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living alon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2초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맞춤영양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범 적용 연구 (A Study on Customized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for the Low-Income Elderly)

  • 도현주;이영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16-729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plan nutrition support programs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whose nutrition status were seriously concerned, conducted seven stages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 on a trial basis,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f the Elderly Nutrition Support Project. Subjects were selected for personalized nutrition management based on nutritional risk score and nutrition intervention were tailored to the problems occurred. The elderly nutrition support program targets were 44 senior citizens who lived alone with low income. The 33 (as Type 1) of the subjects with whom milk, tofu, seaweed, eggs, black beans have been supported, and als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and the rest 11 persons (as Type 2) to whom food was not supported but provide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As a result, all subjects showed that compared with pre and post program implementation, their daily exercise time and milk and protein consumption level were increased and some improvement was observed regular meals consumption and low-salt diets. Their nutrient intake level such as calories, protein, calcium, iron improved after implementation. In addition, NSL DETERMINE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13.21 to 7.24 in Type 1 and 11.27 to 9.91 in Type 2. As positive dietary behavioral changes were observed as in that they purchased more protein and calcium rich foods.

고령화에 따른 도시형 노인 시니어 멀티 케어존 실효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Urban Senior Multi-Carezon for the Elderly)

  • 이종식
    •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3-286
    • /
    • 2018
  •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다양한 인구정책을 펴고 있지만 인구 통계학적 결과에 따르면 급속히 고령화가 이어지고 있고 앞으로도 더 심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많은 노인들은 열악한 경제적인 여건과 체계적이지 못한 건강관리에 노출이 되어있고 대 부분 정신적인 질환과 만성질환에 항상 시달리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기존에 도시의 노인들은 대가족 구조에서 소가족으로 바뀌면서 가족의 소외감과 혼자 거주하는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혼자 주거하는 노인들의 건강관리는 더욱 더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매우 빈약한 관리아래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노년기를 거쳐야 되며 우리는 노년의 과정을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보내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의 기본적인 연령이 늘어나면서 그에 따른 복지정책과 의료정책 등 여러 측면에서 고려하여야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65세 이상의 100명의 노인 인구를 대상으로 경제학적인 상황과 신체적인 건강 상태와 정신적인 건강상태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심각한 소외감과 고독감 그리고 정서적인 상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일명 "도시형 시니어 멀티 케어존"이 실제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는 노인의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찾고자 연구하였다.

노인의 가구유형에 따른 정보 활용과 삶의 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Use and Quality of Life by Household Types of Elderly)

  • 전병주;곽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13-220
    • /
    • 2016
  • 본 연구는 충 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 252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여 정보 활용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과 일반노인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정보 활용은 일반노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 '정신 심리적 건강' 및 '사회적 관계' 영역은 일반노인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 영역은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하위영역별로 두 집단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요인의 영향력은 집단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에서 경제적 상태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 활용, 교육수준, 거주 지역 등은 집단에 따라 영향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집단 모두 '정신 심리적 건강' 영역에서 정보 활용의 영향력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노인들의 가구 특성을 고려한 실증적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고령화 및 정보화 사회에 맞추어 노인들의 정보 접근을 강화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장애인 1인가구에 관한 연구동향: 체계적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n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김보배;박수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2호
    • /
    • pp.85-96
    • /
    • 2024
  • 본 연구는 장애인 1인가구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자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KCI, RISS, KISS, e-Articl 총 4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장애인 1인가구, 고령장애인 1인가구, 독거 장애인, 1인가구 등의 연관 검색어를 조합하였고 2023년 9월 30일까지 출판된 2,161건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5단계에 걸쳐 장애인 1인가구와 관련 없는 문헌을 배제하였고, 최종 13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로 장애인 1인가구 연구주제로 구분한 결과, 1인가구 관련 실태 및 관련 요인분석, 1인가구 관련 쟁점 및 지원방안, 1인가구 관련 사례연구 3개로 연구주제가 구분되었다. 둘째로 장애인 1인가구는 여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낮을수록, 건강이 나쁠수록, 미취업 상태일수록, 가족지원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지역사회 욕구조사를 통해 본 노인복지의 정책적 과제 (Policy Tasks for Senior Welfare Viewed from Needs Assessment in Communities)

  • 윤숙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74-284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노인복지에 초점을 맞추어 창원시 마산회원구에 거주하는 지역 어르신들의 전반적인 생활실태 및 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어르신 맞춤형 복지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나아가 지역사회 어르신들의 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창원시 마산회원구의 60세 이상 어르신 600명을 대상으로 어르신들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를 파악하고,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내 어르신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내 홀몸어르신의 증가 및 열악한 경제상태, 만성질환, 자원봉사활동의 부재 등 사회참여의 부족, 취업연계서비스의 부족 등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르신들의 복지욕구 해결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였다.

자살위기를 벗어난 여성독거노인의 회복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covery Proces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Suicide Crisis)

  • 임종린;김종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04-3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이 자살위기에서 벗어난 경험과 회복과정을 연구하여 참여자들이 회복으로서의 인생의 본질적 의미와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또한 변화된 생각과 인생에 대한 현상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료분석을 통해 4개의 구성요소와 8개의 하위구성요소, 16개의 의미단위 축약이 도출되었다.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시도와 회복 경험의 구성요소는 4개로 단절과 불통, 거듭되는 시련, 곤경 속의 형통의 길, 너그러운 포용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의 본질적인 주제는 참여자들의 삶에서 개별적인 것이 아니라 각각의 주제가 전체적 맥락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결과를 정리해보면 여성독거노인의 자살시도와 회복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역기능적인 사회구조와 환경의 결과물로 인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괴롭게 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적 대안으로 자살이라는 극단적 실행으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으나, 자살실패를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인지된 내면의 회복요인들이 다시 살아갈 수 있는 긍정적 에너지가 되었다. 이러한 전환된 시각이 힘든 현실에 맞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 친구만들기」를 통해 살펴본 '숨겨진 이웃', 사회적 고립이 심각한 노인 1인 가구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연구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Working Experience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in Severe Social Isolation Based on the Case of 「Making Friends of Older Adults who Live Alone」)

  • 김유진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1149-11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 중에서도 마치 '숨겨진' 것처럼 심각한 고립 상태에 있는 노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개입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질적기술연구 방법을 통하여 "독거노인 친구만들기" 사업의 사회복지사들이 심각한 고립 상황에 있는 독거노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사업 수행 경과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노인들에게 사례관리를 제공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사 40명과의 심층 면담, 70명 노인의 사례관리 기록지, 연구일지를 수집하였고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질문에 맞추어 자료 분석의 결과를 크게 두 개의 범주와 각각 네 개의 하위범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범주: 문전박대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방문을 통해 막연하게 일반화하여 보던 노인들의 삶과 상처를 개별적으로 보게 됨, 두 번째 범주: 노인의 작은 변화들에 뿌듯해하지만 사회적 돌봄의 현실적인 한계를 실감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1) '은둔형' 용어 사용의 제고, 2) 사회적 고립에 처한 노인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 3) "독거노인 친구만들기"사업 인력에 대한 정서적 교육적 지원, 4)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고민.

지속적인 거주를 위한 노인가구의 주거요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derly Households' Housing Needs for Aging in Places)

  • 이광수;박수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23-132
    • /
    • 2009
  • As society increasingly ages, maintaining an independent lifestyle at home becomes an important issue for older peopl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old people's housing needs for maintaining an independent lifestyle despite their health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A total of 438 residents voluntarily took part in a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the quota sampl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according to age (60-64, 65-69, 70-74, and over 75), gender (male and female), and house type (apartment houses and ot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enior residents are mostly within a non occupational, low income, and low subjective living status. (2)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residence and hope to manage the rest of their life in the same place. (3) Three out of five residents prefer the apartment housing type to other types of housing. The preferred dwelling size, number of rooms, and preference for use of an extra room all varied depending on gender and housing type as well as whether they were a couple or living alone. (4) The older residents have a higher need for a safety system than do the younger residents. Female residents pay more attention to convenience while male residents pay more attention to safety. The non-apartment residents require more modification to fundamental facilities such as a heating and ventilation system, wind protection, and additional storage than do the apartment residents. This study has thoroughly analyzed reques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asic qualities of the elderly households.

전남 도서지역 보건진료원 업무환경 개선방안 (Improvement for Work Statu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Island Areas)

  • 김옥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9-6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work statu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island area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9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primary health care posts located on islands in J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during December, 2011 and analyzed using SPSS 17.0 program. Results: Characteristics of the majority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the island areas was that they were over 50 years old, married, and had 10 years job experience, The population under their jurisdiction was less than 200 and they had an average of 6-10 patients/day and worked less than 10 hours/day. Health education and practice were the most common of task, and they had various types of paperwork to complete. They visited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managed medications, gathered health data for research, waited for night treatment of emergency patients, carried out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visited seriously ill patients at home after work hours.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primary health care posts and to boost morale, the practitioners' opinions should be actively accepted by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association and competent government agencies.

식습관(食習慣)과 건강상태(健康狀態)와의 관계성(關係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Habit and the Health Responses to the Todai Health Index)

  • 임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1호
    • /
    • pp.9-15
    • /
    • 1981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od habit and the health status. For this Purpose, 709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teachers were studied by the questionnaire sheets; one was for the food habit and the other was for health complaints. (the standarized questionnaire designated Todai Health Index.)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ean score of the food habit was 10.99 in males and 12.17 in females. The balanced dietary intake was associated with the ideal body weight. 2) In males and females with low food habit score than in those with high food habit score, THI point in sufferings, digestive organs, straight-forwardness, depression and life irregularity were higher. In males with low food habit score, THI point in nervousness was higher. In females with low food habit score, THI point in respiratory organs was higher. On the contrary the male subjects with high food habit score showed higher THI point in vanity and the female subjects with high feed habit score shewed higher THI point in vanity and nervousness. 3) Persons living alone showed a high tendency to eating away from home and to having low score of food habit. 4) Persons with low food habit score showed a high tendency to eating instant foods and considered themselves having poor health stat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