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ium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정보시각화에서 퍼포먼스로의 미학적 확장 : 관객시각에서 하이퍼매개센소리엄 요소 고찰 (Aesthetic Expansion from Information Visualization to Performance : Research on Sensorium in Perspective of Audience)

  • 김응석;윤준성;임경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5-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각화의 미학적 작품이 공연 예술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한다. 정보 시각화는 정보의 시각적 전달이라는 기능적 충족 외에 몰입과 상호작용적 특성이 고려되는 관객과의 관계가 더욱 중요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정보시각화의 정보 전달 과정이 하나의 공연으로 확장된다면 관객입장에서 감각적 센소리엄(Sensorium)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에 벤 루빈(Ben Rubin)과 마크 한센(Mark hansen)의 작품(2001)을 분석하여, 정보시각화 분야의 정보전달이라는 기능적 요소 외에 하이퍼매개(Hypermediacy)를 통한 관객과의 센소리엄을 증대 시키는요소를 고찰해 본다. 공연적 자아(the performing self), 공연적 인터페이스(the performing interface), 극적 패턴(the dramatic pattern)의 3가지 요소가 필요함을 제시하여 관객과의 센소리엄 관계를 탐구한다. 이 글을 통해 정보 시각화에 기반을 둔 미학적 작품들을 공연예술의 관점에서 확장하여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물리구축환경의 지능적 부활로서의 실시간 행태 공간의 특성 분석 - onl과 NOX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time Behavior Space Design - Focused on the Works of onl and NOX -)

  • 이한나;박현옥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19-26
    • /
    • 2005
  • Digital technology continually makes a space evolves. The real-time behavior design communicates the data with the situation of circumference of the space(visitors moving, interior and exterior situations). The space form was changed because it interfaces in real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real-time behavior spac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space formative languages, sensorium, S-R and material. This study will be the one of basic references for the digital space design. The boundary of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works of digital space designer who applies the real-time exchanging data to their design among the digital space design works from 1996 to 2004. But it excepted from the real-time behavior space in virtual realty. Therefor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works of onl and NOX(paraSITE, Trans-port 2001, Muscle, MotormeCCa, Handdrawspace, Saltwater Pavilion, Son-O-House, H2O Expo). The method was the contents analysis of space formative languages(Greg Lynn's ten space formative languages; bleb, blob, branch, flower, fold, lattice, teeth, shred, skins and strand), sensorium, S-R and materia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organizational elements; Space formative languages(bleb, blob, fold, shred, skins, strand), stimulation(Human Participation, Human Moving, Weather Conditions), and response(Spatial Moving, Sound Pattern, Lighting Pattern, color Pattern, Activating Particles, Moving Picture, Virtual Friend) 2) The material Use; Sound, lights, and network have been used in the space. Immaterial matter will be used the main material of space design in 21"'century, 3)The spatial types; formal changing of space, projecting immaterial elements, and changing the sound.

Of Scent and Sensibility: Embodied Ways of Seeing in Southeast Asian Cultures

  • Ly, Boreth
    • 수완나부미
    • /
    • 제10권1호
    • /
    • pp.63-91
    • /
    • 2018
  • One of the goals of this article is to continue the momentum begun by emerging scholarship on theory and practice of writing about visual culture of and in Southeast Asia. I hope to offer culturally sensitive and embodied ways of looking at images and objects as sites/sights of cultural knowledge as further theoretical intervention. The argument put forward in my essay is three-fold: first, I critique the prevailing logocentric approach in the field of Southeast Asian Studies and I argue that in a postcolonial, global, and transnational period, it is important to be inclusive of other objects as sites/sights of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analysis beyond written and oral texts. Second, I argue that although it has its own polit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the evolving field of Visual Studies as it is practiced in the United States is one of many ways to decolonize the prevailing logocentric approach to Southeast Asian Studies. Third, I argue that if one reads these Euro-American derived theories of vision and visuality through the lens of what Walter Mignolo calls "colonial difference(s)," then Visual Studies as an evolving field has the potential to offer more nuanced local ways of looking at and understanding objects, vision, and visuality. Last, I point out that unlike in the West where there is an understanding of pure, objective and empirical vision, local Southeast Asian perspectives on objects and visions are more embodied and multi-sensorial. I argue that if one is ethically mindful of the local cultural ways of seeing and knowing objects, then the evolving field of Visual Studies offers a much-needed intervention to the privileged, lingering logocentric approach to Southeast Asian Studies. Moreover, these alternative methods might help to decolonize method and theory in academic disciplines that were invent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 PDF

책임능력판단에 관한 범죄심리학적 이론과 정신장애 항변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ibility Judgment and Mental Disorder of Criminal Psychology)

  • 임상곤
    • 시큐리티연구
    • /
    • 제10호
    • /
    • pp.293-322
    • /
    • 2005
  • 본 연구는 형사책임과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일치추론이론과 외부귀인이론 등을 통해 도의적 책임판단에 관한 범죄심리학적 이론을 연구하여 미국에서 배심원이 유무죄의 평결을 도출해 내는 판단과정에 관한 이론적 관점들을 접근하고자 한다. 정신장애(insanity)는 형사책임능력에 관한 법적인 개념이며 임상적인 혹은 정신의학적인 개념이 아니다. 따라서 법체계가 다르면 정신장애의 정의도 달라지게 마련이다. 우리나 라 법과 미국의 법은 서로 매우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어서 미국법의 개념들이 한국법의 개념들과 불일치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형사책임능력에 관한 법이론적 개념들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형법은 심신상실(형사책임무능력)과 심신미약(한정책임능력)을 구분함으로 미국이나 영국에서 이용되는 정신장애의 개념이 직접 적용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들어 한국에서도 미국의 법에서 사용되는 정신장애의 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형사책임의 법적판단에 임상적인 자료 및 전문가 의견이 큰 비중으로 고려되고 있으므로 법학과 심리과학(학문적 글로벌 개념)과 사이에 상호간 진지한 논의와 협력이 요구된다. 한국에서의 정신장애에 대한 정의와 구체적 기준들은 한국 형법의 전반적인 이론적 맥락에서 구축되어야 함은 분명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그러한 조작정의가 객관적 진실을 전혀 도외시한 것이어서는 안된다고 사료되며, 따라서 이 문제에 관하여 실증적인 경험학문을 지향하는 심리학이나 정신의학 등의 행동과학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