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stem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초

참깨 개화, 등숙에 관한 연구 -제 1 보 참깨 초형에 따른 개화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1. Flowering Habit by Different Plant Types)

  • 이정일;강철환;이승택;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6-83
    • /
    • 1984
  • 참깨의 개화습성은 분지, 과성, 실방수 등 식물학적외부 특성차이에 의하여 8가지의 초형으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깨의 개화순서는 단경종이나 분지종 공히 상위부까지는 1절당 1일간격으로 개화되었으나 최상위절에서는 3∼8일이나 중단되었다가 다시 피는 개화일시정지현상을 보였는데 이러한 일시 개화정지현상은 참깨 후기등숙불량의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2. 단경종 3과성은 주화보다 측화는 4∼5절 하위절에서 개화시작되고 분지종 3과성은 주경에서 주화보다 측화는 3절 하위절에서 개화시작되었으며 분지에서는 주경주화가 5절위개화시 분지착화 1절에서 개화가 시작되었다. 3. 착화하위부에서는 같은 날에 측화는 주화보다 5절하위에서 피지만 그 거리는 상위부로 갈부록 좁혀들어 착화상위부에서는 측화는 주화보다 1절하위에서 피었다. 4. 착화중위부(7절∼9절)에서는 같은 날 한마디에서 1과성에서는 1개의 꽃이 개화되는 것이 정상이나 2개의 꽃이 개화되며(2과성), 3과성(3화성)에서는 4과성(4화성) 심지어는 5과성(5화성)으로까지 발현되는 현상을 보였다. 5. 분지종에서는 분기총화수가 전체화수의 BTQ형의 44%를 제외하고는 모두 67%∼75%를 보여 분지종에서 분지화수가 전체화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고위분지일수록 개화기간이 길어지고 화수가 많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6. 분지종 3과성 2실 4방(BTB형)은 주경과 분지에서 공히 3과성으로 개화되고 개화기간도 같은데 반해, 분지종 3과성 4실 8방(BTQ형)은 주경만이 3과성으로 개화되었을 뿐 분지는 1 과성으로 개화되었고 개화중기까지 만 분지에서 개화되고 개화후기에는 주경만이 개화되었다. 7. 분지종은 평균 128개가 개화되었고 단경종은 72개가 개화되어 화수는 분지종이 많았고 개화소요일수는 단경종이 34일인데 비해 분지종은 24일로서 단경종보다 10일이 빨라서 분지종이 화수는 많고 개화기간은 짧은 경향을 보였다. 8. 단경종보다는 분지종의 개화수가 현저히 많고 분지종중에서도 3과성2실4방이 가장 많아 NMB<NMQ<NTQ<BMQ<NTB<BMB<BTQ<BTB의 경향이 뚜렷하였다. 9. 참깨의 꽃을 엽액에 착생되기 때문에 참깨의 꽃과 잎의 착생위치는 일치되며 BMB와 NTB형의 개화진행 습성은 역시계침, 나선형으로 개화가 진행되는 십자나선형화서, 십자나선형엽서를 보였다.

  • PDF

참깨$\cdot$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의 배양여액이 참깨의 종자발아 및 유묘기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effects of culture filtrates of sesame-wilt organism(Fusarium oxysprum f. vasinfectum) on the germination of sesame seeds and the growth of sesame seedlings)

  • 박종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권
    • /
    • pp.3-10
    • /
    • 1962
  • 1) 강력한 위조독소(Wilt toxin)인 Fusaric acid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참깨$\cdot$시들음병균(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의 배양여액이 참깨의 종자발아 및 발아후의 유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이 시험연구에 착수하였다. 2) 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의 5종의 계통의 배양여액은 모두 참깨종자의 발아를 억제하고 종자의 흑변, 괴사를 초래한다. 3) 공시균의 어떤 계통의 배양여액에 대한 참깨종자의 발아반응에 있어서의 품종간 차이는 없다. 4) 공시균의 5종의 계통의 배양여액이 참깨종자의 발아를 억제하는 독성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5) 공시균의 5종의 계통의 배양여액을 첨가한 육묘상에서는 발아후의 참깨유식물의 뿌리나 줄기의 신장이 다 같이 억제되며 조직은 흑변, 괴사하게 된다. 그러나 배양여액을 $10\%$ 첨가한 육묘상에서는 줄기의 신장생장 약간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 6) 공시균의 배양여액을 $1\%$ 내지 $1\%$ 첨가한 Knop Solution에 본엽이 생기지 않은 참깨 유식물을 배양하면 참깨의 뿌리나 줄기의 신장생장이 억제되고 제2본엽이 전개할 때까지에 줄기나 잎자루나 연화, 흑변, 괴사하며 제1본엽에는 맥간에 염갈색반문이 형성되고 제2본엽은 권축, 흑변, 괴사하며 특히 제2본엽에 나타나는 병상은 포장에서 나타나는 참깨의 잎의 위조병징과 흡사하다. 7) 공시균의 5종의 계통간에 나타나는 배양여액의 독성의 차이는 공시균의 각계통자체의 기생에 의한 병원성의 차이와 일치하지 않는다

  • PDF

참깨 재배조건에 따른 생육과 품질 (Growth and Seed Quality as Affected by Growing Condition in Sesame)

  • 김동관;국용인;천상욱;강명화;이주철;김명석;박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43-447
    • /
    • 2002
  • 참깨 재배조건에 따른 생육과 수량 및 품질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개화기가 빠른 반면 성숙기가 늦어 생식생장기간이 길었다. 또한 경장과 착삭부위장이 매우 길었다 한편 주당삭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수량이 57%가량 많았다. 2.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6월 8일 파종구가 5월 9일 파종 구에 비해 착삭부위장이 길었다. 그리고 주당삭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웠다. 또한 착삭 상단부위 등숙율이 높고 착삭 중, 하단부위 천립중이 무거우나 수량은 비슷하였다. 3. 노지 재배에서는 5월 9일 파종구가 6월 8일 파종구에 비해 유효분지수와 주당삭수가 많았다. 그러나 착삭 상, 중단부위의 등숙율이 낮고 천립중이 가벼워 수량은 비슷하였다. 4. 종실의 $L^*$값은 재배조건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a^*$값은 비닐하우스 재배에서 높았으나 $b^*$값은 노지 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파종기간 색차($\Delta E^*{ab}$)는 노지 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수용성 성분인 세사미놀 배당체 함량이 높고, 노지 재배에서는 세사민과 세사몰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Effect of sowing date and planting distance on the growth and yield of sesame in the middle area of Korea.

  • Kim, Ki Hyun;Youn, Cheol Ku;Kim, In Jae;Lee, Hee Do;Hong, Seong Taek;Hong, Eui Yon;Woo, Sun 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50-250
    • /
    • 2017
  • Studies were conducted to select the optimum sowing date and planting density of sesame in the middle area of Korea. To select the optimum sowing date, sesame seeds sowed from 20 April to 7 July with 15-day intervals. To select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sesame seeds investigated under four different planting distances ($30{\times}10,\;30{\times}15,\;30{\times}20$, and $30{\times}25cm$)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field. As seeding date was delayed, days to emergence were shortened flowering and maturing date were delayed. Delayed sowing date resulted in decreased length, capsule setting stem length and number of capsules, and branchs per plant. Number of Capsules was high sowing date on 5 May in the range of 90~95ea/plant in sesame. Also yield of sesame seeds was most high on 5 May in the range of 142kg/10a by sowing date. Sowing date up to 5 May showed no effect on grain yield, but from 5 June to 5 July decreased 27%, 68% and 86%, respectively. For all planting distances, weight of 1,000 gr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number of branches and capsules tended to increase. Number of Capsules was high planting distance of $30{\times}20cm$ and $30{\times}25cm$ in the range of 146.7~165.7ea/plant in the Geonbaekkae. Areumkkae also showed the same tendency on planting distance of $30{\times}20cm$ and $30{\times}25cm$ in the range of 122.0~147.5ea/plant, respectively. Yield of Geonbaekkae and Areumkkae seeds was most high 116kg/10a, 117kg/10a, respectively on planting distance $30{\times}20cm$. Decreased in the planting distance of sesame has increased the incidence of disease and lodging.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a planting distance of $30{\times}20cm$ maximal growth and yield of sesame in the middle area of Korea. Considering growth characteristics, sesame yield ability, the optimum sowing date was 5 May and optimum planting pattern was founded to be two rows planting in one ridge and planting densities was $30{\times}20cm$.

  • PDF

참깨의 양적형질에 대한 선발지수 및 유전진전 (Selection Index and Genetic Advance on Quantitative Characters of Sesame)

  • 이철호;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4-310
    • /
    • 1986
  • 참깨 다수성신품종육성의 중요성에 비추어 다수계통의 선발에 관한 기초정보를 얻고자 참깨 82품종을 공시재료로 하여 기대되는 선발지수와 수량에 대한 관계효율을 산출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발대상형질을 4개로 하여 이들 조합에 따라 선발된 유전진전은 2개형질의 조합에 있어서는 개화일수와 주당착삭수, 3개 형질조합에서는 개화일수, 착삭부위장, 주당착삭수와 개화일수, 착삭절수, 주당착삭수가 다른 형질의 조합보다 높았다. 2. 단일형질에 있어서 유전진전치는 주당착삭수가 가장 높았다. 3. 형질별 또는 형질의 조합별로 작성된 유전진전은 전형질의 조합이 가장 높았으나 실제선발 시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유전진전치에 대한 관계비율도 개화일수와 주당착삭수 또는 개화일수와 착삭부위장 및 주당착삭수나 개화일수와 착삭절수 및 주당착삭수의 조합들이 높아 이들 형질들을 선발대상으로 한다면 실제의 선발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참깨발병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연구 (An Evaluation Method for Sesame (Sesamum indicum L.) Resistance to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 Seong Ho, Choi;Eui Kyoo, Cho;Young Am, Cha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3-180
    • /
    • 1987
  • 본 시험은 참깨 발병(병원균 :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다. 공식작물의 묘령, 접종방법, 토양수분상태 및 접종원의 농도는 공시한 중도저항성계통 B-67, IS 103과 나병성계통 수원9호, 수원 2006 모두의 병진전속도와 발병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파종후 20일된 유묘에 1 $m\ell$당 200개 포자상의 접종원을 폿트(8$\times$16.7$\times$7.2cm)당 10$m\ell$씩 토양표면에 접종한 후 저면관수로 토양수분을 포화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계통간 저항성의 차이를 갈 볼 수 있었다. 묘령 70일의 성묘를 사용하였을 때는 토양접종을 하였을 때나 분무접종을 하였을 때 모두 계통간 저항성 차이를 잘 볼 수 있었다. 전술한 유묘검정방법에 의해 이병성계통인 수원2006는 이병주율로는 100%, 발병심도로는 최대치인 9.0을 보였다. 반면에 중도저항성계통인 B- 67은 이병수율로는 20%, 발병심도로는 1.7을 보였다. 발병심도는 0에서 9까지 지수화하여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발병심도 0은 병징이 없는 상태, 5는 지면부 줄기가 변색된 경우, 9는 잎마름증상과 함께 줄기변색이 지면부로 부터 10cm 이상인 경우이다. 품종간 저항성의 차이는 병총면적률로도 조사를 하였으며, 이 결과는 발병심도로 조사한 검정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 PDF

Effect of Delayed Sowing on Growth, Flowering Date, and Yield in Sesame

  • Lee, Sung-Woo;Kang, Churl-Whan;Kim, Dong-Hwi;Shim, Kang-B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0-13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creased ratio of growth and yield by delayed seeding and flowering because drought of spring season often cause to delay seeding and sprout emergence. Equation of linear regression, y=-11.914x+818.61 ($R^2$=0.916) and y=-16.96lx+913.98 ($R^2$=-0.885) were derived from relationship between sowing date and yield of leading variety, Yangbaeckkae in 1999 and 2000, respectively. Yield was decreased by 7, 24, 40, 57, 74%, respectively, according as sowing date was delayed more 5, 15, 26, 36, 46 days than May 15, standard sowing date under the culture mulched with black P.E. film.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length of stem bearing capsule were greatly decreased, while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day to flowering were affected little by delayed seeding date. Equation of linear regression, y=-0.7081x+41.04 ($R^2$=0.861) was derived from relationship between flowering date and yield of 33 accessions. Yield was decreased by 7.7, 8.3, 9.2, 10.1, 11.2%, respectively, according as flowering date was delayed more 1, 2, 3, 4, 5 days than July 3, normal flowering date of Yangbaeckkae when it was sown on May 15, and the more flowering date was delayed, the more yield was decreased.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length of stem bearing capsules were greatly decreased, but plant height and harvest index were decreased little by delay of flowering date

  • PDF

농업잔재물 소각에 의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특성 (Emission of Air Pollutants from Agricultural Crop Residues Burning)

  • 박성규;홍영실;김대근;김동영;장영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3-71
    • /
    • 2015
  • The gaseous and particulate emissions from agricultural crop residues burning were investigated. The test residues included white soybean stem, pepper stem, apple branch, peach branch, pear branch, grape branch, sesame stem, perilla stem, and barley stem. Particulate emissions were dominated by fine particles (< $0.1{\mu}m$ in size). The highest $PM_{2.5}$ Emission factors were from barley stems (35.2 g/kg), and the lowest from pepper stems (7.9 g/kg). Emission factors for CO, NO, and VOCs were 146~305 g/kg, 4.94~15.02 g/kg, 27.4~353.3 g/kg, respectively. Benzen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VOC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Genotype $\times$ Environment Interaction for Yield in Sesame (Sesamum indicum L.)

  • Shim, Kang-Bo;Kang, Churl-Whan;Hwang, Chung-Dong;Pae, Suk-Bok;Choi, Kyung-Jin;Byun, Jae-Cheon;Park, Keum-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97-302
    • /
    • 2008
  • Application of genotype by environment ($G\;{\times}\;E$) interaction would be used for identifying optimum test condition of the varietal adaptation in the establishment of breeding purpose.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used to perform additive main effect and multiplicative interaction (AMMI)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 for $G\;{\times}\;E$ interaction were observed for all variable examined. For yield, 0.18 of total sum of squares corresponded to $G\;{\times}\;E$ interac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between genotypic scores of the first interaction principal component axis (IPCA 1) for agronomic character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IPCA 1 for yield and capsule bearing stem length (CBSL), number of capsule per plant (NOC). The biplot of grain yield means for IPCA1 which accounted for 34% of the variation in total treatment sums of squares showed different reaction according to $G\;{\times}\;E$ interaction, genotypes and environments. Taegu showed relatively lower positive IPCA1 scores, and it also showed smaller coefficient variation of yield mean where it is recommendable as a optimal site for the sesame cultivar adaptation and evaluation trial. In case of variables, Yangbaek and M1 showed relatively lower IPCA1 scores, but the score direction showed opposite each other on the graph. Ansan, Miryang1, Miryang4, and Miryang6 seemed to be similar group in view of yield response against IPCA1 scores.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to select experimental site for sesame in Korea to minimize $G\;{\times}\;E$ interaction for the selection of promising genotype with higher s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