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reference model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5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ASK_a 서비스 모형 개발 (The ASK_a Service Model for Public Library in Korea)

  • 남영준;이향숙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1호
    • /
    • pp.57-8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새로운 서비스 영역인 ASK_a 서비스 운영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이 갖는 기능을 입력과 처리, 출력과정으로 구분하여 설계하였다. 최적의 입력 형식은 웹 폼형식을 제안하였고, 처리과정은 공공도서관의 혼합형(수평형, 계층형) 협력모델을 제안하였고, 출력 과정은 제공된 질문-해답정보에 대한 아카이빙 정책을 제안하였다. 특히 ASK_a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안한 모형의 핵심을 공공도서관의 협력연계를 통한 외부 인력과 자원활용으로 하였다. 이러한 협력의 최종목표는 고도의 전문정보 서비스를 공공도서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공공도서관 가상참고봉사 협력모형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for Virtual Reference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 차미경;김수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7-38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주민에게 수준 높은 참고봉사를 제공하기 위한 공공도서관의 가상참고정보봉사 협력모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사례조사와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514개 공공도서관 가운데 375개관(73%)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협력참고정보데이터베이스의 구축, 가상참고데스크의 운영, 그리고 연령별 주제별 정보안내 및 교육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 '통합형 가상참고실'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도서관 상호운영성 기술요소에 기반한 기술 참조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Technology Reference Model Based on Technologies of Interoperability in Digital Libraries)

  • 김성희;이정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9-2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도서관의 상호운영성 및 통합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운영성을 위한 핵심 기술 및 디지털 도서관의 기능, 서비스를 분석하여 정보기술아키텍처의 기술참조모델을 설계하였다. 제시된 디지털 도서관의 정보기술아키텍처의 영역은 1)Metadata Management, 2)Library Services, 3)Service Integration 4)Service Management, 5)Open Interface, 6)Network, 7)Architecture 등총 7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20개의세부 기술 영역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간의 상호운영성및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식별함으로서 디지털 도서관의 체계적인 구축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사이언스의 연구 영역에 관한 3계층 입체 참조 모형 (An 3-Layer Dimensional Reference Model on the Service Science Research Scope Framework)

  • 안연식;한재우
    • 서비스연구
    • /
    • 제4권2호
    • /
    • pp.85-95
    • /
    • 2014
  • 본 연구는 서비스사이언스에 관한 제 연구영역을 모형화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제안된 모형은 3계층의 입체적 참조모형이다. 첫째 축은 서비스의 수명주기 관점의 차원이며, 두 번째 축은 서비스 관련 연구 성격의 차원, 그리고 세 번째 차원은 서비스 시스템 구성요소의 차원이다. 서비스 수명주기는 서비스 전략, 서비스 개발 그리고 서비스 실행 또는 운영을 포함한다. 서비스 관련 연구 성격은 기초연구, 응용연구 그리고 융복합연구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시스템 구성요소는 서비스 수요자의 욕구, 서비스 역량 그리고 서비스 자원 요소를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서비스사이언스 3계층 입체 참조모델에서는 서비스사이언스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주제들을 융통성있게 모두 수용할 수 있으며, 연구자 및 실무자 관점에서 원형을 변형하거나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을 참조하여 개선된 모델들이나, 본 참조모델을 근거로 한 기업에서의 서비스사이언스 관련 적용사례들이 많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라이프로그 공통데이터 참조모델 (A Lifelog Common Data Reference Model for the Healthcare Ecosystem)

  • 이영주;고윤석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4호
    • /
    • pp.149-170
    • /
    • 2018
  • Healthcare lifelog, a personal record relating to disease treatment and healthca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althcare paradigm shifts in which medic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nverge. Healthcare services based on various healthcare lifelogs are being launched domestically by both large corporations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owever, they are being built on an individual platform that is dependent on each company. Therefore, the terms of lifelog data are different as well as the measurement specifications are not uniform. This study proposes a reference model for minimum common data required for sharing and utilization of healthcare lifelog. Literature study and expert survey derived 3 domain, 17 essential items, and 51 sub-items. The model provides definition, measurement data format, measurement method, and precautions for each detailed measurement item, and provides necessary guidelines for data and service design and construction for healthcare servic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a basic research supporting the activation of ecosystem by ensuring interoperability of data between heterogeneous healthcare devices linked to digital healthcare platform.

글로벌네트워크를 활용한 CDRS 협력모형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Using Global Network)

  • 이선희;최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9-347
    • /
    • 2005
  • 지식정보 사회에서 고품질 정보를 취득하는 방식으로서 협력형디지털정보서비스(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CDRS)가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KISTI를 중심으로 5개 기관이 글로벌네트워크와 연계된 CDRS 국내 협력 모형인 Question포인트+ (플러스)를 구성하였다. Question포인트+에서는 국내외 정보전문가들이 긴밀히 협조하여 이용자들이 요청한 다양한 수준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한다. Question포인트+ 구현 사례는 최초의 국내 CDRS 협력모형으로 의미가 있으며, 국내 CDRS 운영 및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협력형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 활용에 관한 연구 - KISTI의 Question포인트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 Focused on the implementation of Question point at KISTI -)

  • 최은주;이선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9-8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협력형 디지혈참고정보서비스의 대표적 모델이며, 세계적인 참고정보네트워크인 QuestionPoint의 기본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 최초로 한국어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여 Question표 인흐 서비스를 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서비스 운영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총 114개 의 참고칠문이 분석대상이 되었으며,63명의 서비스 이용X띔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서비스 전 반에 대한 견해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괴를 바탕으로하여 향후 국내 도서관에서의 협력형 디지털 참고정보서비스 활용의 필요성 및 도서관간의 협력체제 강화 등 활성화방안을 제안하였다.

저작권 보호를 위한 디지털 원문 서비스 프레임워크 (A Service Framework to Digital Fulltext Image for Copyright Protection)

  • 김상국;신성호;윤희준;김태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8권spc1호
    • /
    • pp.323-336
    • /
    • 2005
  • Digital content industry is growing rapidly because of the property of high-speed networking and greater demand for digital fulltext-image. However, we know the fact that it is many difficulty in production and supply for good quality of content. Hereupon, we suggest digital fulltext-image service framework to protect copyright. More concretely, we propose integrated model and reference model to securely serve digital fulltext-image by recompositing core objects and reconstructing the value-chain structure of digital content industry to framework including the process(from its production (creators or copyrighters) to consumption (users or consumers)). Also, we construct the digital fulltext- image service system based on reference model and reconstruct its interface that occurs between core subjects.

  • PDF

모바일 긴급서비스 프로토콜 연구 (A Study on the Mobile Emergency Service Protocol)

  • 장정아;최혜옥;최완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3B호
    • /
    • pp.224-231
    • /
    • 2006
  • 유선 전화에 의한 119, 112 등의 긴급서비스는 KT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구조서비스 요청자의 위치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전화에 의한 119, 112 긴급구조서비스 요청 시 이동전화의 위치를 이동통신망에서 제공받아야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긴급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망에서의 위치정보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에 대한 것으로, 국내외 무선긴급구조서비스 기술, 제도, 관련 연구 현황을 조사하고, TIA/EIA/J-STD-036-A을 기반으로 국내 이동통신망 환경에 적합한 기술규격을 제시하였다. 무선긴급서비스는 무선긴급구조서비스와 무선긴급경계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무선긴급구조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표준 참조모델은 국내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무신긴급구조서비스 참조 모델의 각 모듈간 세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시나리오와 메시지, 메시지 흐름을 정의하였다. 또한 무선긴급경계서비스를 위한 네트워크 참조모델을 제시하고, 구성요소간의 메시지 흐름 및 메시지 규격에 대하여 정의하였다.

Technology and Standardization in Telematics: Telematics Reference Model

  • Kim K. H.;Jang J. A.;Han E. Y.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87-90
    • /
    • 2004
  • Telematics is an emerging industrial field made up of the convergence of technologies. The key technologies for Telematics are server-side technology, terminal-side technology, communication-related technology, and positioning technology. Standardization in Telematics is now getting more notice these days. Domestic situation is explained for several related facilities such as ETRI, TTA, and Telematics Standardization Forum. In this paper, we will focus especially on the standard reference model that is the most fundamental framework of Telematics technology standardization. In the reference model, the Telematics system is composed of Telematics client part, communication part, and Telematics server part. The Telematics client part consists of terminal, positioning device, and car electronic devices. Communication part can be composed of various telecommunication channels such as CDMA, WLAN, DMB, WiBro, etc. which can guarantee the seamless two-way communication. Telematics server part is composed of TSP(Telematics Service Provider) server and CP(Contents Provider) servers gathering and managing the various Telematics services. This Telematics reference model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e architecture in developing the technology and standards from now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