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dry weight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on early growth of milkweed (Calotropis procera L.) under drought stress

  • Taghvaei, Mansour;Kordestani, Mojtaba Dolat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343-349
    • /
    • 2012
  • The use of growth medium is often recommended milkweed seedlings to grow and develop after emergence, and it is affected by growth medium and local habitat conditions. The effects of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on early growth of milkweed under drought stress (Calotropis procera L.) were studied in a field experiment. A split-split plot experimental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was carried out in the nursery. The main treatment plot was divided into two levels of shade; (no shading and partial shading). Sub treatment plot1 included growth medium at four levels (G1 = clay [suitable for milkweed growth], G2 = clay + sand, G3 = clay + perlite, G4 = clay + perlite + sand) and sub treatment plot2 included drought (irrigation intervals) at six levels (D1 = 2 [control], D2 = 4, D3 = 6, D4 = 8, D5 = 10, and D6 = 12 days per for three month). The results showed that drought stress significantly decreased emergence percentage,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SDW1), root dry weight (RDW), seedling dry weight (SDW2) and vigor index (VI). The use of growth medium increased all seedling characteristics. The G3 (clay + perlite) growth medium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especially in terms of emergence percentage and seedling dry weight. Partial shade improved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and vigor index. Our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treatment for high-vigor milkweed seedlings under drought stress was G3 (clay + perlite) growth medium and partial shade.

벼의 영화수와 생식 생장기 경엽중, 질소함량 및 비구조 탄수화물함량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Spikelet Number with Nitrogen Content, Biomass,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Accumulation During Reproductive Stage of Rice)

  • 이변우;박동하;최일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86-491
    • /
    • 2002
  • 일반계인 추청벼, 화성벼와 통일계인 남풍벼를 공시하여 질소(5수준), 분시방법(2수준) 및 유수형성기 차광처리(3수준)에 따른 영화수, 지경 분화수, 퇴화수 등 영화수 구성요소, 질소함량, 건물중, 비구조탄수화물 등을 조사하여 경엽의 질소보유량 및 건물중과 영화수 구성요소와의 관계, 그리고 영화형성 효율의 품종간 차이를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1차지경수는 유수분화기와 그 후 15일 및 출수기, 3차지경수는 유수분화 후 15일 출수기의 경엽중의 질소보유량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단위면적당 1차지 경수는 유수분화기의 경엽중, 2차지경수는 유수분화 후 15일의 경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다. 2. 단위면적당 2차지경 퇴화수와 영화의 퇴화수는 유수분화 이후 15일간의 경중 증가량, 경중의 비구조탄수화물 증가량, 그리고 이때의 비구조탄수화물 함량과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 단위면적당 영화수는 출수기의 경엽중 질소보유량, 경업의 건물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출수기 경엽중의 질소보유량당 영화수로 표현한 영화형성호율은 통일계인 남풍벼가 일반계인 화성벼와 추청벼보다 높았으며, 영화형성효율은 건물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 기간중 엽의 건물중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경의 건물 중 증가에 따라서는 모든 품종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생식생장기간 동안의 건물 중 증가에 따른 영화형성효율은 구조 탄수화물의 증가에 따라서 감소되었으며, 출수기 경중의 저장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경우 영화형성효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Effect of co-inoculation of Brevibacterium iodinum RS16 and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on the early growth of crop plants in Saemangeum reclaimed soil

  • Kim, Kiyoon;Kwak, Chaemin;Lee, Youngwook;Sa, Tongm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7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ingle and co-inoculation of plant growth promoting bacteria (PGPB) on early plant growth in Saemangeum reclaimed soil. Plant growth promoting Brevibacterium iodinum RS16 and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were inoculated on maize (Zea mays L.)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grown in Saemangeum reclaimed soil. Single and co-inoculation of B. iodinum RS16 and M. oryzae CBMB20 increased plant height, dry biomass accumulation and macro-nutrient accumulation of maize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M. oryzae CBMB20 treatment increased plant height in maize by 41.2% at 30 days after sowing (DAS), shoot dry weight and total dry weigh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Macro-nutrient accumulation (N and P) in maize roo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co-inoculation treatment, K and Ca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B. iodinum RS16 treatmen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Macro-nutrient accumulation (P, K, Ca and Mg) in shoot was higher with M. oryzae CBMB20 treatmen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In case of sorghum-sudangrass hybrid, co-inoculation treatment showed 33.7% increase in plant heigh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at 30 DAS. M. oryzae CBMB20 treatment increased root dry weight and total dry weight, macro-nutrient accumulation in roots and N, Ca and Mg accumulation in shoo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P and K accumulation in shoo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co-inoculation treatment compared to non-inoculated treatment. This pot culture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single and co-inoculation of B. iodinum RS16 and M. oryzae CBMB20 increased the early growth and nutrient accumulation of maize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노지(露地) 및 P. E. film 피복하(被覆下)에서 제초시기(除草時期)와 기간(期間)이 땅콩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Growth and Yield of Peanuts Affected by Weeding Time and Periods in Bare Soil and Under the P. E. film Mulch)

  • 강광희;이석순;이계홍;황형백;이상백;예병덕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57
    • /
    • 1987
  • To know the effects of weeding periods (weeding from 12 days, 28 days and 42 days after seeding to harvest, and weeding from seeding to 14 days, 28 days and 42 days after seeding) and growing conditions such as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mulch (P.E. mulch) and bare soil on growth and yield of peanuts, "Yeongho-Tangkong" was planted on May 10, 1984. Under P.E. mulch, the number of weeds was higher, but the weed dry weight was lower than in bare soil by the middle of July. Sixty days after seedings, the length of main stems in weedy check plots was longer, but shoot dry weight was lower compared to weed free plot.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weed dry weight and the shoot dry weight of peanut on July 14, the growth retardation of peanuts due to weeds was showed earlier under P.E. mulch than in bare soil. Shoot dry weight, shelling ratio, number of seeds per pod, 100 pod weight, and seed yield were higher under P.E, mulch compared to bare soil. But weed dry weight, length of branches, number of pod bearing branches, number of pods per square meters, and pod yield were similar between P.E. mulch and bare soil. Shoot dry weight of peanuts, length of branches, number of pod bearing branches, number of pods per square meters, pod yield, 100 pod weight, 100 seed weight, and seed yield in weed free plots from 28 days after seeding to harvest (28 DAS-Harvest) were higher compared to weed free plots from 42 DAS-Harvest. However, in the weed free plot from seeding to 42 days after seeding seed yield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inuous weeding plot due to lower number of pod bearing branches and number of pods per square meters. When weed was not controlled at the later growth stages of peanuts, reduction in seed yield due to weeds was greater in bare soil than that under P.E. mulch.

  • PDF

Selection of the Most Sensitive Waveband Reflectance for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Calculation to Predict Rice Crop Growth and Grain Yield

  • Nguyen Hung The;Lee Byun 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94-406
    • /
    • 2004
  • A split-plot designed experiment including four rice varieties and 10 nitrogen levels was conducted in 2003 at the Experimental Far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on, Korea. Before heading, hyperspectral canopy reflectance (300-1100nm with 1.55nm step) and nine crop variables such as shoot fresh weight (SFW), leaf area index, leaf dry weight, shoot dry weight, leaf N concentration, shoot N concentration, leaf N density, shoot N density and N nutrition index were measured at 54 and 72 days after transplanting. Grain yield, total number of spikelets, number of filled spikelets and 1000-grain weight were measured at harvest. 14,635 narrow-band NDVIs as combinations of reflectances at wavelength ${\lambda}l\;and\;{\lambda}2$ were correlated to the nine crop variables. One NDVI with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 given crop variable was selected as the NDVI of the best fit for this crop variable. As expected, models to predict crop variables before heading using the NDVI of the best fit had higher $r^2$ (>10\%)$ than those using common broad- band NDVI red or NDVI green. The models with the narrow-band NDVI of the best fit overcame broad- band NDVI saturation at high LAI values as frequently reported. Models using NDVIs of the best fit at booting showed higher predictive capacity for yield and yield component than models using crop variables.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X) -이식상(移植床)에서의 엽(葉) 생장(生長)과 타(他) 기관(器官) 생장(生長)과의 관계(關係)- (Effects of Inorganic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X) -The Influence of Shading Pretreatment and Density on the Needle Growth and Other Organs in the Transplanting Bed-)

  • 김영채;전상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43-150
    • /
    • 1989
  • 본(本) 연구(硏究)는 무기적(無機的) 환경요인(環境要因)이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육(生育)에 마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의 일환(一環)으로 이식상(移植床)에서 상대광도(相對光度)와 식재밀도(植栽密度)를 달리하여 생육(生育)시킨 잣나무 묘(苗)의 엽(葉) 중량생장(重量生長)과 타(他) 기관(器官) 생장간(生長間)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 것으로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상대광도별(相對光度別)에 있어서 엽건중(葉乾重)과 타(他) 생장(生長)(지상부(地上部) 건중(乾重), 지하부(地下部) 건중(乾重), 묘(苗) 건중(乾重), 묘경(苗徑)) 간(間)에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 있었고, 또 이들 간(間)에는 1차회귀(次回歸) 관계(關係)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엽(葉) 건중(乾重)과 묘장(苗長) 간(間)에는 2차(次) 곡선회귀(曲線回歸) 관계(關係)에 있었다. 식재밀도(植栽密度) 별(別)에 있어서는 엽건중(葉乾重)과 지상부(地上部) 건중(乾重) 및 묘장(苗長) 간(間)에는 2차(次) 곡선회귀관계(曲線回歸關係)에 있었고, 지하부(地下部) 건중(乾重) 및 묘건중(苗乾重) 간(間)에는 1차회귀(次回歸) 관계(關係)에 있었다. 그러나 묘경(苗徑) 간(間)에는 상관(相關)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2. 상대광도(相對光度) 별(別)에 있어서 엽면적(葉面積)과 지상부(地上部) 건중(乾重) 및 묘(苗) 건중(乾重) 간(間)에는 1차회귀(次回歸) 관계(關係)에 있었고, 지하부(地下部) 건중(乾重) 간(重)과는 지수곡선(指數曲線) 관계(關係), 그리고 엽면적(葉面積)과 묘장(苗長) 간(間)에는 2차곡선(次曲線) 관계(關係)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묘경(苗徑) 간(間)에는 대수(代數) 곡선적(曲線的) 경향(傾向)이었다. 식재밀도(植栽密度) 별(別)에 있어서는 엽면적(葉面積)과 지상부(地上部) 건중(乾重) 간(間)에는 대수곡선(代數曲線) 회귀관계(回歸關係)에 있었고, 지하부(地下部) 건중(乾重) 및 묘(苗) 건중(乾重) 간(間)에는 직선회귀(直線回歸) 관계(關係)에 그리고 엽면적(葉面積)과 묘장(苗長) 및 묘경(苗徑) 간(間)에는 2차곡선(次曲線) 회귀(回歸) 관계(關係)에 있었다.

  • PDF

Effects of seed sources and shade on vigor of Brant's oak seedling

  • Taghvaei, Mansour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4호
    • /
    • pp.299-306
    • /
    • 2010
  • The use of local seed provenance is often recommended in forest restoration. Early vigor is a combination of the performance of seed germination and emergence after planting. The ability of young Brant's oak plants to grow and develop after emergence and its dependence on local habitat condition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eed source and shade on early growing seedlings of Brant's oak (Quercus brantii L.) were determined in field measurements. Seeds of Quercus brantii L. were collected from 4 forest areas (seed sources) in southern Zagros (Provinces of Kohkilouyeh-Bouyer Ahmad and Fars) at altitudes of 850, 1,100, 1,500, 2,100 m a.s.l., and planted in a nursery constructed in southwestern Iran. According to a split-plot design consisting of four blocks, each containing two main treatment plots (no shading, partial shading), each main plot was sub-divided into four sub-plots (for elevations of 850, 1,100, 1,500 and 2,100 m). Results showed that shade treatments had significant effects on emergence percentage and rate, shoot length, shoot dry weight (SDW), root dry weight (RDW), leaf area (LA), and chlorophyll content. Ecological factors also had an effect on seed performance. Altitude of seed source had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root length, LA, SDW, and RDW. The seeds collected from 850 m a.s.l. elevation showed the highest performance, especially in leaf area, root length, shoot dry weight, and root dry weight. Our results showed that the altitude of 850 m a.s.l. was the best for collecting Brant's oak seeds.

현호색속 Pes-gallinaceua절 집단의 생장특성 (Several Growth Properties of Pes-gallinaceua (Corydalis, Fumariaceae) Group)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4호
    • /
    • pp.181-188
    • /
    • 2003
  • 남한산성 지역에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2년 동안 춘계단명식물의 생육특성을 밝히기 위해 현호색속의 Pes-gallinaceua절에 속하는 집단에서 괴경을 중심으로 생육기 동안 생장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육초기 괴경에서 지상부의 발생은 토양의 해빙에 따라 일어났으며 토양의 깊이가 깊을수록 지상부의 출현시기가 늦었다. 현호색은 3월 하순에 지상부가 출현하고 5월 초순에 고사하여 총 생육기간은 평균 45일 정도 이었다. 현호색 집단에서 괴경과 총 건중량에 의한 개체의 크기별 빈도는 최소계급이 가장 높았으며(총 건중량에서 40%, 괴경의 건중량에서 53%)중간계급 이하의 빈도는 전체의 93(총 건중량)∼96%(괴경의 건중량)을 나타내 작은 개체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체군으로 나타났다. 괴경은 생육초기 지상부가 출현하여 일이 완전히 전개되기 전까지 비중이 0.14까지 감소하였다가 생육기 말 종자가 결실하고 지상부가 고사하는 시기에 0.42까지 증가하였다가 이 후에 다시 서서히 감소하였다. 한편, 생식기관이 있는 것은 없는 것에 비하여 생육기간 동안 괴경의 비중이 낮았으며 1% 이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생육기말 괴경의 부피에 따른 괴경의 비중은 감소하였고 엽면적은 대체로 증가하였으나 경향성이 뚜렷하지 않았으며 지상부/지하부의 비율은 일정한 경향성이 없었다. 한편, 괴경의 건중량이 증가할수록 괴경의 비중은 감소하였고 엽면적은 증가하였으며 증가 혹은 감소하는 경향성은 뚜렷하였다. 작은 개체일수록 괴경에 많은 양의 에너지를 축적하였으며 지상부/지하부의 비율은 개체마다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퀴노아 (Chenopodium quinoa Willd.)의 생장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odels for Estimating Growth of Quinoa (Chenopodium quinoa Willd.)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 오스틴 지라파;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6-331
    • /
    • 2018
  • 작물 생육 모델은 작물의 생육을 이해하고 통합하기 위해 유용한 도구이다.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엽채류로 활용하기 위한 퀴노아(Chenopodium quinoa Willd.)의 초장, 광합성률, 생장 모델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1차식, 2차식 및 비선형 및 선형지수 등식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식물 생육과 수량은 정식 후 5일간격으로 측정하였다. 광합성과 생장 곡선 모델을 계산하였다. 초장과 정식 후 일수(DAT)간의 선형 및 곡선 관계를 얻었으나, 초장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모델은 선형 등식이었다. 광합성률 모델을 비선형 등식을 선택하였다. 광보상점, 광포화점, 및 호흡률은 각각 29, 813 and $3.4{\mu}mol{\cdot}m^{-2}{\cdot}s^{-1}$였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선형관계를 보였다. 지상부 건물중의 회귀계수는 0.75 ($R^2=0.921^{***}$)였다. 선형지수 수식을 사용하여 시간 함수에 따른 퀴노아의 지상부 건물중 증가를 비선형 회귀식으로 수행하였다. 작물생장률과 상대생장률은 각각 $22.9g{\cdot}m^{-2}{\cdot}d^{-1}$ and $0.28g{\cdot}g^{-1}{\cdot}d^{-1}$였다. 이러한 모델들은 정확하게 퀴노아의 초장, 광합성률,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을 예측할 수 있다.

정단 및 마디조직 배양을 통한 지황의 기내 증식 (In Vitro Propagation by Shoot-tip and Node-bud Culture of Rehmannia glutinosa)

  • 백기엽;유광진;박상일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68
    • /
    • 1998
  • 정단 및 마디조직을 이용한 지황의 기내증식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일련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재생된 신초의 정단을 재배양하였을 경우 BA 5.0 mg/L에서 7.8개의 신초가 형성되었으며 투명화된 묘의 발생은 Gelrite 보다는 Bacto-agar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 광도와 한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초형성수 및 생장은 억제되었고 생체중 : 건물중의 비율도 감소하였다. 광도가 2000 lx일 때는 Bacto-agar 0.6-1.2%, 3,000 lx에서는 한천 0.4-0.6%에서 건전한 신초를 10개 이상 생산할 수 있었다. 활성탄소 0.1-0.3%첨가는 신초의 생장촉진과 뿌리형성에 촉진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투명화 발생률도 감소시켰으나 신초형성수는 현저히 감소시켰다. MS배지내 첨가되는 다량원소의 농도를 0.8-1.0배 하였을때 신초형성수 및 생장이 촉진되었다. 기관형성에 미치는 오옥신의 종류 및 농도별 효과를 조사한 결과 NAA나 IBA 보다는 IAA 0.3mg/L 와 BA 5.0mg/L를 혼합처리 하였을 때 증식률이 16배에 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