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ear block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1초

국산 침엽수 철물접합부의 인장하중 특성 (Tensile Properties of Metal Plate Connector in Domestic Softwood Lumber)

  • 심국보;박정환;이준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96-103
    • /
    • 2003
  • 국산 주요 침엽수재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의 철물접합부 인장하중 특성 구명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철물 접합부의 최대 인장하중은 AA형의 경우 소나무가 3,612 kgf로 낙엽송, 잣나무에 비해 각각 1.2배, 1.7배, EA형의 경우 2,704 kgf로 1.1배, 1.5배 우수하였다. 또한 AA형은 EA형에 비해 3 수종 모두 약 1.2배 이상 높은 인장하중을 나타내었다. 철물접합부의 파괴모드는 주로 이의 빠짐, 철물의 인장파괴와 목재의 전단파괴로 이루어지며, 특히 소나무 접합부는 철물의 인장파괴를 나타내었다. 철물접합부재의 인장하중-변위 특성은 Foschi 모형으로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었으며, 철물접합부의 초기강성은 소나무 접합부재가 높게 나타났다. 국산 침엽수재의 철물접합부에 대한 설계하중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AA형의 경우 이당 설계하중이 소나무 25 kgf, 낙엽송 22 kgf, 잣나무 15 kgf이었으며, EA형의 경우 소나무 19 kgf, 낙엽송 17 kgf, 잣나무 13 kgf 이었다.

말뚝의 횡방향 이격거리를 고려한 터널굴착이 인접 단독말뚝 및 군말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unnelling to adjacent single piles and pile groups considering the transverse distance of pile tips from the tunnel)

  • 전영진;김성희;이철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637-65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말뚝에 인접한 터널시공으로 인한 말뚝의 거동을 터널로부터 말뚝선단의 횡방향 이격거리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단독말뚝 및 간격 2.5d인 $5{\times}5$ 군말뚝을 고려하였다. 여기서 d는 말뚝의 직경을 의미한다. 수치해석에서는 순수하게 터널굴착(tunnelling-induced) 으로 인해 유발된 말뚝침하, 전단응력, 상대변위, 축력분포, 겉보기안전율 및 터널굴착 영향권을 고찰하였다. 말뚝이 터널굴착으로 인한 지반침하 영향권 내부에 존재할 경우 말뚝두부의 침하는 Greenfield 조건의 지표면 침하보다 최대 대략 111% 크게 산정되었고, 군말뚝의 경우 단독말뚝과 비교하여 말뚝침하가 크고 축력이 작게 나타났는데 이는 군말뚝내의 말뚝이 인접지반과 함께 블록(block)의 형태로 거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말뚝의 상부에서는 상향의 마찰 저항력이 발생하고 말뚝의 하부에서는 하향의 마찰 저항력이 발생하여 순수하게 터널굴착(tunnelling-induced)으로 인해 말뚝에는 인장력을 발생시켰다. 한편 말뚝이 영향권 외부에 존재할 경우 말뚝에는 tunnelling-induced 압축력이 발생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된 하중-침하 관계로부터 말뚝의 겉보기안전율을 계산한 결과 터널굴착 이전에 비해 대략 45%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는 말뚝의 사용성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반침하 영향권에 따른 단독말뚝 및 군말뚝의 거동을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산청 회장암과 철-티탄 광체의 구조적 특징과 발생적 관계 (Genetic Relationship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e-Ti Ore Body and the Sancheong Anorthosite, Korea)

  • 강지훈;이덕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6호
    • /
    • pp.571-588
    • /
    • 2014
  • 영남육괴 지리산지구의 산청지역은 선캠브리아기 지리산 변성암복합체와 이를 관입하는 산청 회장암복합체(이하, 회장암체) 그리고 이들을 관입하는 중생대 화성암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연구지역은 암주상 산청 회장암체의 서부에 위치한다. 본 연구는 산청 회장암체에 산출하는 산청 회장암(이하, SA)과 철-티탄 광체(이하, FTO)를 중심으로 노두별 상세한 야외지질조사를 수행하였으며, SA와 FTO의 엽리, 전단대, 산상 등으로부터 FTO 엽리의 성인과 이들 사이의 발생적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SA와 FTO 사이의 구조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FTO의 다중 층상구조, SA의 세립화와 관련된 직선상, 혈관상, 요철상, 직각형 블록구조의 파생세맥, 점이적이고 불규칙한 SA 블록과 FTO 사이의 설상 또는 둥근 열편상 잠입 경계면 구조, 연성전단변형이 아닌 유동적 산상의 FTO 엽리와 FTO 엽리면상의 선상배열, SA 내에 발달하는 불연속전단대, SA 블록의 경계면에 평행한 FTO 엽리의 방향성, SA 블록의 경계면을 향한 FTO 엽리의 우세한 발달, 사장석 포획결정과 포획된 SA 블록의 종횡비에 비례하는 FTO 엽리의 우세성, FTO 엽리의 유동 습곡구조.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부터 FTO가 용융체로 존재할 당시에 SA가 완전히 고화되지 않았으며, 부분 고화된 SA의 단열작용은 FTO의 파생세맥과 SA의 세립화를 초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SA 블록과 FTO 사이에 점이적이고 불규칙한 경계면은 완전히 응결되지 않은 SA 블록와 FTO 용융체 사이의 상호반응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FTO 엽리는 마그마 엽리로서 FTO 용융체와 부분 고결된 SA 블록 사이에 상호운동의 결과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SA와 FTO는 성인과 시대를 달리하는 서로 다른 마그마의 관입관계가 아니라 동일시대의 동일기원 마그마의 다단계 분별정출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의미하고, FTO는 관입적인 (암)맥상과 같이 규칙적인 산상이 아니라 불규칙한 단열을 따라 주입된 매우 불규칙한 산상을 보인 것으로 해석되며, Fe-Ti 광물자원 탐사 시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집성재(集成材)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4보(報)) -국내산(國內産) 주요수종(主要樹種) 집성재(集成材)의 접착성능(接着性能)- (Studies on Laminated Wood(4) -Gluing faculties of laminated wood made of important species in our country-)

  • 김수창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1-16
    • /
    • 1983
  • 본(本) 시험(試驗)은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종비나무(Picea Koraiensis Nakai) 두 수종(樹種)의 침엽수(針葉樹)와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ey), 아카시아(Robinia Pseudoacacia Linne) 및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er) 등(等) 3수종(樹種)의 활엽수(闊葉樹)를 선정(選定)하여 Urea formaldehyde resin, Melamine formaldehyde resin 및 Urea-melamine formaldehyde resin 를 사용(使用)하여 각(各) 제재판(製材板)에 일면도포(一面塗布)로 $200g/m^2$ 하고 압체압력(壓締壓力)은 $10kg/cm^2$, 상온(常溫)에서 48시간(時間) 압체(壓締)하여 전단강도(剪斷强度) 및 목파율(木破率), 인장강도(引張强度), 휨강도(强度) 등(等)을 측정(測定)하여 접착성능(接着性能)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접착제별(接着劑別)의 차이(差異)는 없으나 각(各) 수종별(樹種別)의 차이(差異)는 현저(顯著)하게 나타났다. 2. 목파율(木破率)은 각(各) 접착제(接着劑)에 관계(關係)없이 종비나무재(材)가 크게 나타난 것은 목재강도(木材强度) 보다 접착력(接着力)이 좋은 것이다. 3. 인장강도(引張强度)는 각(各) 접착제(接着劑)에 무관계(無關係)하며 잣나무재(材)만 최소치(最少値)로 나타났다. 4. 휨강도(强度)는 활엽수(闊葉樹)인 아카시아재(材)가 현저(顯著)하게 크게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wheat supplementatio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nutrient digestibility, and pork qua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 Han, Tae Hee;Hong, Jin Su;Fang, Lin Hu;Do, Sung Ho;Kim, Byung Ock;Kim, Yoo Y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8호
    • /
    • pp.1150-1159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various wheat supplementatio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s, nutrient digestibility, and pork qua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Methods: A total of 120 growing pigs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with an average $27.75{\pm}1.319kg$ body weight, were used in growth trial. Pigs were allotted into each treatment by body weight and sex in 4 replicates with 6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Fourphase feeding programs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The treatments included the following: i) corn-soybean meal (SBM) - based diet (CON), ii) corn-SBM - based diet+15% of wheat (W15), iii) corn-SBM - based diet+30% of wheat (W30), iv) corn-SBM - based diet+45% of wheat (W45), and 5) corn-SBM-based diet+60% of wheat (W60).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However, the gain-to-feed (G:F) ratio tended to increase (quadratic, p<0.08) when the pigs were fed a higher wheat diet during the finishing period. The digestibility of crude ash and fat tended to decrease as the wheat supplementation level increased (p<0.08). The proximate analysis of the longissimus muscle was not affected by the dietary level of wheat. The crude ash content in pork was decreased linearly as the wheat supplementation level increased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 level, shear force, water holding capacity, and cooking loss of the pork. In pork and fat, $L^{\star}$, $a^{\star}$, and $b^{\star}$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dietary treatments. Conclusion: Wheat can be supplemented up to 60% in a growing-finishing pig without detrimental effects on growth and pork quality. The G:F ratio tended to improve in the finishing period by wheat inclusion.

울산단층대 중동부에 발달하는 제4기 개곡 6단층에 대한 보고 (A Report for the Quaternary Gaegok 6 Fault Developed in the Mid-eastern Part of Ulsan Fault Zone, Korea)

  • 류충렬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6호
    • /
    • pp.635-643
    • /
    • 2009
  • 울산단층대 중동부의 동변인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개곡리 남부에서 제3기초의 화강암이 제4기의 미고결 모래층이나 자갈층과 단층을 경계로 접하고 있다. 새로이 알려진 이 단층(개곡 6단층)은 $N02^{\circ}{\sim}22^{\circ}E$의 주향에 $45^{\circ}{\sim}80^{\circ}W$의 경사를 보인다. 이 단층은 풍화된 화강암의 단층각력과 함께 제4기 퇴적물로 뒤섞인 30~50 cm 폭의 쇄성전단대와 단층비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주된 단층조선의 자세는 $17^{\circ}$, $356^{\circ}$이며, 정단층성 운동성분을 가지는 우수향의 주향이동을 보인다. 이와 함께 주단층면을 자르며 서쪽 블록이 상승한 역단층운동을 지시하는 단층조선($78^{\circ}$, $278^{\circ}$$43^{\circ}$, $270^{\circ}$)도 관찰된다. 개곡 6단층은 이미 확인된 이 지역의 제4기 단층들과는 달리 서측 제3기초의 화강암이 동측의 제4기 역층을 올라탄, 외견상 서측이 상승한 형태를 보인다. 단층의 조선과 전단증거에 의하면 2회 이상의 단층운동과 관련한 압축운동기가 존재했음을 지시하고 있다. 개곡 6단층은 방향성, 서측으로 경사하는 기하학적인 양상, 그리고 서측이 상승한 운동학적인 양상 등이 북쪽에서 확인된 개곡 1단층과 유사하다. 그러므로 개곡 6단층은 개곡 1단층의 남쪽 연장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Vitamin-Mineral Premixe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 Tian, J.Z.;Lee, J.H.;Kim, J.D.;Han, Y.K.;Park, K.M.;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515-524
    • /
    • 2001
  • Two experiments using growing and finishing pigs (Landrace$\times$Duroc$\times$Yorkshire)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vitamins and trace minerals (VTM)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an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vitamin-mineral levels commonly used in the swine industry in Korea. A total of 120 three crossbred (Landrace$\times$Duroc$\times$Yorkshire) growing (Experiment I: 20.90 0.44 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and finishing (Experiment II: 53.55 0.97 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6 and 9 weeks feeding trials, respectively. Pigs were allotted on the basis of sex and weight to 5 treatments with 6 replications per treatment with 4 pigs per pen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1) control, 2) fat soluble vitamin 200% vs. control, 3) water soluble vitamin 200% vs. control, 4) trace mineral 50% vs. control, 5) trace mineral 200% vs. control. In experiment I, during the overall experimental period (0 to 6 weeks, 21 to 54 kg body weight), ADG of the 200% trace mineral supplemen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50% trace mineral supplemented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other the treatments.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lowest in mineral 50% supplemented group (p<0.05). Calcium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200% fat soluble vitamin supplemented group than in the other treatments (p<0.05). In experiment II, during the overall experimental period (0 to 9 weeks, 54 to 106 kg body weight), growth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vitamin and trace mineral levels. However, increasing level of water soluble vitamins at the level of 200% compared to control had a tendency to improve the overall growth performance. Overall carcass characteristics except for carcass length did not differ among pigs fed the dietary treatments. Loin eye area, pH, drip loss and shear force of meat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vitamin and trace mineral levels. There was a trend for less fat content (%) in pork when the level of vitamin and trace mineral was increase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Flavor score was the lowest in control and highest in the 200% fat soluble vitamin supplemented group (p<0.05). Juiciness of muscle was lower in the 200% fat soluble vitamin supplemented group than other dietary treatments, except for trace mineral 50% supplemented group (p<0.05).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ypical" commercial levels of vitamin and trace minerals used by feed companies in Korea are sufficient to meet requirement for the maximum growth of growing-finishing pigs. Our results suggests that a reduction in trace mineral levels in commercial diets could be considered to reduce feed cost and nutrient excretion with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진동하중 하에서 거친 암석 절리면의 동력 마찰거동 (Dynamic Frictional Behavior of Artificial Rough Rock Joints under Dynamic Loading)

  • 전석원;박병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2호
    • /
    • pp.166-178
    • /
    • 2006
  • 암반구조물의 대형, 대단면화에 따라 자유면에 노출된 암반블록의 거동특성 평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최근 들어 지진이나 발파, 고속철도의 운행에 의한 진동 등으로 야기되는 동적하중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동적 하중조건 하에서 암반 절리의 거동특성 파악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친 절리면의 동적 마찰거동 특성 파악을 위해 인공 인장절리시료를 제작하고 3차원 표면거칠기 측정을 통해 인장절리면의 거칠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에서 진동대 시험을 수행하였다. 절리면이 맞물린 조건에서 경사시험을 통해 구한 한계 경사각과 진동하중 하에서의 임계가속도로부터 역산한 정적 마찰각을 비교한 결과 동하중 하에서 정적 마찰각이 평균 $2.7^{\circ}$ 정도 낮게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엇물린 상태에서 진동하중에 의해 미끄러지는 암석블록의 가속도 및 변위 계측결과를 블록거동 프로그램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동적 마찰각을 산정하였는데 동적 마찰각 역시 한계 경사각에 비해 평균 $1.8^{\circ}$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미끄러짐 변위패턴을 4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절리면의 1차 거칠기와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리면이 맞물린 상태에서 측정된 한계 경사각과 정적 마찰각은 2차 거칠기를 표현하는 파라미터인 평균 거 각과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나, 엇물린 상태에서 측정된 한계 경사각과 동적 마찰각은 거칠기 파라미터와 특별한 상관성을 파악할 수 없었다. 진동대 시험에 의한 동적, 정적 마찰각은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마찰각 결과보다 작게 산정되었다.

다중시험편 시험에 의한 평면이방성 암석의 탄성상수 분석연구 제 2 보 - 자료의 통계적 평가와 참값의 결정 (Experimental Study on the Elastic Constants of A Transversely Isotropic Rock by Multi-Specimen Compression Tests Report 2 - Statistical Evaluation and Determination of True Values of Elastic Constants)

  • 박철환;박찬;정용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2권5호
    • /
    • pp.346-353
    • /
    • 2012
  • 한 개의 평면이방성 시험편으로부터 5개의 독립적 탄성상수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다중 시험편 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는 유상구조가 뚜렷한 유문암의 7개의 서로 다른 각도를 갖는 총 35개 시험편을 사용하였다. 제 2보인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변형률과 해석된 탄성상수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참값을 결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통계분석의 결과로서, 측정자료의 신뢰성은 충분히 확보되었으며, 15도 시료를 제외한 시료에서 SV 식의 적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상수의 상대표준편차는 대체로 작아지는 경향진다. 이는 측정값의 편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각도가 클수록 SV 식이 잘 적용되기 때문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분석된 5개의 탄성상수의 크기는 높은 신뢰성을 갖고 있어 실험에서 얻을 수 있는 참값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값으로부터 예측한 겉보기 탄성계수는 실측된 크기들을 표현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불일치로 미루어 겉보기 탄성계수의 크기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전단변형률이 증가시키는 요인이 실험이나 평면이방성 특성에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Effects of different space allowances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 and pork quality in a grow-to-finish production system

  • Jang, J.C.;Jin, X.H.;Hong, J.S.;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2호
    • /
    • pp.1796-1802
    • /
    • 2017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ptimal space allowanc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 and pork quality of growing-finishing pigs. Methods: A total of ninety crossbred pigs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30.25{\pm}1.13kg$] were allocated into three treatments (0.96: four pigs/pen, $0.96m^2/pig$; 0.80: five pigs/pen, $0.80m^2/pig$; 0.69: six pigs/pen, $0.69m^2/pig$)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Pigs were housed in balanced sex and had free access to feed in all phases for 14 weeks (growing phase I, growing phase II, finishing phase I, and finishing phase II).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growing phase, but a linear decrease was observed on average daily gain (ADG, p<0.01),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p<0.01), and body weight (BW, p<0.01) with decreasing space allowance in late finishing phase. On the other hand, a quadratic effect was observed on gain to feed ratio in early finishing phase (p<0.03). Consequently, overall ADG, ADFI, and final BW linearly declined in response to decreased space allowance (p<0.01). The pH of pork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1 hour after slaughter, whereas there was a linear decrease in 24 h after slaughter with decreasing space allowance. Floor area allowance did not affect pork colors, but shear force linearly increased as floor space decreased (p<0.01). There was a linear increase in serum cortisol concentration on 14 week (p<0.05) with decreased space allocation. Serum IgG was linearly ameliorated as space allowance increased on 10 week (p<0.05) and 14 week (p<0.01). Conclusion: Data from current study indicated that stress derived from reduced space allowance deteriorates the immune system as well as growth performance of pigs, resulting in poor pork quality. Recommended adequate space allowance in a grow-to-finish production system is more than $0.80m^2/pig$ for maximizing growth performance and production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