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lf-stability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1초

염지어(鹽漬漁) 동결저장 중 Shelf life 연장을 위한 저온삼투압탈수법(低溫?透壓脫水法)의 적용 (Application of Cold-Osmotic Dehydration Method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during Frozen Storage of Filleted and Salted Fishes)

  • 이응호;이정석;주동식;조순영;최흥길;김진수;조만기;조덕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22-729
    • /
    • 1997
  • 염지어의 동결저장시 품질변화를 최소화 하기 위한 연구로써, 2종의 어류(고등어, 조피볼락)를 저온삼투압 탈수법으로 전처리한 다음 동결저장$(-18{\pm}2^{\circ}C)$ 중 품질안정성을 검토하였다. 갈변도는 탈수시트로 처리한 염지어가 무처리 염지어 보다 저장 중 증가폭이 적었으며, 과산화물값 및 카로보닐값의 경우 동일어종간에 있어 탈수시트 처리유무에 관계없이 저장 중 증가폭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가압 및 유립드립의 발생량은 탈수시트로 전처리한 것이 무처리한 염지어 보다 적었고, 보수력도 우수하였다. 한편 염용성질소 함량 및 Ca-ATPase 활성 잔존율은 동결저장 중 저온삼투압 탈수법으로 전처리한 염지어가 무처리 염지어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어종간의 변화폭은 고등어가 조피볼락에 비해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결저장 7일째의 근육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본 결과, 탈수시트로 전처리한 염지 고등어 및 조피볼락은 근원섬유의 기본적 구조 및 Z선이 뚜렷하게 유지 되었지만, 무처리 염지어는 근원섬유의 기본적 구조 및 Z선이 불명확하거나 붕괴되어 있었으며, 특히 염지 고등어가 염지 조피볼락에 비해 동결저장 중 근육조직의 붕괴가 심하였다. 이는 본 저온삼투압탈수법이 냉동내성이 약한 어류에 적용시키면 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화학 및 조직학적 관찰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탈수시트로 전처리한 후 염지어를 동결저장하면, 여러가지 품질악변 중에서 특히 단백질의 변성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향후 다른 어육냉동식품의 shelf life 연장에도 응용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Effect of Aging and Freezing Conditions on Meat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of 1++ Grade Hanwoo Steer Beef: Implications for Shelf Life

  • Cho, Soohyun;Kang, Sun Moon;Seong, Pilnam;Kang, Geunho;Kim, Youngchoon;Kim, Jinhyung;Chang, Sunsik;Park, Beom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40-44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shelf life of $1^{++}$ grade Hanwoo beef by evaluating the changes in meat quality and storage stability under distribution conditions similar to those during export to Hong Kong and China. Four muscles of the loin, striploin, tenderloin, and top round muscles were obtained from 10 animals of $1^{++}$ grade Hanwoo steers. The distribution conditions were 0, 7, or 14 d of aging at $2^{\circ}C$ and continuous storage at $-18^{\circ}C$ for 0, 3, 6, or 9 mon. The lightness (CIE $L^*$) values decreased as the duration of freezer storage increased (p<0.05). The water-holding capacity of 4 muscles increased as the aging time increased when they were frozen for 3 mon (p<0.05). The cooking loss values of the four musc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freezer storage increased (p<0.05). The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oin, striploin, and top round muscles as the aging time increased (p<0.05). The changes in volatile basic nitrogen (16.67-18.49 mg%) and thiobarbituric reactive substance values (0.75-0.82 mg MA/kg mea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meat was frozen for 9 mon after 14 d of aging.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the shelf life of $1^{++}$ grade Hanwoo beef during distribution should be limited to less than 9 mon of freezer storage at $-18^{\circ}C$ after 14 d of aging at $2^{\circ}C$.

완충 수용액중 로이신엔케팔린 및 [D-알라$^2]$-로이신엔케팔린아미드의 물리화학적 안정성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Leucine Enkephalin and $[D-Ala^2]$-Leucine Enkephalinamide in Buffered Aqueous Solution)

  • 박인숙;전인구
    • 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88-495
    • /
    • 1994
  •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ransmucosal delivery of leucine enkephalin (Leu-Enk) and its synthetic analog, $[D-Ala^2]$-leucine enkephalinamide (YAGFL), their physicochemical stabilities in aqueous buffered solutions were first investigated using a stability indicat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degradation of Leu-Enk and YAGFL followed the pseudo-first-order kinetics. From the pH-rate profiles, it was found that the maximal stability of the two pentapeptides was at the pH of about 5.0. The shelf lives $(t_{90%})$ for the degradation of Leu-Enk and YAGFL at pH 5.0 and $40^{\circ}C$ were found to be 48.13 and 50.9 days, respectively.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degradation, activation energies for Leu-Enk and YAGFL were calculated to be 13.61 and 13.47 kcal/mole, respectively. A higher ionic strength and a higher initial peptide concentration in buffered solution slowed the degradation of the two pentapeptides. The addition of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into the peptide solution did not affect the stability significantly.

  • PDF

Enzymatic and/or chemical dosages coupled with the clarification of the sample applied to the screening evaluation of heat load in commercial milks

  • Humbert, Gerard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5년도 제61회 국제 유가공 심포지움
    • /
    • pp.11-19
    • /
    • 2005
  • Heat treatment is essential for hygienic safety and for extending shelf-life of milk. Heating of milk affects principally its physicochemical, nutrition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The most important changes are the decrease in whey protein solubility and the decrease in stability of casein micelles. Maillard reactions are also important and undesirable consequences.

  • PDF

오메프라졸과 메글루민의 복합체 형성과 안정성 (Complexation of Omeprazole with Meglumine and its Stability)

  • 이계주;김성욱;도기찬;박종범;황성주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7권4호
    • /
    • pp.253-263
    • /
    • 1997
  •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of omeprazole (OMP) and meglumine (MEG), a complex was prepared by freeze-drying method in ammoniacal aqueous medium at room temperature and subjected to IR, DSC, and 1H NMR analysis.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e complex was tested by accelerated stability analysis, and the dissolution rate of both powder and enteric coated was determined pellet by paddle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 IR, DSC, and $^{1}H$ NMR studies indicate the formation of inclusion complex between OMP and MEG probably by electrostatic forces as $[OMP]\;[MEGH]^+$ form in a stoichiometric ratio (1:1) of OMP : MEG. ii) The dissolution rate of enteric coated OMP-MEG complex pellet in simulated enteric fluid was 90.6% in 10 minutes, which may satisfy the requirement for the regulation of dissolution. iii) OMP-MEG complex were decomposed according to pseudo 1st order kinetics: while the decomposition of OMP showed a rate constant $(k_{25^{\circ}C})$ of $5.13{\times}10^{-4}{\cdot}\;day^{-1}$, a half-life$(t_{1/2})$ of 1,350 days, a shelf-life$(T_{90%})$ 205 days and an activation energy of 23.53 kcal/mole. OMP-MEG complex inhibited a rate $(k_{25})$ of $2.92{\times}10^{-4}{\cdot}\;day^{-1}$, a half-life$(t_{1/2})$ of 2,373 days, a shelf-life $(T_{90%})$ of 306 days and an activation energy of 20.18 kcal/mole. iv) OMP was stabilized markedly by the formation of OMP-MEG complex between OMP and MEG, and the humidity increased the stability of OMP-MEG complex by decreasing the decomposition rate$(k_{50^{\circ}C})$ from $1.27{\times}10^{-2}{\cdot}\;day^{-1}$ at 31% R.H. to $2.54{\times}10^{-2}{\cdot}\;day^{-1}$ at 90% R.H.

  • PDF

구운 계란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생물학적 유통기한 설정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helf Stability of Whole Baked Egg)

  • 김동호;송현파;이유석;차보숙;김병근;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94-399
    • /
    • 2004
  • 난 가공식품인 구운 계란의 포장유통을 목적으로 구운 계란 제조공정 중의 미생물 오염도를 평가하였으며 미생물 살균방법으로 감마선 조사와 고온가압살균법을 비교하여 제품의 보존 안정성 및 유효 유통기한 확보를 위한 살균 기준을설정하였다. PE 포장지에 낱개 포장한 구운 계란의 미생물오염도는 일반세균 > 10$^{4}$ CFU/g, 대장균군 < 10$^{1}$ CFU/g, 곰팡이 포자 > 10$^{2}$ CFU/g 수준이었으며 대부분의 미생물은 제품포장과정에서의 2차 오염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살균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구의 보존성은 상온에서 1주일 이하였으며 121$^{\circ}C$ 에서 15 분간 처리한 고온가압살균제품과 5 kGy 이상의 감마선을 조사한 제품은 미생물학적으로 상온에서 3개월 이상의 유통기한을 확보하였다. 10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는 구운 계란의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고온가압살균 처리한 구운계란은 조직이 단단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5 kGy 이하의 감마선을 조사한 구운 계란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0 kGy의 감마선을 조사한 시료는 향과 맛에서, 고온가압살균 시료는 질감에서 다소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구운 계란의 상온 장기유통을 위한 감마선 조사는 5 kGy가, 적당하며 유통기한은 상온 3개월이 적정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홍삼사포닌의 수용액에서의 안정성 (Stability of Red Ginseng Saponin in Aqueous Solution)

  • 이승진;김신일;김길수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4권4호
    • /
    • pp.227-231
    • /
    • 1994
  • The stability of red ginseng saponin in aqueous solution was studied with the acceleration test method.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of ginsenoside Rb1, an index component of red ginseng saponin, was $2.371{\times}10^{-4}\;day^{-1}$ at $20^{\circ}C$, and the shelf-life was about 570 days. The pH-rate profile demonstrated that the most stable range was pH 6-8. Mannitol and benzyl alcohol, common excipients for injection, exerted no influence on the degradation reaction of ginsenoside Rb1.

  • PDF

Recent Progress in Cathode Materials for Thermal Batteries

  • Ko, Jaehwan;Kang, Seung Ho;Cheong, Hae-Won;Yoon, Young Soo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33-255
    • /
    • 2019
  • Thermal batteries are reserve batteries with molten salts as an electrolyte, which activates at high temperature. Due to their excellent reliability, long shelf life, and mechanical robustness, thermal batteries are used in military applications. A high-performance cathode for thermal batterie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its high capacity, high voltage, and high thermal stability. Research progress on cathode materials from the recent decade is reviewed in this article. The major directions of research were surface modification, compounding of existing materials, fabrication of thin film cathode, and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In order to develop a high-performance cathode, a proper combination of these research directions is required while considering mass production and cost.

분말 제품의 품질 인자 규명 및 저장 수명 예측 (Quality Factor Determination and Shelf-Life Prediction of Powdered-Model Food)

  • 백은경;박석준;이강표;최성원;허남윤;백무열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60-167
    • /
    • 2007
  • 분말 식품의 저장수명 예측 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분함량을 달리한(3.5%, 6%, 8%) 아침생식 시료를 $25^{\circ}C$$35^{\circ}C$ 저장고에서 저장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분함량의 경우 제조 시 전체적으로 평형수분함량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포장을 하여서 저장기간 중에 약간의 변화를 보여 주었으나 그 변화의 폭은 그리 크지 않았다. 과산화물가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안정하여 시료 중에 존재하는 지방이 독류 조직과 강력히 결합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산화에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품질변화가 어느 정도 인지 되었고, 묽은 맛이 강해지고 색이 탁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그 변화 폭은 그리 크지 않아 1년 동안 장기 저장하여도 관능적으로 수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 시험 결과 B. cereus, Listeria spp., C. perfringens, Salmonella spp. 및 S. aureus 등의 유해 미생물들은 저장기간 중 발견되지 않아 식품 위생상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유산균수는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저장온도와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유산균수의 감소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분말 식품의 경우 본 실험에서 사용한 저장 온도 및 습도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정하여 저장기간동안 품질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품질 지표 인자를 규명하기가 불가능 하였다. 다만 저장 중 온도와 습도에 민감한 반응을 보인 유산균 수의 변화를 품질 지표 인자로 활용할 수 있다면 이를 이용한 저장 수명 예측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