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gml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34초

SGML(Standardized Genernal Markup Language)에 대한 기본 파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GML Basic Parser)

  • 홍은선;정회경;이수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95-508
    • /
    • 1992
  • 이 논문은 SGML(Standardized General Markup Larguage)을 적용하여 작성된 SGML 문서와 DTD(Document Type Definition)를 분석하는 SGML파서(parser)의 설계를 기술한다. 먼저 SGML 규칙을 내포하는 yacc 정의 파일을 구성하였고, 이 파일에 의하여 SGML DTD와 문서를 적합한 토큰(token)으로 파싱하였다. 이 토근으로 SGML문서의 논리적 구조를 내부 구조화하고, 엔터티(entity)테이블(table),엘리먼트(element)테이블등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하였으며,이를 이용하여 속성값 입력등의 다음 단계처리에 이용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이 파서는 소규모 참조를 변화하여 확장하는 기능도 갖는다. 이 파서에 몇몇 SGML문서를 시험 적용하여 바르게 시행됨을 확인하였다.

  • PDF

DSSSL에 기반한 SGML 문서 표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SGML Document Presentation System based on DSSSL)

  • 김창수;정회경;윤보현;강현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6권5호
    • /
    • pp.477-486
    • /
    • 2000
  • 본 논문은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문서를 포맷팅 처리하여 표현하기 위한 SGML 문서정보 표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ISO/IEC에서 SGML 문서 포맷팅을 위해 정의한 모델인 DSSSL(Document Style Semantics and Specification Language)표준에 따라 시스템을 설게하였고, SGML 문서를 온라인으로 포맷팅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한글 처리를 지원하면서 임의의 DTD(Document Type Definition), SGML 문서, DSSSL 스타일 시트에 대한 파싱 기능을 가지며, 텍스트뿐만 아니라 표, 목록, 그림 등 다양한 명세 표현이 처리 가능한 포맷터를 포함한다. 이는 이 기종간에 포맷 정보를 포함한 SGML 문서 교환에 대한 사용자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리라 보며, SGML 문서처리 환경 구축에 크게 기여하리라 본다.

  • PDF

SGML 문서를 XML 문서로 변환하는 사례 연구 (A Case Study for Migration from SGML Document to XML Documents)

  • 조민호;류성열;박시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7권6호
    • /
    • pp.653-660
    • /
    • 2001
  • 최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 환경의 범위는 단순한 정보 제공의 차원을 넘어서서 비즈니스를 구성하는 핵심 부분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마크업 언어에 근거한 기술은 WWW기술의 확산과 함께 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대표적인 마크업 언어인 SGML로 구성되어 있는 자료는 SGML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보아야 하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더구나, SGML 브라우저간의 호환성이 결여되어서, 상호 자료의 공유에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의 SGML자료를 SGML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웹에 적용할 수 있도록 XML자료로 변환하는 것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통해 상세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번 연구의 내용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3Tera의 SGML자료에서 600MB의 SGML자료를 선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행한 Pilot Project의 결과이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기법은 SGML 자료를 XML자료로 변환하는 것과, Migration을 위한 전체 시스템 구조 그리고, Migration된 SGML문서에 대한 Web 환경에서의 Access방법으로서, 기존의 SGML 방식보다 자료 표시속도를 줄일 수 있고, Mobile Computing이 가능하며, 기존 자료의 변환에 따른 업무의 연속성 및 자료의 공유를 보장하는 기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실무자들에게 매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문서 구조정보를 이용한 SGML 문서 편집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GML Document Editing System Using Document Structure Information)

  • 김창수;조인준;정회경
    • 공학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21-27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SG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의 문서 구조정보를 이용하여 SGML 실례문서를 편집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문서의 논리구조 표현을 위한 구조 창을 이용하여 SGML 문서를 편집할 수 있어 SGML에 대해 모르는 사용자도 편집오류 없이 문서를 생성할 수 있고 엘리먼트(element)와 속성(attribute), 엔티티(entity)를 지원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엘리먼트 등을 손쉽게 수정 가능하고, 생성된 문서를 SGML 파서(parser)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본 시스템은KS 5601코드를 사용하여 한글과 영문 텍스트를 모두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SGML 문서 편집 시스템은 윈도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윈도우95 시스템 환경 하에서 구현하였다.

  • PDF

MARC과 SGML의 통합에 대한 연구 (Incorporation of MARC with SGML)

  • 김태수;최석두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1996년도 제3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70
    • /
    • 1996
  • 정보처리기술이 발전하고 이용자의 정보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MARC의 형식에 한계를 느끼고 전문과 구조적 데이터기술시 많은 장점을 갖고 있는 SGML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SGML형식의 이점이 많다고 바로 모든 데이터와 시스템을 SGML형으로 변환할 수는 없다. 그러나 MARC은 도서관분야에서 지대한 역할을 하였지만 일정기간동안 MARC과 SGML이 공존할 뿐 궁국적으로는 SGML형식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MARC의 문제점, SGML로의 이행과정, MARC과 SGML의 융합관계 등을 중심으로 논한다.

  • PDF

GUI를기반으로 하는 SGML DTD 생성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GML DTD Generator based on GUI)

  • 한상훈;이만형;박세원;황대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395-400
    • /
    • 1998
  • 이기종 간에 문서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기구에서는 SGML을 데이터 객체 양식 표준으로 ISO 8879로 제정하였다. 오늘 날 웹 표준 문서인 HTML이 XML로 전환되어 감에 따라 SGML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HTML이나 XML은 일반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SGML의 복잡함을 축소한 것이다. XML이나 SGML은 모두 DTD 규칙에 의재 작성되는데, DTD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SGML DTD 작성 규칙을 알아야 한다. 이제 본 논문에서는 SGML DTD작성 규칙을 잘 모르더라도 쉽게 DTD를 개발할 수 있도록 GUI를 기반으로 하는 DTD 생성기를 구현하였다.

  • PDF

문서기술언어 SGML에 의한 전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Construction of Full-text Database by SGML)

  • 김창봉
    • 정보관리연구
    • /
    • 제27권4호
    • /
    • pp.35-56
    • /
    • 1996
  • 문서기술언어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표준 범용 마크업 언어)과 그 전문 데이터베이스(도표나 화상 포함)에의 적용에 대하여 해설하였다. SGML을 적용한 전문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SGML로 작성한 DTD (document type definition)로 표현하고 텍스트자체는 DTD에 따른 범용 마크업을 사용하여 기술한다. 본고에서는 장, 절, 단락 등의 계층구조와 각주, 도표, 화살 등의 비계층 구조로 되어 있는 문서 구조를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대하여 예를 들어 해설하였다. 그러고 SGML의 효과, 전자 출판, 검색 시스템, 하이퍼텍스트, SGML 관련 도구 등에 대해서도 해설하였다.

  • PDF

동적 환경에 적합한 SGML 인덱스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GML Index Manager for Dynamic Environment)

  • 한성근;손정한;장재우;김현기;강현규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2574-2586
    • /
    • 1999
  • SGML문서는 정보 표현의 기본 단위인 엘리먼트로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SGML 정보 검색은 기존의 정보 검색에서의 문서 단위 검색뿐만 아니라 엘리먼트 단위 검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SGML 인덱스 구조는 동적 환경을 위해 문서의 부분 삭제와 부분 삽입을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적 환경하에서 구조 질의에 적합한 SGML 인덱스 구조를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인덱스 구조에 근거하여 내용 및 구조-기반 검색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인덱스 관리자를 설계하고, O2시스템을 기반으로 SGML 정보 검색 인덱스 관리자를 구현하며, 기존 인덱스 관리자와 성능 비교를 수행한다. 검색성능 비교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K-ray 완전 트리를 사용한 방법보다 더 우수함을 나타낸다.

  • PDF

SGML 문서 저작 도구 (An SGML Document Authoring Tool)

  • 안보희;유재우;송후봉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512-521
    • /
    • 1999
  • ISO 8879로 정의된 SGML은 문서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하는 메타언어로서 전자문서의 기본 형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SGML 문서는 문서구조 정의와 이에 따라 작성된 실제문서로 구성되므로 저작 도구는 문서구조와 실제문서를 모두 작성하고 검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SGML 문서처리를 위한 정형화된 모델과 절차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도구의 구성이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SGML 구문분석기, 문서구조 정의를 위한 편집기, SGML 문서 편집기 및 형식 편집기 등으로 구성된 모형과 각 구성 요소의 정형화된 처리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아이콘 기반의 시각 프로그래밍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한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통합적 문서 저작 환경을 윈도우즈 NT 시스템에서 java와 C++ 언어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