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um alcohol concentrati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1초

급성 알코올 중독 어린 흰쥐의 해마 치상회에서 용담추출물이 신경세포생성과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ntianae Radix on Neurogenesis and Apoptosis in Hippocampus of Ethanol-induced Newborn Rats)

  • 이진규;김이화;이재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9-44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ntianae Radix on neurogenesis and apoptosis in ethanol- induced newborn rats hippocampus dentate gyrus. Methods : In vivo, laboratory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group(N), Control group(C) and Treated group (TG)(n=7 for each group). N were treated saline daily for five days. C were treated 1.5 g/kg ethanol and saline daily for five days. TG were treated 1.5 g/kg ethanol and 300 mg/kg Gentianae Radix daily for five days. BrdU(5-bromo-2-deoxyuridine) assay was used to test neurogenesis in the dentate gyrus. And TUNEL(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dUTP nick end labeling) assay was used to test apoptosis in the dentate gyrus. Three groups were measured body weight, serum ethanol concentration, BrdU-positive cells and TUNEL-positive cells in the dentate gyrus. In vitro,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was used to test viability in SK-N-MC cells. BrdU assay was used to test neurogenesis in SK-N-MC cells. DNA fragmentation and caspase-3 enzyme activity assay were used to test apoptosis in SK-N-MC cells. And treated ethanol and Gentianae Radix of all in vitro tests were made various concentration. Results : In vivo, Gentianae Radix modulated ethanol-induced neurogenesis and apoptosis in newborn rats hippocampus dentate gyrus. In vitro, TG 100 ${\mu}g/ml$ have significantly modulated ethanol-induced neurogenesis and apoptosis in SK-N-MC cells. And only TG 100 ${\mu}g/ml$ have significantly protected SK-N-MC cells from ethanol-induced cytotoxicity. Conclusions : Gentianae Radix may have the effect that modulated ethanol-induced neurogenesis and apoptosis in SK-N-MC cells.

흰쥐에 있어서 홍국 색소 추출물이 알코올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ascus Pigment Extract on the Alcohol Metabolism in Rats)

  • 유대식;최혜정;윤종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03-607
    • /
    • 2003
  • 홍국 추출물(MPE)이 알코올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에 10% ethanol에 홍국 추출물을 1%, 2.5%, 5% 함유시킨 것을 1개월간 음용시킨 뒤,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홍국 추출물을 첨가시킨 실험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율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실험군 간에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알코올만 투여한 대조군 및 홍국 추출물 함유 알코올 섭취군 모두 간 기능에 별다른 이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간 조직 중 alcohol dehydrogenase(ADH) 활성은 알코올 투여군이 정상군보다 87%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홍국 추출물 1, 2.5 및 5% 함유해서 알코올을 음용시킨 Monascus군은 알코올만 섭취한 대조군에 비해 각각 34, 29 및 21% 증가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ALDH) 활성에 있어서는 1%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32%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2.5% 및 5% Monascus군 역시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효소를 반응속도적인 측면에서 관찰해 볼 때, 1, 2.5 및 5%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ADH의 Km치가 각각 40, 30 및 19% 감소되었으며, Vmax치는 알코올 투여군인 대조군은 정상군(8.26 nmole/min/mg protein)보다 43% 높게 나타났으며, 홍국 추출물함유 알코올음용군과 알코올단독음용군 간에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ALDH의 Vmax치는 대조군에 비해서 1, 2.5, 5%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각각 88, 56, 22% 증가되었다. 한편 1% 및 5% 홍국 추출물 함유 알코올을 흰쥐에 투여한 다음 경시별로 채혈하여 혈액 중 알코올을 측정하여 알코올 농도 곡선하면적으로 환산한 결과, 1%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18% 감소되었으며 5% Monascus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약 10%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 실험 결과는 알코올에 홍국 추출물을 첨가시킴으로서 알코올대사와 더불어 알코올의 체외 배설을 촉진시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흰쥐 성장기간에 따른 Xylene의 독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ging on the Xylene Toxicity in Rats)

  • 이혜자;이상희;전태원;이상일;윤종국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93-199
    • /
    • 2000
  • 실험동물에 있어서 연령 차이에 따라서 xylene 독성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는 일환으로 5주령 및 12주령 흰쥐에 50% m-xylene을 체중 100 g 당 0.25 ml씩 1회 투여한 다음 24시간 후에 처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Xylene투여로 인한 요 중 methylhippuric acid 함량은 5주령군이 12주령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간조직 중 cytochrome P-450 함량은 대조군에 있어서 5주령군이 12주령군 보다 약 50% 정도 낮게 나타났으나 xylene 투여로 인한 cytochrome P-450 함량 증가율은 12주령군 보다 5주령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간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치도 대조군에 있어서는 5주령군이 12주령 보다 약 35% 정도 낮게 나타났으나 xylene 투여로 인한 본 효소의 활성 증가율은 5주령군에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간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치는 대조군 및 xylene 투여군 모두 5주령과 12주령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xylene 투여시 체중 당 간무게, 간조직 malondialdehyde 함량 및 혈청 ALT 활성 변동을 통하여 간손상 정도를 상호 비교 관찰하였을 때, 12주령군이 5주령 실험동물 보다 간손상이 다소 심하게 나타남을 알 수가 있었다. 이상 실험결과는 연령에 따라 xylene에 의한 간손상의 차이는 이물질의 생체내 대사율이 달리 나타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terleukin-6 and interleukin-10 polymorphisms in the Korean stroke patients

  • Kim, Kyung-Min;Lee, Sang-Hoon;Lee, Jae-Dong;Choi, Do-Yo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12
    • /
    • 2005
  • Objective: With the onset of stroke, white blood cells release several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nterleukin (IL)-6, IL-10,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t has been proven in previous studies that the release of these cytokines is related to the extent of damage to the brain and to overall prognosis. However, no studies have yet been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nnection with IL-6 and IL-10. Thus, this study is performed to see whether polymorphisms of IL-6, IL-10, and $TNF-{\alpha}$ genes that show increased serum concentration with the onset of stroke are related to stroke attack in Koreans. Methods : Peripheral blood samples derived from patients with stroke (n=100) and healthy controls (n=100) were taken under informed consent. In subjects with stroke, blood samples were obtained within 24 hours of stroke onset. Genomic DNA was isolated using the Wizard DNA Purification Kit (Promega, Madison, WI). Results : 1. Subjects with Heterozygote (GA) and Homozygote (AA) $TNF-{\alpha}$ gene types showed 2.433 and 20.457 times higher risks of being attacked by stroke, respectively, compared to subjects with wild type (GG) $TNF-{\alpha}$ gene type. The data was sti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ex, history of smoking, and history of alcohol drinking. 2. Subjects with Homozygote (CC) IL-6 gene type showed 182.033 times higher risk of being attacked by stroke, compared to subjects with wild type (GG) IL-6 genes. This data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0.700). The data was still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ex, history of smoking, and history of alcohol drinking. 3. Subjects with Heterozygote (GA) and Homozygote (GG) IL-10 gene types showed 8.785 and 3.303 times higher risks of being attacked by stroke, respectively, compared to subjects with wild type (AA) IL-10 genes. The data was still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ex, history of smoking, and history of alcohol drinking.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nvestigated $TNF-{\alpha}$ and IL-10 gene polymorphisms play an important role in stroke attack, but IL-6 gene polymorphism has not been found to associated with stroke.

  • PDF

AN EXPLORATORY STUDY COMPARING BLOOD METAL CONCENTRATIONS BETWEEN STROKE AND NON-STROKE PATIENTS IN KOREANS

  • Lee, Sun-Dong;Ko, Seong-Gyu;Kim, Rok-Ho;Hu, Howard;Amarasiriwardena, Chitra J.;Park, Hae-Mo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KSEH.Minamata Forum
    • /
    • pp.87-94
    • /
    • 2005
  •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metal level in the body is related to certain types of diseases. For example. serum copper level with chronic heart failure, iron and transferrin in the blood serum with acute cerebral vascular diseases, Zn in the CNS, lead with neurotoxicity, hypertension, genetic damage, arsenic with cancer skin lesion, Al with neurobehavioral function (cognitive impairment and memory disorder), and etc. The rate of stroke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several metals were found to be responsible for causing stroke. This study compared several blood metal concentrations between stroke and non-stroke patients. Patients with stroke (116 samples) and non-stroke (111 samples including lowback pain and 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tal of 227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age, gender, occupation, residence, alcohol, smoking, and etc. To be qualified into the stroke group, patients have never experienced stroke previously. Subjects only included ischemic stroke and intracerebral hemorrhage patients diagnosed by brain CT and brain MRI. Patients with high risk of metal exposure such as herbal intake and job related exposure were excluded. 10ml of blood samples were analyzed by ICP-MS method at the Center of Nature and Science at Sangji University. Metal geometric mean (SD) concentrations in blood of study subjects showed higher values, 2.64-36.12%, than WHO reference values in Mn, Ni, Hg, Se, and As. Metal concentration in blood of stroke patients non-adjusted for potential confounders was higher except for Hg and also higher except for Ni in adjusted for potential confounders. C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troke patients (p=0.002) than non-stroke patients adjusted for potential confounders. Regression coefficient values of stroke patients was 0.17-8.25 in each metals. Odd ratio of stroke patients had 0.96 (Ni)-2.68 (Co) compared to non-stroke cases. This result means that Co increase of 1 raises the risk ratio of stroke by 2.86 times. Based on the results, metal concentration in blood seems to affect incidence of stroke.

  • PDF

Lactobacillus brevis HY7401 섭취가 쥐의 혈중 알코올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obacillus brevis HY7401 Intake on the Serum Ethanol Concentration in Rats)

  • 안영태;김용희;배진성;임광세;허철성;양우영;김형수;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04-608
    • /
    • 2004
  • Lactobacillus 균주들의 에탄올과 acetaldehyde의 대사 가능성을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시험하였다. ADH와 ALDH 활성은 L. brevis 균주들이 다른 Lactobacillus 균주들과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L. brevis HY7401은 가장 높은 ADH와 ALDH 활성을 나타냈다. L. brevis HY7401$(10^9\;cfu/mL)$을 2주간 하루에 1 mL씩 쥐에게 급여한 후 시험 14일째에 에탄올(4g/kg BW)을 경구투여하고 혈중 에탄올 양을 측정한 결과, L. brevis HY7401 급여에 의해 혈중 에탄올 수준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투여 6시간후의 혈중 에탄올 양이 각각 $1,195{\pm}92.9$(대조군) 그리고 $454{\pm}150mg/L$(HY7401군)으로 나타났다. 또한 L. brevis HY7401 급여한 군에서 소장내 에탄올 농도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약 1/2수준이었으며, 초산 농도는 2배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들은 사람으로부터 분리된 L. brevis HY7401이 높은 ADH와 ALDH 활성을 갖고 있어 에탄올과 acetaldehyde를 대사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L. brevis HY7401을 쥐에게 급여함으로써 혈중 에탄올 수준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성인의 혈중 중금속 농도와 생선 섭취 및 심혈관 질환과의 관련성-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0년) (The association of heavy metals in blood, fish consumption frequency,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 신지예;김지명;김유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4호
    • /
    • pp.347-361
    • /
    • 2012
  • Limited studies are available concerning the effect of heavy metal exposure on cardiovascular diseases. As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s, food contamination, including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fish, also increases. However, researches based on the intake of heavy metals, cardiovascular disease, and fish intakes are inconclusive. We assessed an association of heavy metal exposure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fish intake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group of general Korean adults. We used data from the combined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analyzed the data of 5,139 Koreans who participated in KNHANES. All participants were older than 20 years, and were diagnosed with stroke, ischemic heart disease, or hypertension. The mean blood cadmium, lead concentration, and mercury concentration of subjects were $1.07{\pm}0.01{\mu}g/L$, $2.49{\pm}0.02{\mu}g/dL$, and $5.19{\pm}0.08{\mu}g/L$, respectively. We used the survey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account for the complex sample design of th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order to estimate the odds ratios (OR).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income, alcohol, smoking, and BMI, the increase of serum cadmium in blood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Further, the increase in blood cadmium concentr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both systolic blood pressure (SBP)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Although higher fish intak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blood mercury concentration (p for trend < 0.0001), fish intakes did not affect either blood cadmium or lea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highest fish intake group with the lowest intake group, the OR of hypertension was 0.31 (95% CI: 0.19-0.59) in the crude model for total fish. However, these associations were no longer significant after the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In conclusion, cadmium in blood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hypertension in the general Korean adult population. However, we found no evidence of a clear relationship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and frequency of fish consumption.

직업적인 크롬 노출이 혈중 Homocysteine, Folate와 Vitamin B12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al Chromium Exposure on Plasma Homocysteine, Folate and Vitamin B12 Concentration)

  • 김기웅;김규상;박인정;강성규;오성수;정효석;장성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5-253
    • /
    • 2006
  • We evaluated the relations among exposure and urinary levels of Cr, folate, vitamin $B_{12}$ and Hcy levels in the workers chronically exposure to Cr. Subjects were 104 male employees, 65 workers exposed to Cr in 9 electroplating plants and 39 office workers who had never been occupationally exposed to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Cr. The geometric mean(GM) of Cr in workplace was $0.069{\pm}0.101mg/m^3$ and urinary Cr was $0.483{\pm}0.394mg/g$ creatinine and airborne Cr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urinary concentration of Cr(r=0.900, p=0.000). The geometric mean concentration of urinary Cr in control group was $0.301{\pm}0.255mg/g$ creatinine. In comparing the workers exposed to Cr with controls, significantly higher mean plasma levels were found of Hcy($11.3{\pm}4.9$ vs $9.4{\pm}4.7{\mu}mol/{\ell}$, p=0.05), but vitamin $B_{12}$ levels ($181.8{\pm}68.7$ vs $216.0{\pm}64.3nmol/{\ell}$, p=0.0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Hcy concentration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irborne Cr concentrations(r=0.287, p=0.004) and urinary Cr concentrations(r=0.244, p=0.015) but folate concentrations correlated negatively with airborne(r=-0.234, p=0.020) and urinary Cr concentrations(r=-0.640, p=0.090), respectively. No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vitamin $B_{12}$, airborne and urinary Cr concentrations. Also, Hcy concentrations correlated positively with vitamin $B_{12}$(r=0.295, p=0.0020 and negatively with folate concentrations(r=-0.196, p=0.046). The various biological(i.e. age and serum indicates) or lifestyle factors(i.e. medication, smoking, alcohol and coffee intake), also taken into account as potential confounders, did not influence the correlations found. Thus, this study found evidence that Cr might be associated with elevated plasma levels of Hcy. Furthermore, elevated plasma levels of Hc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

공복혈당장애군 및 당뇨군의 비만도, 혈압, 혈청 지질 농도 및 영양소 섭취 상태 (Anthropometry, Blood Pressure, Serum Lipid Levels and Nutrient Intakes in People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with Diabetes)

  • 김은경;권숙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303-313
    • /
    • 2002
  • 1999년 7월 1일부터 1년간 아산재단 강릉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중에서 공복혈당장애군 (92명), 당뇨군 (119명) 및 이들과 성별 및 연령이 유사한 정상 대조군 (123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을 통하여 비만도를 평가하고, 혈압측정과 혈액분석 그리고 식품 섭취 빈도법을 이용하여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1) 남자에서 공복혈당장애군의 BMI(25.7$\pm$2.7kg/$m^2$)와 비만도 지수(119.1$\pm$12.2%)는 당뇨군 및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WHR (0.92$\pm$0.04)과 혈압 (수축기 139$\pm$19.2mmHg, 이완기 85.1$\pm$12.2mmHg)은 당뇨군과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정상군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여자의 경우, 공복혈당장애군의 체중, BMI, 비만도 지수 및 WHR는 당뇨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상군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높았다. 2) 비만 이환율을 살펴보면, 남자의 경우 공복혈당장애군 (43.6%)-정상군 (27.4%)-당뇨군 (22.5%)의 순이었으나, 여자는 공복혈당장애군(76.7%)-당뇨군(63.3%)-정상군(54.0%)의 순으로 나타나, 공복혈당장애군에서 비만의 이환율이 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3) 남자에서 수축기 및 이완기 고혈압 위험 집단의 비율은 공복혈당장애군에서 각각 40.0%와 52.0%로 가장 높았으나 (p<0.05), 여자에서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남자에서 공복혈당장애군의 중성지방 농도(177.7$\pm$109.4mg/dl)와 AI(3.16$\pm$0.91)는 정상군 및 당뇨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단지 두 군의 중간 정도의 범주에 해당되었다. 그러나, 여자에서는 공복혈당장애군의 AI, relative cholesterol의 수준이 정상군과는 유의하게 다르고, 오히려 당뇨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영양소 섭취량은 정상군, 공복혈당장애군 및 당뇨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알코올로부터의 열량 섭취비율을 살펴보면, 남자의 경우 공복혈당장애군이 7.0$\pm$6.9%로서 정상군 (4.5$\pm$5.9%) 및 당뇨군 (5.6$\pm$6.1%)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0~49세에 해당되는 중년 여성의 에너지, 단백질, 철분 섭취량을 권장량과 비교하여 보면, 각각 74.8$\pm$12.6%, 94.6$\pm$26.4% 및 64.5$\pm$14.1%로 당뇨군 (각각 112.8$\pm$28.5%, 157.8$\pm$68.2%, 92.8$\pm$21.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청국장식이가 알코올성지방간 쥐의 지질대사 및 간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ongkukjang Intake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Alcoholic Fatty Liver Rats)

  • 이은희;천종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06-1515
    • /
    • 2009
  • 본 연구는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로 유발된 알코올성지방간 쥐에서 청국장식이가 지질대사 및 간 기능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동물은 생후 7주령된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35마리에게 30일간 에탄올이 첨가된 액체식이를 공급하여 알코올성지방간을 유발시킨 후 다시 실험동물을 에탄올+카제인식이군(ECD)과 에탄올+청국장식이군(EChD)으로 나누어 각각 총 열량의 36%에 해당하는 에탄올이 함유된 액체 형태의 실험식이를 제공하였다. 실험식이 제공 후 10, 20, 30일째에 각각 혈액과 간을 수집하여 혈액의 지질수준, 간 조직 내 지질과산화물 수준과 그와 관련된 효소의 활성도 및 간 기능 지표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식이섭취량은 두 식이군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일일 평균체중증가량은 각 실험식이를 공급한 20일과 30일에서 EChD군이 EC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ECD군은 모든 실험기간 동안 알코올성지방간 상태를 보였으나, EChD군은 10일에서만 지방간 상태를 보였다. 혈청의 총 지질 함량, 중성지방 그리고 총 콜레스테롤은 각 실험식이를 공급한 모든 기간에서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혈청 HDL-콜레스테롤은 EChD군이 ECD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질과산화 지표인 간 조직 TBARS 함량은 모든 기간에서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간의 conjugated diene 함량은 각 실험식이를 10일간 공급하였을 때만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간 조직 내 항산화효소인 SOD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3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간 catalase와 GPx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20일과 3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각각 EChD군이 EC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간 기능 지표인 혈청 GOT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10일과 20일간 공급하였을 때, 혈청 GPT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1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각각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LDH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공급한 모든 기간에서, 혈청 γ-GTP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2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각각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혈청 알코올 농도는 각 실험식이를 20일간 공급하였을 때 ECD군이 ECh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ADH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30일간 공급하였을 때, ALDH 활성도는 각 실험식이를 20일과 30일간 공급하였을 때 각각 EChD군이 ECD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청국장의 급여는 간의 중성지방 함량을 감소시켜 알코올로 인한 지방간 생성을 감소시키고, 혈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감소시키며 항동맥경화 인자인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시켰다. 또한 간의 TBARS 함량과 conjugated diene 함량을 감소시키고, 간 SOD와 catalase 및 GPx 등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혈청 GOT, GPT, LDH 및 γ-GTP 활성도를 감소시켰으며 간 알코올 분해효소인 ADH와 ALDH 활성도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통발효식품인 청국장은 알코올 섭취로 인해 증가된 혈중 지질 수준과 간의 지질과산화물 수준을 감소시키고, 간 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며,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알코올 대사의 중간생성물인 아세트알데히드의 생성을 감소시켜 알코올의 독성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과 간질환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개선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