculite : perlite = 1 : 1)에서 성공적으로 활착을 유도할 수 있었다.

  • PDF

Petunia 조직배양시 몇가지 공해물질이 생장반응에 미치는 영향 (Growth Responses of Petunia as Affected by Several Pollutants in Vitro)

  • 백기엽;최성렬;이재욱;최주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7권3호
    • /
    • pp.139-147
    • /
    • 1984
  • This in vitro study was employed to clarify the effects of several pollutants i.e. $SO_2$, fluoride, cadmium(Cd), aluminum(Al) and NaCl, on the organogenesis and growth responses of shoot-tip, stem and multiple-buds segments derived from hypocotyl or cotyledon culture of petunia seedlings. ${Na_2}{SO_3}$levels of more than 200$\mu{g}$/ml had significantly reduced organogenesis,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The injuries caused by ${Na_2}{SO_3}$, concentration of more than 400$\mu{g}$/ml were alleviated by increasing hydrogenion concentration of medium, indicating som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Organogenesis was not affected by the fluoride concentration up to 100ppm in the media, but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greatly reduced by the fluoride. The effect of Cd depended on the explant sources used for the culture; 1.0ppm was effective for fresh weight increase in shoot tip culture, and 3.0ppm in stem segments culture. Organogenesis and growth were greatly reduced by more than 10.0 Cd treatment. Growth and formation of shoots were better with Na conc. of 0.3% compared to control, but those of roots were inhibited. Na concentration goes over 1.0%, organogenesis and subsequent growth were inhibited, and chlorophyll synthesis was drastically reduced. Chlorophyll content was increased o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Al 50$\mu{g}$/ml compared to control. However the formation and growth of shoots were greatly inhibited with more than 400$\mu{g}$/ml and roots were not produced at all.

  • PDF

황칠나무의 경정배양에 의한 기내번식 (In vitro Propagation using Shoot Tip Culture in Gold Tree[Dendropanax morbifera $L_{EV}]$.)

  • 최성규;윤경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64-467
    • /
    • 2001
  • 황칠나무의 선발된 우량개체군의 집단재배시 우량해체간의 교잡에 의해서 형성된 종자를 증식하기 위한 기내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기내 발아, 증식, 발근에 적합한 식물생장조절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칠나무 종자의 무균발아에 적합한 배지로는 MS(Murasinge Skook)기본배지가 발아율이 높고 유식물체(plantlet)의 생장이 양호하여 알맞는 배지로 판단 된다. 기내에서 신초의 증식과 생육에 효과적인 식물생장조절제는 사이토키닌(BAP 0.1~l.0 mg/l)과 오옥신(NAA 0.5~1.0 mg/l)의 혼용처리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기내의 발근은 오옥신의 첨가에서 쉽게 유도되었으며, 그 중에서 NAA1.0 mg/l첨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Thidiazuron이 무궁화 '홍화랑' 품종의 정단배양으로부터 Callus형성과 Multiple Shoot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idiazuron on Callus and Multiple Shoot Formation in Shoot-tip Culture of Hibiscus syriacus L. 'Honghwarang')

  • 김은경;유용권;김기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6권4호
    • /
    • pp.520-524
    • /
    • 1998
  • 본 실험은 무궁화 '홍화랑' 품종의 기내 대량 생산 체계를 구체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연구로서 고체배지 또는 액체배지에서 thidiazuron (TDZ)이 캘루스 형성과 신초의 재분화에 미치는 효과 및 가장 적합한 multiple shoot 형성을 위한 배지의 조건을 유도하여 기내 식물체 대량생산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고체배지에서의 캘루스 형성에 있어서는 TDZ 0.01 mg/L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신초의 생장에 있어서는 BA 0.1 mg/L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TDZ 0.01 mg/L에서는 캘루스의 형성이 가장 좋았고, TDZ 0.001 mg/L과 BA 0.1 mg/L의 혼용처리구에서는 약간의 신초원기가 형성되었다. 신초의 형성은 TDZ 0.001 mg/L에서 가장 잘 되었다. 대량의 multiple shoot를 유도하기 위해서 1단계는 TDZ 0.01 mg/L에서 8주간 캘루스의 형성을 유도한 후, 2단계에서 형성된 캘루스를 TDZ 0.001 mg/L에서 4주간 배양하여 많은 신초원기를 형성시켰다. 3단계는 형성된 신초원기들을 growth regulator-free 배지에 4주간 계대배양하여 multiple shoot 유도 및 발달시켰다. 발근은 MS 기본 배지에 NAA 1.0, 5.0 mg/L와 IBA 5.0 mg/L의 농도에서 효과적이었다.

  • PDF

당근의 다량증식을 위한 순원기 배양 (Shoot Primordium Culture for Multiplication of Carrot)

  • 서호범;이수성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3-97
    • /
    • 1999
  • 당근의 기내 증식에 있어서 계대배양을 반복하더라도 분열능과 재분화능에 차이가 없고 변이가 생기지 않는 순 원기배양법을 확립코자 하였다. 엽 원기 2개가 붙은 경정조직을 BA 2.0 mg/L 와 NAA 0.2 mg/L 를 첨가한 MS 기본 액체배지에 치상하고 24시간 강한 광선 아래 2rpm으로 수직 회전배양하였을 때 순 원기가 유기되고 덩어리로 자라났다. 순 원기 유기는 공여친의 유전자형과 재배 계절 및 발육단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순 원기 덩어리는 사방 2~3 mm정도의 크기로 순 원기가 유기된 배지에 계대배양 하였을때 잘 증식되었는데 표면에 작은 신초를 가진 것과 그렇지 않은 것, 그리고 캘러스의 3가지 형태로 분화하였다. 표면에 작은 신초를 가진 것이 역시 표면에 작은 신초를 가진 순 원기 덩어리로 증식되었다. 이 표면에 작은 신초를 가진 것이 1/2MS 기본배지에 KN 0.2-1.0 mg/L 과 IAA 0.2~1.0 mg/L 를 첨가한 고체배지에서 주로 식물체로 잘 분화하였다. 일단 순 원기가 유기되어 덩어리를 형성한 후에는 1년 동안에 8.7$\times$$10^{12}$개의 비율로 증식될 수 있을 것으로 계산되었다. 그리고 13번의 계대배양 후에도 증식능에 차이가 없었으며 염색체상의 이상도 없었다.

  • PDF

형질전환 감자에서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인 PAT gene의 간편한 확인 (The simple assay of phosphinothricin acetyltransferase gene on the transgenic potato)

  • 정재훈;양덕춘;방극수;최경화;한성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3-259
    • /
    • 1999
  • 제초제 bialaphos에 저항성인 phosphinothricin ace-tytransferase gene이 도입된 형질전환 감자 식물체에서 유전자의 간편한 확인방법을 확립하였다. 먼저 형질전환체와 대조식물체의 잎 disc를 취해 bialaphos 5mg/l를 처리한 액체배지에 치상하였을 때 배양 25일이면 대조식물체의 잎 disc는 완전히 고사되어 형질전환체와 구별이 가능하였다. 감자의 뿌리 생육 비교실험에서는 bialaphos 0.5mg/l의 농도에 agar를 0.6% 첨가한 선발배지에서 식물체의 정단부위를 치상하여 비교하였을 때 7-10일이면 뿌리의 생육차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형질전환여부를 판정할 수 있었다. 또한 감자의 잎 disc를 제초제 bialaphos 0.5mg/l를 처리한 액체배지에 치상하여 15일이 경과한 후 chlorophyll A의 함량을 측정하였을때 형질전환체는 대조식물체보다 2.5배 정도 많은 chlorophyll A를 가지고 있어 형질전환체의 조기 판별시 chlorophyll A함량에 의해 검증이 가능하였다. 한편, 이렇게 형질전환 여부가 확인된 감자 식물체를 이용하여 PAT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 식물체에서는 PAT효소의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형질전환 식물체에서는 모두 효소의 활성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