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r joint

검색결과 1,002건 처리시간 0.029초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석회암 자연절리면의 전단특성 분석사례 (Case Study on the Shear Characteristics of Limestone Joint Surfaces by Direct Shear Tests)

  • 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5호
    • /
    • pp.292-304
    • /
    • 2019
  • 완만한 거칠기를 갖는 석회암 자연절리면에 대하여 KSRM 표준시험법에 의거한 개별적 직접전단시험과 수직응력을 단계별로 조절하는 다단계 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을 통해 전단시험 전후의 절리면 거칠기 변화를 알아보았고, 두 가지 시험에서 얻은 전단특성 값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두 가지 시험에서 모두 절리면의 거칠기가 클수록 전단저항은 증가하였으며, 수직응력이 증가할수록 절리면의 전단에 필요한 최대전단응력 값은 증가하였다. 다단계 직접전단시험으로 구한 최대마찰각은 개별적 직접 전단시험으로 구한 것의 63% 수준에 불과하였다. 다단계시험은 절리면 요철부의 초기 맞물림이 단계적인 전단과정에 따라 시험 중 수시로 변화되어 원래의 거칠기가 변형되기 때문에 암석 절리면의 마찰각을 구할 때는 개별적 직접전단시험이 더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JRC값 4~8의 완만한 거칠기를 갖는 석회암 절리면의 물성값은 최대마찰각 $47^{\circ}$, 잔류마찰각 $38^{\circ}$, 점착력 37 kPa으로 평가되었다.

슬래브확장을 위한 접합부의 전단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performance of Joints for slab extension)

  • 유한국;박태원;정란;이상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109-110
    • /
    • 2009
  • 본 연구는 리모델링을 통한 슬래브 확장 시, 기존슬래브와 신설슬래브의 접합부에 작용하는 전단성능을 알아보았다. 실험체의 변수는 강관콧타, 전단철근, H형강, 스터드볼트, 원형전단키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할 예정이다. 실험의 결과, 충분한 전단강도를 보인다면 이를 접합부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 PDF

링 전단시험기를 이용한 연암의 절리에 대한 잔류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ual Stress Characteristics for Joint of Soft Rock in Ring Shear Tests)

  • 권준욱;김선명;윤지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1-288
    • /
    • 2000
  •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failure criteria for joints of soft rock using ring shear test machine. The residual stress fellowing shear behavior was determined by the result of ring shear test and direct shear test. Ring shear test with the specimens which cover a large deformation range was adapted to measure a residual stress, and was possible to present the peak stress to present the peak stress to the residual stress at the same time. Residual stress is defined a minimal stress of specimens with a large displacement and the result of the peak residual stress is shown by a size of displacement volume. Therefore, the residual stress in soil was decided by shear stress of maximum shear stress - shear displacement(angle) based on the test result of a hyperbolic function ((equation omitted), a, b = experimental constant). In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residual stress of rock joint can be determined by using of this method.

  • PDF

절곡형 전단보강근을 사용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이력 거동 (Hysteretic Behavior of Slab-Column Joint Using Bended Type Shear Reinforcement)

  • 이현호;이도범;이리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11-21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거주형 무량판 구조의 뚫림 전단을 방지하기 위한 연속 절곡된 전단 보강근을 개발하였다. 이를 적용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있어 개발 전단 보강근의 뚫림 전단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변수는 전단보강근이 없는 경우, 개발 전단보강근을 사용한 경우, 헤드 스터드를 사용한 경우이다.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정축력하에서의 이력 하중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전체 변위 및 접합부 강도 등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개발된 전단보강근이 층간변위비 거동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고성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탈 교량 접합부에 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Joints in Ultra High Performance Precast Concrete Segmental Bridges)

  • 이창홍;진원종;최은석;김영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35-244
    • /
    • 2011
  • 세그멘탈 교량의 파괴는 부적절한 접합에 의해 파괴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는 세그멘탈 접합부를 가로지르는 횡방향 텐던의 부식을 야기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현장 타설 접합 및 에폭시 접합 조건에 따른 초고성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접합부에서의 전단키 거동을 전단 및 극한거동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또한, PC 세그멘탈 교량 접합부의 전단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단키 접합부의 전단 거동과 전단강도 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접합부 형상에 따른 하중-변위 관계, 균열 거동, 파괴 모드, 전단 강도 등을 구명하고, 접합부의 역학적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에 대해 분석한다. 또한 이로부터 최적의 접합부 형상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최적의 접합 방식을 검토함으로서 접합부 설계의 지침과 해석의 근거를 제시하도록 한다.

보-기둥 접합부 비탄성 전단거동을 고려한 5층 철근콘크리트 보통모멘트골조의 푸쉬오버해석 (Pushover Analysis of a 5-Story RC OMRF Considering Inelastic Shear Behavior of Beam-Column Joint)

  • 강석봉;김태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17-524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푸쉬오버해석을 통해 보-기둥 접합부 비탄성 전단거동과 고차모드를 고려한 횡하중 수직분포 형태가 구조물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반조건 $S_B$ 내진설계범주 C에 대해서 5층 철근콘크리트 보통모멘트골조를 KBC2009에 맞게 구조설계 하였다. 보 및 기둥 부재의 휨모멘트-곡률 관계는 섬유모델(fiber model)로 확인하였으며 보-기둥 접합부 모멘트-회전각 관계는 simple and unified joint shear behavior model과 보-기둥 접합부 모멘트 평형관계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푸쉬오버해석 결과 보-기둥 접합부를 강체로 고려하는 경우 구조물의 강성도 및 강도가 과대평가 되었으나 반응수정계수는 접합부 비탄성거동과 관계없이 KBC2009 보통모멘트골조 계수를 만족하여 구조 설계 과정에서 보-기둥 접합부의 비탄성 전단거동을 고려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Joint shear strength prediction for reinforced concrete beam-to-column connections

  • Unal, Mehmet;Burak, Burcu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1권3호
    • /
    • pp.421-440
    • /
    • 2012
  • In this analytical study numerous prior experimental studies on reinforced concrete beam-to-column connections subjected to cyclic loading are investigated and a database of geometric properties, material strengths, configuration details and test results of subassemblies is established. Considering previous experimental research and employing statistical correlation method, parameters affecting joint shear capacity are determined. Afterwards, an equation to predict the joint shear strength is formed based on the most influential parameters. The developed equation includes parameters that take into account the effect of eccentricity, column axial load, wide beams and transverse beams on the seismic behavior of the beam-to-column connections, besides the key parameters such as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reinforcement yield strength, effective joint width and joint transverse reinforcement ratio.

튜브형 단면겹치기 접착조인트의 비선형 반복연산해에 관한 연구 (Nonlinear Iterative Solution for Adhesively Bonded Tubular Single Lap Joints with Nonlinear Shear Properties)

  • 이수정;이대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7호
    • /
    • pp.1651-1656
    • /
    • 1995
  • The adhesively bonded tubular single lap joint shows large nonlinear behavior in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 because structural adhesives for the joint are usually rubber toughened, which endows adhesives with nonlinear shear properties. since the majority of load transfer of the adhesively bonded tubular single lap joint is accomplished by the nonlinear behavior of the adhesive, its torque transmission capability should be calculated incorporating nonlinear shear properties. However, both the analytic and numerical analyses become complicated if the nonlinear shear properties of the adhesive are included during the calculation of torque transmission capabilities. In this paper, in order to obtain the torque transmission capabilities easily, an iterative solution which includes the nonlinear shear properties of the adhesive was derived using the analytic solution with the linear shear properties of the adhesive. Since the iterative solution can be obtained very fast due to its simplicity, it has been found that it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the adhesively bonded tubular single lap joint.

The effect of compression load and rock bridge geometry on the shear mechanism of weak plane

  • Sarfarazi, Vahab;Haeri, Hadi;Shemirani, Alireza Bagher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3권3호
    • /
    • pp.431-446
    • /
    • 2017
  • Rock bridges in rock masses would increase the bearing capacity of Non-persistent discontinuities. In this paper the effect of ratio of rock bridge surface to joint surface, rock bridge shape and normal load on failure behaviour of intermittent rock joint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42 various models with dimensions of $15cm{\times}15cm{\times}15cm$ of plaster specimens were fabricated simulating the open joints possessing rock bridge. The introduced rock bridges have various continuities in shear surface. The area of the rock bridge was $45cm^2$ and $90cm^2$ out of the total fixed area of $225cm^2$ respectively. The fabricated specimens were subjected to shear tests under normal loads of 0.5 MPa, 2 MPa and 4 MP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hear mechanism of rock brid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ailure pattern and the failure mechanism were affected by two parameters; i.e., the ratio of joint surface to rock bridge surface and normal load. So that increasing in joint area in front of the rock bridge changes the shear failure mode to tensile failure mode. Also the tensile failure change to shear failure by increasing the normal load.

암석의 절리면 거칠기 정량화 기법 개발을 통한 절리면 전단강도 특성 분석 (Analysis fo the Rock Joint Strength Characteristics Using New Rock Joint Roughness Quantification Method)

  • 이인모;홍은수;배석일;이석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29-2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절리면 거칠기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표면 거칠기 계수, Rs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절리면 거칠기가 절리면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Rs를 이용하여 새로운 절리면 전단강도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표면 거칠기 계수인 Rs는 암반의 절리면 거칠기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s에 의한 암코아 규모의 절리면 거칠기 측정에는 최대 측정간격으로 2mm, 최소 측정 길이로 5cm가 적당하나, 이를 대규모의 현장 절리면에 확대 적용하기 위해서는 변동규모(scale of fluctuation), $\delta_u$를 도입하여야 한다. 절리면 거칠기가 작은 경우, 전단강도는 절리면에서의 미끄러짐으로 유발되었으나, 거친 절리면에서의 전단강도는 거칠기의 일부분이 파괴됨으로 인하여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