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citizens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4초

A Study on Lighting Environmental Evalua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Based on biophilia

  • Yang, So Yeon;Lee, Tae Kyung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123-133
    • /
    • 2020
  • Light is an essential environmental element for elderly people to do various activities. At senior welfare centers, healthy indoor lighting is especially necessary because the facilities are used by the elderly to perform their mostly indoor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light environments at senior welfare centers for well-being lighting characteristics. We based the study on the 'Biophilia' theory, a concept related to health from happiness. Thus,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literary review and survey research. For this, we conducted a location focused field study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the lighting environments at senior welfare centers in Busan, South Korea. First, we constructed structural questionnaire to evaluate lighting environment based on 'Light and Space' biophilia theory. Then, to survey subjective evaluation, the participant of research included total of 122 senior welfare center us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overall, it seems that the overall result of the light environmental evaluation seems to be high because the evaluated facilities in the case survey in large-scale were recently built elderly welfare centers. 2) most of the healing design elements are focused on the introduction of natural light and psychological influence. The satisfaction with actual natural light is evaluated to be high. Although shadow and reflected light are very important in discrimination and recognition of indoor space and wayfinding, the evaluation of reflected light and shadow was low for the study. 3) items that are related to the functionality of the light were highly evaluated, while the items that are related to the spatiality of the light were rated poorl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when examining the effects of light environments within the welfare center form of the perspective of senior citizens. It can be referenced when reconsidering the recognition of light environment as a major consideration factor to establish a desirable senior welfare center environment.

노인체육 지도자에 대한 참여자의 감정반응이 성취목표와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motional response that has an influence on achievement goal and ability to performance of senior citizen sport instructor)

  • 박연희;최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86-194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체육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지도자에 대한 참여자의 감정반응이 성취목표와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노인지도자들의 자질과 능력을 전문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노인담당기관의 효율적인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감정반응의 대인관계, 성취감은 성취목표성향의 과제지향, 자아지향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감정반응의 대인관계, 성취감은 수행능력의 집중,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성취목표성향의 과제지향, 자아지향은 수행능력의 집중, 자신감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도자에 대한 참여자의 감정반응은 성취목표성향과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노인지도자들은 참여자들에게 신체활동에 대한 이론적 실기적 능력 배양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참여 노인들과 지도자간에 긴밀하면서도 상황적 측면을 고려한 실질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그리고 노인들의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 참여를 위해서 노인들 스스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참여 중에는 경기결과에 집착하기 보다 타인을 배려하고 자신의 기준을 달성하는데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지도자들은 노인들의 참여종목에 대한 확고한 목표를 설정함과 동시에 이를 위한 노력과 자기계발 및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농촌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Rural Elderly Peopl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 하경분;주민경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149-11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중에 공익형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환경개선사업 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생계비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둘째, 노인일자사업 중에는 소속기관 실무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노인의 차이와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강화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교통문제로 인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농촌노인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공과 교통편의 제공을 통해 참된 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Healing Action Mechanism of Senior Dance's Educational Effect)

  • 유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4-121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노인무용의 교육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2014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복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무용분야 수혜기관으로 선정된 노인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 7명이다. 연구의 자료는 1:1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사복지사들은 노인무용교육을 단순한 신체활동보다는 정서, 인지, 정신, 사회적 예술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노인들은 무용활동으로 인해 개인의 긍정적 정서와 인지력을 자극하여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하고 있었다.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삶의 만족감이 점점 커지게 되는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가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무용 교육은 개인과 공동체간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삶의 질을 점차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치유적 예술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의 조절효과 (Control Effect of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on Retirement and Senior Life Perception, Retirement Preparation Action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Level)

  • 김남원;장선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522-531
    • /
    • 2016
  • 평균수명 연장과 2010년부터 베이비부머들이 은퇴하고 노인인구로 편입되면서 은퇴 후 삶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불안감을 제거하기 위한 선행연구들은 은퇴인식과 경제적 은퇴준비가 은퇴 후 삶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에 따라 은퇴준비 관련 변인들이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경제적 은퇴준비 상황이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 은퇴준비 행동, 은퇴만족도 사이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1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전국 만 20세부터 69세 이하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과 절차를 안내하는 서한과 함께 우편으로 설문지를 배포한 후 수거하거나 연구자가 직접 배포하고 수거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83건을 제외한 설문지 1,417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은퇴준비를 잘할수록 은퇴 및 노후생활 인식이 긍정적이고, 은퇴준비 행동도 적극적으로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은퇴만족도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보편적이고 실제적인 은퇴준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보격차 해소 차원에서의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촉진 연구 : 장노년층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omoting Senior Citizens' Use of e-Government Services as an Effective Means for Reducing Digital Divide)

  • 권문주;최연숙;김태웅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3-92
    • /
    • 2010
  • E-government refers to the delivery of government information and services online through the Internet or other digital means. Unlike traditional structures, e-government systems are two-way, and available 24 hours a day, seven days a week. The interactive aspects of e-government allow both citizens and bureaucrats to send and receive information. Criticism about the provision of e-Government services, however, has proposed a more user-oriented approach. The user needs to be placed at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 and the provision of e-Government services. Furthermore, e-government literatures seldom explore acceptance issues among the aged. Attempting to address this gap, we take the approach based on a combin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with data gathered via a questionnaire from service users over 50 years and older. The findings indicate that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subjective norms, trust, visibilit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political efficacy are direct or indirect predictors of citizens‘ intention to use an e-government servic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presented.

노인의 구강보건행태와 행복지수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Happiness Index in Elderly People)

  • 이현옥;박지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15-423
    • /
    • 2016
  •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행태와 주관적인 행복지수들(OHIP-14, 행복지수)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주관적 행복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6년 6월 17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북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따른 행복지수는 연령이 낮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행복지수는 칫솔질 횟수가 많고, 치과 정기검진을 하는 경우에서 행복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의 하위개념 중 기능장애는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세치제사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신체적 통증에서는 배우자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불편감은 성별, 칫솔질 횟수, 정기검진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리고 신체적 능력 저하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신적 능력 저하는 연령, 동거인 유무, 배우자 유무, 정기검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p<0.05). 또한 연구대상자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동거인 유무, 교육수준, 월 평균용돈, OHIP-14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인들의 구강보건행태는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이 있고, 구강관련 삶의 질은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 및 행복지수를 높이는 데 필요한 다양한 노인구강향상프로그램 개발 등의 여러 사회적 방안이 요구된다.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통한 돌봄노인의 생활변화가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the Elderly's Change of Life on the Satisfaction of Care Service through the Donation Bank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ntegration)

  • 최미영;장영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54-263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을 통한 돌봄대상 노인의 생활변화와 사회통합감이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적가치 및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공헌활동 기부은행 돌봄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50개 기관의 돌봄서비스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34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돌봄노인의 생활변화는 돌봄서비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통합감은 돌봄노인의 생활변화와 돌봄서비스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감 및 돌봄서비스 만족도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논의하였다.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계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ye Health and Household Income of the Elderly)

  • 박지현;김효진;예기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9-217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눈 건강 불평등 정도를 알아보고, 향후 저소득층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안보건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노인 1,668명을 대상으로 가구 소득에 따른 눈 건강 관련요인(시력, 백내장 유무, 군날개 유무, 안압, 망막이상소견, 나이관련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근시, 원시, 난시, 부동시 유병률)을 t-test 및 ${\chi}^2$ 검정하였다. 결과: 자동굴절계검사의 굴절이상도와 안압은 저소득군이 낮았고, 나안시력과 교정시력은 0.1~0.5 미만에서 저소득군이 높았고, 원시는 고소득군에서 높았다. 백내장과 최대교정시력 0.8미만인 사람의 백내장 유병여부는 저소득군에서 더 높게 발생하였고, 흡연, 음주, 직업, 교육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노인의 가구 소득에 따른 눈 건강 불평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백내장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안질환으로 저소득층 노인의 눈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안보건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천안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시기별 접근성 변화 분석 (Chronological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Change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Complexes in Cheonan City Using Space Syntax)

  • 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2-41
    • /
    • 2017
  • 본 논문은 천안지역의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을 분석함에 있어서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구성요소 간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 속성을 단지 전체 차원에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연구에 대한 예비 연구적 성격으로 진행하였다.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이 모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공간구조라는 관점으로 거주자의 보행에 기반을 두고 각 공간 및 시설로의 출입공간에 대한 접근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5시기로 구분하고,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에 위치한 시설 및 공간으로의 출입공간을 단위공간으로 설정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단지주출입공간, 주동 출입공간, 단지내 상가, 관리사무소/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주민운동시설 등 총 6개의 분석항목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단지주출입공간의 접근성은 거의 모든 시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주동 출입공간은 전반적으로 낮은 접근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단지내 상가는 접근성이 향상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셋째, 주민공동공간으로 볼 수 있는 관리사무소/경로당, 어린이놀이터, 주민운동시설 중에서 어린이놀이터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통합도 순위가 시기별 큰 변화 없이 일정하게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고, 관리사무소/경로당의 경우는 최근으로 올수록 통합도 순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접근성이 좋은 위치에 주로 계획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