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cholesterol content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32초

알칼리장석-일라이트가 육용오리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l Alkali Feldspar-Ilite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Broiler Ducks)

  • 국길;김정은;정진형;김재필;선상수;김광현;정완태;정광화;안종남;이병석;정일병;양철주;양재은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45-254
    • /
    • 2005
  • 본 연구는 3주령의 육용오린 사료에 알칼리장석-일라이트를 0, 0+ 항생제, 0.5, 1.0 및 $1.5\%$ 첨가한 5처리구에 3반복으로 각각 12수씩 배치하여 43일간 급여하여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행하였다. 육성오리의 일당 증체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0와 $1.5\%$ 첨가구에서 약간 증가하였다(p>0.05). 사료섭취 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5).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처리구에서 약간 감소한 반면에(p>0.05) 혈중 요소태 질소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도체중과 도체율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5). 알칼리 장석-일라이트 급여에 의한 육용오리 가슴육의 조지방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5\%$ 첨가구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육색의 명도와 황색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콜레스테롤 함량은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지방산 패도는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구에서 약간 감소하였다(p>0.05).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에 의한 포화지방산 비율이 약간감소하는 경향인 반면에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알칼리장석-일라이트 첨가에 의한 육성오리 간의 중금속 함량은 납 축적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p>0.05). 관능 평가(appearance)에서 알칼리장석-일라이트 1.0와 $1.5\%$ 첨가구에서 외관의 유의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육성오리에 대한 알칼리장석-일라이트 급여는 증체량의 개선효과와 더불어 가슴육의 조지방 함량의 감소 그리고 관능평가에서 외관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료중 Blended Essential Oil(CRINA®)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 소장 내 미생물 균총 및 계육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ended Essential Oil(CRINA®)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eat in Broiler Chickens)

  • 석종찬;임희석;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77-786
    • /
    • 2003
  • Blended essential oil(CRINA$^{\circledR}$)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 계육내 지방산 조성, 소장 내 미생물 균총 및 혈액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갓 부화한 1000수의 Ross$^{\circledR}$ 병아리를 5처리 4반복, 반복 당 50수를 임의 배치하여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대조구 사료(T1)와 Avilamycin 5ppm(전기사료) & Flavomycin 5ppm(육성기사료) 첨가사료(T2), Avilamycin 5ppm(전기사료) & CRINA$^{\circledR}$ 50ppm(육성기사료) 첨가사료(T3), CRINA$^{\circledR}$ 50ppm(전기사료, 육성기사료) 첨가사료(T4), CRINA$^{\circledR}$ 50ppm + Lactic acid 500ppm (전기사료, 육성기사료) 첨가사료(T5)를 만들어 급여하였다. 증체율은 첨가구들(T2-T5)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첨가구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육성기(4-5주) 동안 CRINA$^{\circledR}$ 첨가구들(T3, T4, T5)에서 사료요구율(F/G)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사망률은 처리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CRINA$^{\circledR}$구(T4)는 항생제구(T2)에 비해 지방, 메치오닌, 메치오닌+시스틴의 이용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장 내용물중의 미생물 균총중 E. coli 수는 항생제 & CRINA$^{\circledR}$ 50ppm구(T3)가 CRINA$^{\circledR}$ 50ppm구(T4)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Cl. Perfringens의 수는 CRINAⓇ구(T4)에서 가장 적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혈청 중성지방 수준은 CRINA$^{\circledR}$+lactic acid구(T5)가 항생제구(T2)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은 항생제구(T2)와 CRINA$^{\circledR}$ + lactic acid구(T5)가 타처리구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HDL 수준은 첨가구들이 대조구(T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IgG 수준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리 근육지방의 지방산조성은 처리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palmitic acid (C$_{16:0}$)와 stearic acid(C$_{18:0}$) 함량은 대조구(T1)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oleic acid(C$_{18:1}$)의 함량은 대조구(T1)가 타처리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Linolenic acid(C$_{18:3}$)의 함량은 CRINA$^{\circledR}$ 50ppm + lactic acid 500ppm구(T5)가 항생제 & CRINA$^{\circledR}$ 50ppm구(T3)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총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구(T1)가 유의하게 높은 반면 총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대조구(T1)가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육계사료에 CRINA$^{\circledR}$를 첨가하면 증체율이나 사료효율을 개선시켰다. 그러나 전기에 항생제를 쓰고 육성기에 CRINA$^{\circledR}$를 쓰거나 CRINA$^{\circledR}$와 젖산을 같이 사용시 추가적 또는 상승효과는 없었다.

흰쥐의 Mortierella alpina 균사체와 추출유의 섭취에 의한 생육 효과와 학습능력 비교 (The Effects of Mortierella alpina Fungi and Extracted Oil (Arachidonic Acid Rich) on Growth and Learning Ability in Dam and Pups of Rat)

  • 이승교;강희윤;박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84-1091
    • /
    • 2002
  • 아라키돈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가하면서 생산가능한 균주로서 독성을 보이지 않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할 때 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곰팡이의 추출유와 곰팡이 자체의 섭취로서 arachidonic acid를 섭취토록 하여 생육과 뇌발달 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우지를 섭취시킨 쥐와 비교할 때 식이군별 암컷의 체중변화에서는 비교적 체중이 증가되지 않은 군은 Mortierella alpina섭취군으로 나타났으며 새끼를 젖뗀 후 심하였지만 개체 차이가 심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분만 직후의 체중증가는 수유동안 감소가 일어나 이유시기에는 체중 감소가 각군 모두에서 일어났다. 새끼에서는 이유전까지는 체중증가에 어미의 식이군에 따른 차이가 전혀 보이지 않았으나 이유 후 식이섭취 동안 군별 차이가 있어 특히 적은 양을 섭취한 Mortierella alpina 섭취군(LF)에서 체중이 가장 적었다. 섭취량자체도 적었고 증체량도 적었기에 이에 대한 식이 효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어미와 새끼의 미로실험에서 어미의 경우는 식이별 통계적 유의성을 볼 수 없었으며 또한 2차에 걸친 시기에서도 학습효과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이유가 새끼의 미로 측정 결과를 보면, 통제군에 비하여 고추출유섭취군(HO)에서 실수의 빈도가 감소하였고 backing error빈도는 다른 군보다 낮았다고 볼 수 있어 긴사슬 지방산의 효과를 일부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숙기인 7주령에 시행한 미로실험 에서는 유의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뇌의 성장에 이유기까지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결과로 보며, 지방급원으로서 곰팡이 자체의 섭취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효과를 추정하기 어려우며 곰팡이의 체내 소화작용이나 식이섭취에 다른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어미와 새끼의 DNA함량을 비교하면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의 체중 증가의 지연에서 보듯이 뇌의 성장에서도 지연됨(무게감소)과 함께 DNA함량에서도 적게 나타났으나 어미의 경우, 간과 뇌의 DNA함량에 식이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이유기 새끼의 뇌의 DNA함량은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이 가장 적었고 간의 DNA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새끼의 성숙기에는 식이군 간 차이가 있어 뇌의 DNA함량은 여전히 적었으나 간의 DNA함량에서는 체중 g당 환산할 때 Mortierella alpina를 적게 섭취한 군(LF)이 더 많아서 신체에서 간이 더 커진 모습을 보였다 아라키돈산의 섭취가 특히 어린시기의 뇌발달에 필요함을 인식할 때, 아라키돈산의 급원으로서 식이에 일정비율 공급할 필요에 맞추어 다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Mortieralla alpina 곰팡이를 이용함으로서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곰팡이의 배양과 기름의 추출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기름의 섭취에서 생육에 문제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량의 함유 아라키돈산의 효과를 미로를 이용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고도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기에 산화과정을 우려하여 곰팡이 자체를 섭취시켜 본 결과 성장이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이는 진균류의 세포막을 분리하여 내부에 포함된 지방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아라키돈산의 가격이 워낙 비싸기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한 추출유로 충분한 식품첨가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고 보지만 기타 미량 성분에 대한 추적이 요구되며 모든 공정에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할 때 식품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인진쑥, 녹차, 오미자, 겨우살이 혼합 추출물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난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특성 및 계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Mixtures from Artemisia capillaris, Camellia sinensis, Schizandra chinensis, and Viscum album var. coloratum on Laying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Characteristics, and Egg Storage Stability in Laying Hens)

  • 김동욱;김지혁;강근호;강환구;최지영;김상호;강창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9-457
    • /
    • 2010
  • 본 시험에서는 산란계에 대한 인진쑥, 녹차, 오미자, 겨우살이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3종 추출물의 사료 내 첨가 급여가 난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특성 및 계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35주령 산란계(Hy-Line Brown) 160수를 공시하여 4처리 4반복, 반복 당 10수씩 배치하고 10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처리는 대조구(C)와 시험 사료에 혼합 비율을 달리한 3종의 추출물을 200 ppm 수준으로 첨가한 약용식물 추출물 처리구(T1, T2, T3)를 두었다. 산란율, 일 산란량 및 사료 요구율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p<0.05). Haugh unit 및 난황색은 처리구 간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난각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중성 지방은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 및 신장 기능의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혈액 생화학 지표 역시 유의하게 감소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혈액 총 항산화 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저장 기간에 따른 Haugh unit 및 지방과 산화물가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계란 보관 14일, 21일째에 Haugh unit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3일 및 7일째 역시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추출물 처리시 저장 기간에 따른 Haugh unit의 저하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지방과산화물가 역시 처리 구간 차이는 있었으나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본 연구 결과, 인진쑥, 녹차, 오미자, 겨우살이의 혼합 비율을 달리한 약용식물 추출물의 산란계 사료 내 첨가급여는 계란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건강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난황색 및 Haugh unit 등의 계란 내부품질을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저장 기간에 따른 계란의 품질 저하를 감소시켜 사료 첨가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산란말기에 게르마늄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계란품질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ermanium on the Performance, Egg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for the Finishing Stage of Laying Hens)

  • 임천익;문홍길;김상호;최호성;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9-124
    • /
    • 2018
  • 본 연구는 산란말기 사료에 게르마늄의 수준별 급여가 닭의 생산성, 계란품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74주령 하이라인 브라운 산란계 360수를 4개 처리 5반복 반복당 18수씩 배치하여 총 12주간 사양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처리구는 영양소 함량이 ME 2,750 kcal/kg, CP 16% 수준의 기초사료에 게르마늄 분말을 0, 1, 2 및 4% 수준으로 첨가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사료섭취량과 계란품질은 4주 간격으로 조사하였고, 혈액성상과 난황지방산은 사양실험 종료 후 측정하였다. 산란율은 게르마늄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성은 없었고, 사료섭취량, 난중, 1일 산란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계란의 난백높이와 호유닛은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지만, 난각강도는 게르마늄 급여구에서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P<0.05), 난각두께도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계란 내 난황지방산중 단일불포화 지방산은 게르마늄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불포화지방산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성상에서 콜레스테롤은 처리구 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게르마늄 급여수준에 비례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중성지방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P<0.05). 본 연구결과, 산란말기 사료에 게르마늄의 첨가급여는 난각강도를 높게 하였고, 건강관련 인자에 속하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개선하였다.

Gliricidia leaf meal and multi-enzyme in rabbits diet: effect on performance, blood indices, serum metabolites and antioxidant status

  • Oloruntola, Olugbenga David;Agbede, Johnson Oluwasola;Ayodele, Simeon Olugbenga;Ayedun, Eyanlola Soladoye;Daramola, Olajumoke Temidayo;Oloruntola, Deborah Adebukola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10호
    • /
    • pp.24.1-24.8
    • /
    • 2018
  • Background: Following the ban on the importation of import-dependent fed ingredients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need to look inward for local content is now compelling. Thus, leaf meals that have phytogenic additive potentials are envisaged will be a viable feed ingredient in rabbit diets. Methods: The effect of dietary inclusion of gliricidia leaf meal (GLM) with or without multi-enzyme (E) supplementation in rabbits was investigated using ninety-six 35-day old rabbits of crossbreed (Newzealand and Chinchilla). One basal diet that met the requirements of growing rabbit was formulated (Diet 1). Thereafter, another two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15% GLM and 15% GLM plus multi-enzyme at 1 g/kg and designated as diets 2 and 3 respectively. The rabbits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he 3 diets (32 rabbits/treatment; 4 rabbits/replicate) and fed their respective experimental diets for 8 weeks. Results: The body weight and daily weight gain of the rabbits fed on GLM free diet and those on GLM-based diets (diets 1 and 2) were similar at finishing period of 63-91 day but have lower (P < 0.01) values than those rabbits fed GLM + E based diet (diet 3) at finishing period (63-91 days) and whole fattening period (35-91 days). The apparent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digestibility of rabbits fed control diet and those fed 15% GLM based diet were lower (P < 0.05) than those fed 15% GLM + E-based diet. Triglycerides concentration of rabbits fed 15% GLM-based diet without enzyme addition were lower (P < 0.05) than those observed for rabbits on the rest test diets.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 levels of rabbits fed 15% GLM and 15% GLM + E-based diets were lower (P < 0.05) than those fed the GLM free diet. Th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of rabbits fed the GLM free diet (diet 1) were significantly (P < 0.05) lower than those fed the 15%GLM and 15% GLM + E-based diets.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GLM at 15% of the diet did not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rabbits postweaning period (35-63 days) but will require multi-enzyme supplementation to enhance growth indices at finishing period (63-91 day) without precipitating negative effect on the rabbits' health status.

Growth Performance of Lambs Fed Diet Supplemented with Rice Bran Oil as Such or as Calcium Soap

  • Bhatt, R.S.;Karim, S.A.;Sahoo, A.;Shinde, A.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812-819
    • /
    • 2013
  • Forty two Malpura lambs (21 d ol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4 each consisting of 8 females and 6 males. Lambs were allowed to suckle their respective dams twice daily up to weaning (13 wks) and offered free choice concentrate and roughage in a cafeteria system. The lambs in control group were fed conventional concentrate mixture, in RBO group concentrate mixture fortified with 4% industrial grade rice bran oil and in Ca-soap rice bran oil (as in RBO group) was supplemented in the form of calcium soap. The concentrate intake decreased($p{\leq}0.05$) in RBO group as a result total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metabolizable energy intak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whereas Ca-soap prepared from the same rice bran oil stimulated the concentrate intake leading to higher total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energy intakes. The digestibility of dry matter ($p{\leq}0.05$), organic matter ($p{\leq}0.05$) and crude protein ($p{\leq}0.05$) was higher in RBO group followed by Ca-soap and control whereas no effect was observed for ether extract digestibility. Higher cholesterol ($p{\leq}0.05$) content was recorded in serum of oil supplemented groups (RBO and Ca-soap) while no effect was recorded for other blood parameters. Rice bran oil as such adversely affected and reduced the body weight gain ($p{\leq}0.001$) of lambs in comparison to control whereas the Ca-soap of rice bran oil improved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in lambs. Fat supplementation decreased total volatile fatty acids ($p{\leq}0.05$) and individual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 which increased at 4 h post feeding. Fat supplementation also reduced ($p{\leq}0.05$) total protozoa count. Ca-soap of rice bran oil improved pre slaughter weight ($p{\leq}0.05$) and hot carcass weight ($p{\leq}0.05$). It is concluded from the study that rice bran oil in the form of calcium soap at 40 g/kg of concentrate improved growth, feed conversion efficiency and carcass quality as compared to rice bran oil as such and control groups.

처리법을 달리한 마늘 첨가식이가 자발성 고혈압쥐의 혈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of Garlic Added Diet on the Blood of Spontaneously Hypertension Rat)

  • 전희정;백재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3-108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사람의 본태성 고혈압과 가장 유사 한 증상을 나타내는 SHR을 이용하여 고혈압의 악성기에 해당하는 6개월간의 장기간 동안 생마늘과 익힌 마늘 첨가식이를 급여함으로써 마늘의 열처리가 혈청 지질과 혈액 응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이 섭취량은 익힌 마늘 3% 첨가군이 다소 낮았으며, 체중 증가량 및 식이 효율은 마늘 첨가군과 대조군간이 차이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수준은 마늘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특히 익힌 마늘군이 생마늘 군 보다 낮게 나타났다. 중성 지질 수준은 마늘 첨가군 들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혈장 prothrombin time은 마늘 첨가군들이 대조군 보다 길었으며, 마늘 열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Fibrinogen 농도는 익힌 마늘군이 대조군이나 생마늘군 보다 낮았다. Fibrinogen과 pro- thrombin time은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익힌 마늘 3%와 생마늘 3% 첨가군 모두 체중이나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에서 대조군과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일상 식이 섭취 수준으로서 섭취할 수 있는 농도로 여겨진 다. 열처리 효과를 비교해 보면, 익힌 마늘의 생리 효과가 생마늘에 비해 낮다고 보고된 타 연구 결과와는 달리 , 본 실험에서는 익힌 마늘과 생마늘의 효과가 유사 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료 지질 및 한방제 첨가가 돌돔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Lipid Level and Herb Mixture on Growth of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종현;이상민;백재민;조재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3-119
    • /
    • 2003
  • A feeding tria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pid level and herb mixture in the diets on growth of juvenil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Two plicate groups of fish averaging 4.5 g were fed four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herb mixture (0 and 5 g/kg diet) at each of two lipid levels $(8\%\;and\;16\%)$ for 8 months from summer to spring (water temperature, $7.2-25.4^{\circ}C)$. Weight gain improved with increasing dietary lipid level or supplementation of herb mixture during the first 4 months feeding period. Weight gain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6\%$ lipid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8\%$ lipid level. Weight gain of fish fed the diet with herb mix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fish fed the diet without herb at the $16\%$ lipid level. Feed efficiency was influenced by dietary lipid level or herb mixture during the first 4 months. On the other hand,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lipid level and herb mixture after 4 months until end of feeing period. Survival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8\%$ lipid without supplementation of herb mixture was the lowest among the groups (P<0.05). Lipid contents of liver and viscera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ietary lipid level during the first 4 months feeding period, however muscle lipid content was not influenced by dietary lipid and herb. Total cholesterol of serum was influenced by dietary lipid level during the first 4 months feeding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 increase of dietary lipid level from $8\%\;to\;16\%$ and supplementation of herb mixture can improve growth performance of juvenile parrot fish when water temperature is optimum for growth such as the summer season in Korea.

아연과 철분 섭취 수준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의 지질 대사 및 체내 미량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n and Fe Levels on Lipid Metabolism and Micromineral Content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 김현숙;승정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6
    • /
    • 1999
  • 본 연구는 식이 아연과 철분 섭취 수준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의 지질 대사 및 체내 미량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만군의 혈청 지질 농도는 식이중 아연과 철분 섭취 수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정상대조군의 중성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은 아연과 철분섭취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alpha$=0.05). 간장중 미량 무기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비만군과 정상대조군에서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비만군은 아연 섭취 수준에 따라 간장의 아연, 철분, 구리, 망간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정상대조군은 철분 섭취 수준에 따라 미량 무기질 함량이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간장중 구리 함량은 비만군은 철분섭취 수준 차이에 의해서, 정상대조군은 아연 섭취 수준 차이에 의해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alpha$=0.05). 신장중 미량 무기질 함량은 비만군과 정상 대조군 모두 철분 섭취 수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식이중 아연수준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받았다. 아연 섭취 수준에 따른 영향으로 비만군의 경우는 철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고($\alpha$=0.05), 정상대조군은 아연, 구리, 망간 함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alpha$=0.05). 비장중 미량무기질 함량은 비만군의 경우 식이중 아연과 철분수준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정상 대조군은 망간과 철분 함량이 영향을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