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welfare conflic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3초

특급호텔 조리직 종사원의 갈등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nflict of Kitchen Employees in Deluxe Hotel on Turnover)

  • 김정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9-111
    • /
    • 2007
  • This study aims at inquiring into the effect of kitchen employees' conflict factors in deluxe hotels on turnover to present a improvement plan. For this, it made a survey of 292 kitchen employees in deluxe hotels from December 1 to 10, 2006.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service welfare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pensational turnover, and high compensational turnover was caused by high conflict of welfare or benefits. Second, it showed that the cooking job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al turnover. Third, it showed that the colleague relationship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al turnover. Consequently, each factor of compensational and developmental turnover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 cooking job conflict, service welfare conflict and colleague relationship conflict.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e employees' turnover produced results that are contrary to negative and positive effects traditionally discussed various effects or results on organization.

  • PDF

사회복지사 개인간 갈등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김교정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 /
    • pp.223-250
    • /
    • 2004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조직 중 부산 지역사회복지관이라는 조직 내에서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이 어느 정도로 지각되는지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조사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조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의 상호주의적 관점에서 갈등수준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조직의 유효성이 역기능적이라고 하였으나 지역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개인간 갈등수준 정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고 갈등요인들이 갈등수준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은 의사소통 요인, 리더십 요인중에서 리더의 유인성, 퍼스낼리티중 자발성, 자신감의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 및 산업 조직과 같은 기술 관료적인 조직의 경우와는 틀리게 사회복지조직을 포함하는 휴먼서비스 조직의 경우는 조직의 원료가 도덕적 가치를 부여받은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술 관료적인 패러다임이 그대로 적용되지 않음을 갈등관리전략의 전제로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지역사회복지관 내에서 개인간 갈등의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동료간 의사소통이나 합리적인 문제해결방법의 습득 린 건전한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교육, 훈련의 기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수퍼비전과 상담(상사와의 상담, 또래 동료와의 상담)을 제공뿐만 아니라 전문가로서의 자신감과 긍지를 지니고 일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재충전할 수 있는 전문적 교육프로 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Public Social Welfare Officers on Turnover Intentions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

  • 정규형;류주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37-344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자료는 노원 구정연구단에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복지 업무 담당 인력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노원구 19개 동주민센터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46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정갈등은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이지 않다. 소진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부모의 특성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Conflict between Grandparents Raising Grandchildren and Adult Children: Focusing on Grandparents' Characteristics)

  • 김미혜;성기옥;팽경희;최희진;최소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905-923
    • /
    • 2011
  • 본 연구는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그들의 자녀 사이에서 손자녀 양육으로부터 비롯되는 갈등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3차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여 손자녀 양육 조부모와 그들의 성인 자녀와의 갈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 돌봄 관련 요인, 건강 요인, 가족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부모가 남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없을수록, 비취업자인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부모의 근로소득과 금융소득이 없는 경우, 사적이전소득이 있을 경우, 즉 경제적으로 어려운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손자녀의 연령이 낮을수록, 손자녀 양육 대가가 없는 경우, 손자녀 양육으로 인해 근로나 소득활동을 중단 또는 단축한 경우에 자녀와의 갈등이 높았으며, 조부모의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정신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자녀와의 갈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조부모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배우자관계 만족도가 낮을수록,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와의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식을 위해 대가 없이 희생하는 전통노인과는 다른 양상으로서 손자녀 양육 대가 부재와 갈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저소득층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족갈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Welfare Services Experience by the Low-Income Senior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nflicts and Depression -)

  • 안은선;송순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9-1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족갈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016년 제11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에 관련된 변인들의 특성과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WIN 19.0프로그램을 사용했다. 조사대상자는 65세 이상 저소득층 노인 675명을 추출하였고,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은 더미 처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족갈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노인복지서비스를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가족갈등과 우울을 완화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의 필요성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에 대한 질적연구 - 결정적 사건, 전개 및 대처를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Husbands' Experience in Marital Conflict in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ed on Critical Incident, Development and Coping -)

  • 장은경;류진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2호
    • /
    • pp.117-133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at marital conflict in multicultural families, a type of families form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from husbands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with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ask about marital conflict, and then,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analysis. In summar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cisive events that husbands in multicultural families often experienced in marital conflict with their wives were disrespect toward husbands and parents-in-law, husbands with a low level of trust, feelings of pressure due to financial support for wives' families and children and lack of practical sense about marriage. Second, development of marital conflict that husbands often experienced included aggravated cultural conflict between a couple and between members of the family, difficulty in managing blame and anger, signs of separation or divorce and wives leaving home and limitations in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as to how husbands tried to deal with marital conflict, they tried to be patient and comfort wives,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together, find something that they could focus on, turn to religion or gatherings, use service from government organizations, have trust and develop rules and limit the range of their wives activities.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가족결속도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지유통관점 중심으로 (Family Solidarity between Old Parents and Adult Children, Welfare Distribution, and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 정명희;김은정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8호
    • /
    • pp.91-102
    • /
    • 2014
  • Purpose - Today,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industry has increased. Social welfare businesses that follow the non-profit principle have neglected the distribution of the service. However, an intangible service, when produced and consumed, has a similar service delivery system to common service distribution and social welfare. Therefore, the author has assumed the efficiency of the service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to be equivalent to the service distribution industry. Hence, various kinds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from the perspective of distribution, are discussed. Studies on generational relations have thus far investigated depression from parent-children conflict, and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olidarity and elderly suicide by analyzing existing social problems are ra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mily solidarity between old parents and adult children upon elderly suicide by analyzing serious psychological and social problems. This study revealed basic measures for elderly suicide prevention through services that could elevate family solidari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service distribu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s were 468 elderly, 65 years or older, at 18 senior welfare centers and halls for the elderly at Seoul and Gyeonggi-do. Questionnaire surveys, excluding invalid answers, were analyzed.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from February 5, 2014 to March 5, 2014. The findings were: First, women and those having spouses with advanced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ocial activities had primary solidarity such as contact solidarity, affectionate solidarity, functional solidarity (giving help), and functional solidarity (receiving help). In addition, those who had good health,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had more solidarity. Second, the elderly who were men and single, and who had poorer educational backgrounds thought of suicide, lacked social activities, and had poor health, from a subjective point of view. Third, family solidarity between old parents and adult children had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Results -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reparation for old age should consider not only economic welfare but also the psychological welfare due to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Second, the phenomenon of elderly suicide because of a lack of family solidarity could increase national loss and have great influence upon welfare in old age. Therefore, planning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hould consider the value of relationships with children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fare of the elderly. Third, the social expenses of government-oriented support for parents should be discussed from the people's point of view. Conclusions - The subjects of the study comprised the elderly at Seoul and Gyenggi-do;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extrapolate the findings to all the elderly in the nation. The subject visited senior welfare centers as well as halls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would be difficult to assume that the trends were representative of the elderly in the nation.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the Marital Conflicts of Immigrant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이영실;조명희;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171-194
    • /
    • 2012
  • This study focuses on immigrant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nd who live in a multicultural family situation in Gyeonggi-do. These women experience acculturative stress and marital conflict and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social support seeks to mediate the effects of those stressors. The women in this study participated in activities and received services from one of Gyeonggi-do Province's civic organizations, religious organizations, or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such as the Social Welfare Agency and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order to verify the study's hypothesis, the researchers used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tical methods : t-test, two-way ANOVA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Analysis of the study's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degree of marital conflict was found in the sub-zones and variables that were personal. Those variable were : the difference in mindset and values (personal domain), economic problems (communal living area), a child's upbringing and education issues (third party area), and the participant's sex life (in the marital relationship). The hypothesis was tested using the research model validation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riage migration females' acculturative stress and the impact of that stress on marriage conflic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t identified that a direct correlation existed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marriage conflict; where a higher degree of acculturative stress was present, a higher degree of marriage conflict was found. Second, the study found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rrelation and relationship (${\beta}$=.208, p<0.05) between the acculturative stress of the marriage migration female and material support. In other words, the material support can be seen as having a moderating effect on the acculturative stress,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arital conflict,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 PDF

A Study on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f Sales and Service Workers

  • Bok, Mi-Jung;Hong, Eun-Si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47-154
    • /
    • 2021
  • 본 연구는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판매서비스직 종사자들은 감정노동의 표면행동보다 내면행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타주의는 근무경력에 따라, 양심행동은 성별에 따라, 직장-가정 갈등은 연령, 결혼여부, 1일 평균 고객 응대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의 표면행동이 높을수록 이타주의는 증가하였으며, 내면행동이 높을수록 직무소진과 직장-가정 갈등은 감소하였고, 이타주의와 양심행동은 증가하였다. 넷째, 감정노동과 관련된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의 내면행동이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이용과 결혼의 안녕 및 희망의 관계 -문화상대주의와 강점관점에 기반한 지원사업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Utilization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s and Marital Well-Being and Hope amo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 -A Focus on Participants of the Support Project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and a Strengths Perspective-)

  • 현경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127-157
    • /
    • 2014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정착과 결혼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이용이 실제로 이 여성들의 긍정적 변화를 도와 부부갈등인식 감소와 결혼의 안녕 및 희망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상대주의와 강점 관점에 기반 한 지원사업을 수행해 온 전국의 36개 기관들을 통해 수집된 여성결혼이민자 558명의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결과, 예측대로, 지원사업 이용기간, 서비스 이용 빈도 및 이용서비스의 수로 측정된 지원사업 이용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보고한 긍정적 변화와 정적으로 연관되었고, 그런 변화는 이어서 부부갈등인식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으로 측정된 결혼의 안녕 및 희망에 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또 긍정적 변화는 결혼의 안녕을 저해하는 부부갈등인식을 낮추어 결혼안녕을 강화하고, 이어 결혼안녕은 희망에 기여하여 이러한 간접경로로 희망을 도왔다. 이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는 국내거주기간 및 한국어 능력이 지원사업 이용과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했을 때 지지되었지만, 아울러 지원사업 이용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이용이 여성결혼이민자의 긍정적 변화를 도와 희망을 키우며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촉진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부부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지원사업 이용의 순기능을 강화하면서 부부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역기능적 요소들에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이 끝으로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