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 database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초

데이터 중심 저장 환경에서 소설 데이터 보정 기법을 이용한 인-네트워크 병합 질의 처리 (In-network Aggregation Query Processing using the Data-Loss Correction Method in Data-Centric Storage Scheme)

  • 박준호;이효준;성동욱;유재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7권6호
    • /
    • pp.315-323
    • /
    • 2010
  • 센서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질의를 처리하는 기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이 있다,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의 경우 질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 값에 따라 저장 될 센서 노드를 지정하고, 질의 처리를 위해 질의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노드에서만 데이터를 수집한다. 하지만 노드의 결함이 발생하면 결함 노드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데이터가 소설 됨에 따라 질의 결과 정확도가 저하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에서 노드 결함에 따른 데이터 소실이 발생하여도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인 네트워크 병합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데이터 소실이 발생 하였을 경우 선형 회귀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소설 된 영역에 해당하는 보정 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가상의 데이터를 포함한 질의 결과를 반환한다.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소설 데이터 보정 기법을 적용한 KDDCS(E-KDDCS) 기법과 기존의 데이터 중심 저장 기법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기법에 비해 질의 결과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질의 처리 시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켰다.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스케쥴링 정책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for Scheduling Policies on a Realtime Database)

  • 김수희;한광록;김환구;손상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57-82
    • /
    • 2004
  • 컴퓨터, 통신과 데이터베이스가 합류하여 빠른 속도로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있는 시점에서, 많은 응용들은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시간적으로 일관성이 있는 센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접근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전통적인 비실시간 데이터베이스와 객체 관리 시스템에 비해서 성능과 기능면에서 상당히 향상된 점들을 제공하기 위해 BeeHive라는 객체 지향 실시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데드라인을 인지하는 두 가지의 스케쥴링 정책 EDDF와 EDF-DC, 기준이 되는 EDF의 성능이 BeeHive 상에서 수락제어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누어 광범위한 실험을 통해 평가되었다. 데이터 데드라인을 인지하는 스케쥴링 정책들이 효율적인 영역과 수락제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역을 구분하여 확인하였다.

  • PDF

센서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새로운 조인 연산자 정의* (A New Join Operator Definition for Sensor Network Databases)

  • 이승재;김창화;김상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5-78
    • /
    • 2007
  • 최근 센서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센서네트워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센서네트워크에서는 제한된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점, 스트림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기존 데이터베이스와는 다른 연구가 필요하다. 정확히 일치하는 키 값에 대하여만 조인이 발생하는 조인연산 또한 센서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다. 온도센서와 습도센서가 일정영역에 무작위로 뿌려져 있는 센서네트워크를 가정해 보자. 데이터베이스 관점에서는 온도릴레이션과 습도릴레이션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위치에 따른 온도와 습도의 상관관계를 얻기 위하여 좌표를 키 값으로 하여 릴레이션을 조인하면 결과는 공집합이거나 아주 적은 수의 튜플만 얻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그 이유는 동일한 좌표를 가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센서쌍이 존재할 확률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범위조인연산자를 제안한다. 이 범위조인연산자를 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하면 좀 더 효율적인 데이터관리가 가능하고 데이터베이스에서 응용계층에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 PDF

모바일 환경에서 센서정보를 이용한 검색어 추천 시스템 (Keyword Recommendation System by Sensor information in Mobile Environments)

  • 윤성열;손성용;박석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78-118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검색어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예측하여 순서대로 추천하는 시스템 체계를 제안하였다. 센서 정보로부터 들어온 상황 정보는 추천 엔진으로 보내어 지고, 미리 구축된 상황정보 와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련 콘텐츠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통해 추천어를 도출하여 다시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구현되었다. 구현한 시스템의 평가를 위하여 시스템의 동작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50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스템의 사용자 만족도를 측정하여 제안된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Wearable Approach of ECG Monitoring System for Wireless Tele-Home Care Application

  • Kew, Hsein-Ping;Noh, Yun-Hong;Jeong, Do-Un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7-340
    • /
    • 2009
  • Wireless tele-home-care application gives new possibilities for ECG (electrocardiogram) monitoring system with wearable biomedical sensors. Thus, continuously development of high convenient ECG monitoring system for high-risk cardiac patients is essential. This paper describes to monitor a person's ECG using wearable approach. A wearable belt-type ECG electrode with integrated electronics has been developed and has proven long-term robustness and monitoring of all electrical components. The measured ECG signal is transmitted via an ultra low power consumption wireless sensor node. ECG signals carry a lot clinical information for a cardiologist especially the R-peak detection in ECG. R-peak detection generally uses the threshold value which is fixed thus it bring errors due to motion artifacts and signal size changes. Variable threshold method is used to detect the R-peak which is more accurate and efficient.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alysis, R-peak detection using MIT-BIH databases and Long Term Real-Time ECG is performed in this research. This concept able to allow patient to follow up critical patients from their home and early detecting rarely occurrences of cardiac arrhythmia.

  • PDF

Trends in Acupuncture Training Research: Focus on Practical Phantom Models

  • Jang, Jung Eun;Lee, Yeon Sun;Jang, Woo Seok;Sung, Won Suk;Kim, Eun-Jung;Lee, Seung Deok;Kim, Kyung Ho;Jung, Chan Yung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9권2호
    • /
    • pp.77-8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acupuncture training systems and models and to analyze acupuncture training using phantom models. Articles on acupuncture training were retrieved from domestic and foreign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NKI, CiNii, NDSL, KISS, RISS and KMBase). The search included studies conducted from January 1, 2010 to October 1, 2021. Acupuncture training was analyzed by categorization into acupoint location training and needling training. Acupuncture training was most frequently studied in China, acupoint location training was the most studied in 2012, and needling training was the most studied in 2013 and 2020. Among them, a silicone model with a sensor was used for training in acupoint location, and silicone and agarose gel were frequently used for needling training. Classifications of the phantom models for needling training by topic included phantom development, phantom-based education and evaluation system, phantom-based quantitative measurement, comparison of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hand motion between experts and beginners, and phantom models for acupoint location and needling training.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cupuncture practice training systems to improve practical skills is needed.

랜드마크 윈도우 기반의 빈발 패턴 마이닝 기법의 분석 및 성능평가 (Analysis and Evaluation of Frequent Pattern Mining Technique based on Landmark Window)

  • 편광범;윤은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01-10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랜드마크 윈도우 기반의 빈발 패턴 마이닝 기법을 분석하고 성능을 평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Lossy counting 알고리즘과 hMiner 알고리즘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최신의 랜드마크 알고리즘인 hMiner는 트랜잭션이 발생할 때 마다 빈발 패턴을 마이닝 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hMiner와 같은 랜드마크 기반의 빈발 패턴 마이닝을 온라인 마이닝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랜드마크 윈도우 마이닝의 초기 알고리즘인 Lossy counting와 최신 알고리즘인 hMiner의 성능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우리는 성능평가의 척도로 마이닝 시간과 트랜잭션 당 평균 처리 시간을 평가한다. 그리고 우리는 저장 구조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최대 메모리 사용량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알고리즘이 안정적으로 마이닝이 가능한지 평가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아이템 수를 변화시키면서 평가하는 확장성 평가를 수행한다. 두 알고리즘의 평가 결과로, 랜드마크 윈도우 기반의 빈발 패턴 마이닝은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한 마이닝 방식을 가지고 있지만 메모리를 많이 사용했다.

센서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검출 및 필터링을 위한 경로기반 네트워크-내 조인 프로세싱 방법 (Path-based In-network Join Processing for Event Detection and Filtering in Sensor Networks)

  • 전주혁;유재수;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6호
    • /
    • pp.620-630
    • /
    • 2006
  • 센서 네트워크의 다양한 응용 분야들 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로 이벤트 검출(event detection)이다. 이벤트 검출 작업은 사용자가 미리 정한 조건테이블과 센서 노드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타들 간 조인연산을 사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검출을 위해 조인연산을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내 조인연산을 수행함으로써 통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내 조인연산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인 PBA를 제안한다. PBA는 각 노드에서 베이스스테이션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경로 상에서 조건테이블을 나누어 저장하여 네트워크-내 조인연산을 수행한다. PBA는 각 노드들이 자신의 레벨값을 보고 저장할 부분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보다 조건테이블 전송 비용을 훨씬 더 적게 발생시킨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법이 네트워크의 밀도에 비해 조건테이블의 크기가 클 경우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인 PBA는 그러한 제약 없이 대부분의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동작한다. 실험 결과는 PBA가 대개의 경우에 효율적으로 동작하며, 특히 조건테이블의 크기가 네트워크 밀도에 비해 비교적 크거나 네트워크의 라우팅 트리의 높이가 큰 경우에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XML 스트림 데이타에 대한 적응력 있는 질의 처리 시스템 (An Adaptive Query Processing System for XML Stream Data)

  • 김영현;강현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3호
    • /
    • pp.327-341
    • /
    • 2006
  • 센서 네트워크, 모니터링, SDI (selectiv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등과 같이 스트림 데이타를 생성하는 응용의 증가로 스트림 데이타에 대한 질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특히 SDI와 같은 웹 환경의 응용은 XML 스트림에 대한 질의 처리를 필요로 하는데, XML은 웹 환경에서 데이타 교환의 표준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아주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시된 XML 스트림 질의 처리 시스템들은 정적인 질의 계획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적으로 변하는 스트림 데이타에 대해 적응력 있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관계 데이타 스트림에 대한 질의 처리 시스템들은 질의 연산자 라우팅 기법을 통해 동적인 질의 계획을 사용함으로써 적응력 있는 질의 처리를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관계 데이타 모델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적응력 있는 질의 처리 모델을 적용하여XML 스트림에 대한 적응력 있는 질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XML을 기반으로 하는 대표적인 시스템인 YFilter와 본 논문이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여 본 논문이 제안하는 시스템의 효율성을 보인다.

하둡 분산 환경 기반의 데이터 수집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Data Collection Methods based Hadoop Distributed Environment)

  • 진고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6
    • /
    • 2016
  • 최근 빅데이터 활용과 분석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처리 플랫폼인 하둡을 도입하는 정부기관 및 기업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빅데이터의 처리와 분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그와 병행하여 데이터의 수집 기술이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나, 데이터 분석 기법의 연구에 비하여 수집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하둡을 클러스터로 구축하고 아파치 스쿱을 통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형화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아파치 플룸을 통하여 센서 및 웹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파일, 로그 파일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스트림 기반으로 수집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융합을 통한 데이터 수집으로 빅데이터 분석의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