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i-permanent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4초

열처리에 의한 모발의 퇴색 및 손상도 연구 (Hair Bleaching and Degree of Damage by Thermal Treatment)

  • 성유림;강은주;임순녀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5-164
    • /
    • 2019
  •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hair bleaching and degree of damage by the temperature of a heating tool after coloring hair with a permanent, semi-permanent or plant hair dye. According to analysis by spectrophotometer, 'semi-permanent hair dy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permanent hair dye' and 'plant hair dye' in terms of changes in $L^*$ values. In terms of changes in hair shape when analyzed using FE-SEM, 'semi-permanent hair dye($150^{\circ}C$ or lower)'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plant hair dye($180^{\circ}C$ or lower)' and 'permanent hair dye($200^{\circ}C$ or lower)'.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flat iron hair at low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est, amino acid values gradually decreased in both bleached and colored hai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GA-based thermal analysis confirmed that as brightness increases, hair moisture contents decrease. This study aimed to protect hair by suggesting a correct use of a flat iron by the hair dye type during hair coloring. It appears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help hairdressers minimize hair damage by using a hair dye at proper temperature.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 콤플렉스가 반영구화장 시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lex on Semi-permanent Treatment Satisfaction)

  • 김영심;모정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77-184
    • /
    • 2022
  • 본 연구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외모 콤플렉스가 반영구화장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의 영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반영구화장을 시술받은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얻었다. 이를 SPSS 프로그램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태도 중 신체적 외모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지하는 인식은 시술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자기의식적 외모콤플렉스는 시술 만족도에 유의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인 내면화가 시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의 영향이 조절효과가 있음이 나타났으나 신체적 외모의 사회적 중요성을 인지하는 인식은 준거집단 영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차이를 보였다. 넷째, 외모콤플렉스인 타인에 의한 외모콤플렉스와 자기의식적 외모콤플렉스 모두 세미퍼머넌트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준거집단 영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세미퍼머넌트 시술만족도가 높을수록 향후 추가적인 시술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 염색 시 탈색횟수와 염모제 사용에 따른 발색 수준 평가 (Coloration Level by Bleaching Frequency and Hair Dye during Hair Coloring)

  • 유소희;임순녀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06-213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what color would fade more during hair bleaching and examine what should be done to make hair color last longer. For this, hair was colored differently in ash gray with permanent hair dyes and semi-permanent hair dyes each. Hair in multiple levels was created through such bleaching. Color retention was improv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color fading in sample hair. In terms of post-bleaching hair coloring, it was more efficient to color hair by eliminating redness without hair damage after shampooing with a permanent hair dye.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highly useful for beauty salons to find a base level in consideration of bleaching effects and make improve- ments according to hair retention and moisturizing effects.

모션그래픽에서 예술적 표현의 가치에 관한 연구 -F5와 Semi-Permanent를 중심으로- (A Study on Value of Artistic Presentation on Motion Graphics -Focused on F5 and Semi-Permanent-)

  • 손국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21-529
    • /
    • 2016
  • 본 논문은 예술적 표현을 목적으로 하는 모션그래픽 영상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표현양식을 분석하고 그 대표적 단체인 F5와 Semi-Permanent의 활동과 작품의 내용을 통해 모션그래픽에서 예술적 표현의 가치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영상제작 환경의 변화로 모션그래픽의 상업적 활용은 빠르게 보편화되었고 대부분의 영상 콘텐츠에서 사용되고 있다. 모션그래픽의 발단은 그래픽디자인이 영상 콘텐츠에 적용되어 나타남과 동시에 애니메이션의 추상적 표현으로부터 전이되어 발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 그래픽디자인과 애니메이션의 토대 위에 독자적인 장르로서 분류되어 발전되고 있으며 동시대 디자인산업과 콘텐츠 산업의 이해와 발전을 위해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기법에 대한 실험과 장르의 혼합적 양상이 나타나는 모션그래픽은 디지털 영상미학의 정수를 보여주며 시각이미지의 다양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게 될 F5와 Semi-Permanent는 예술적 실험적 성격의 영상을 모션그래픽으로 발표하는 단체이며 이들이 만들어내는 작품의 예술적 전개 방식과 표현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모션그래픽에서 실험적 예술적 표현의 가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반영구화장의 테크닉디자인 표현기법연구 (A Study on the Techniques of Semi-permanent Makeup)

  • 이임향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51-58
    • /
    • 2024
  • 본 본 연구의 현실은 인체 미술의 발전 추세에 따라 미용인들 사이에서 아트 메이크업과 반영구 화장 등이 뷰티 산업의 유망산업으로 부각 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전문기술 향상에 대한 인식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미용 산업을 전공하거나 반영구 화장을 배우는 미용사들 사이에서 뿐만 아니라 많은 미용기술을 배우는 뷰티 학원에서도 반영구 화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 기술은 국제 미용대회에서 홍보되고 있다. 반영구적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미용 기술자를 대상으로 기술대회를 개최합니다. 교육에 관한 정보교류의 장으로서 교육제도의 확산 등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리나라의 급속한 산업발전은 산업발전에 따른 전문·세부기능인력의 수급과 기술 수준 측면에서 인력형성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 인해 미용사의 기술 및 전문기술이 향상 되어 왔다. 미용사 전문교육자격의 우수성과 높은 기술평가. 이는 자기계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숙련된 기술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종방향 영구지반변형 발생시 관.지반 상호작용력의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Pipeline.Soil Interaction Force during Longitudinal Permanent Ground Deformation)

  • 김태욱;임윤묵;김문겸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4-122
    • /
    • 2002
  • The ASCE formula of lifeline.soil interaction force is the basis of semi-analytical relationship for buried pipelines subjected to longitudinal permanent ground deformation due to seismic induced liquefaction. However, since the ASCE formula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stiffness of non-liquefied region, it is needed to modify for the varied stiffness of liquefied region. With this object, the consideration of decreasing effect of soil stiffness in liquefied region is made: i.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ipeline-soil interaction force in liquefied region. It means that the improved formula can reflect various patterns of permanent ground deformation more realisticall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es using both the improved and ASCE formula, the applicability of the improved and the limitation of the ASCE formula and semi-analytical relationship are discussed. Also, relative influences of various parameters are evaluated for the clarification of behavior of pipeline subjected to longitudinal permanent ground deformation due to liquefaction.

  • PDF

종방향 영구지반변형 발생시 관$\cdot$지반 상호작용력의 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Pipeline. Soil Interaction Force. during Longitudinal Permanent Ground Deformation)

  • 김태욱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170-175
    • /
    • 2003
  • The ASCE formula of pipeline' soil interaction force is the basis of semi-analytical relationship for buried pipelines subjected to longitudinal permanent ground deformation due to seismic induced liquefaction. However, since the ASCE formula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stiffness of non-liquefied region, it is needed to modify for the varied stiffness of liquefied region. With this object, the consideration of decreasing effect of soil stiffness in liquefied region is made: i.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ipeline. soil interaction force in liquefied region. It means that the improved formula can reflect various patterns of permanent ground deformation more realistically.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es using both the improved and ASCE formula, the applicability of the improved,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formula and semi-analytical relationship are discussed.

  • PDF

AM80-xSn 마그네슘 합금의 반응고 주조 및 압출에 따른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M80-xSn Magnesium Alloys with Semi-Solid casting and Hot Extrusion Process)

  • 김대환;임인택;;임수근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215-221
    • /
    • 2016
  • In a recent study, the microstructur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M80-xSn magnesium alloys with semi solid casting and hot extrus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With increasing Sn content, the amount of ${\beta}$(Mg2Sn) phase increased, while the ${\alpha}-Mg$ dendritic size decreased. The hardness was increased by the Mg2Sn as the Sn cont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Sn content, permanent mold cast and semi solid cast AM80 Mg alloy showed less reduction of hardness and also of extruded AM80 Mg alloy after annealing. In the case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extruded semi solid casting AM80 Mg alloy showed higher tensile strength and yield strength with increasing Sn content compared to the extruded permanent mold cast AM80 Mg alloy at room temperature.

문신 및 반영구화장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attoo and Semi-permanent Makeup)

  • 박소연;서은경;강성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35-452
    • /
    • 2023
  • 본 연구는 197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문신 및 반영구화장 관련 논문 198편을 대상으로 발표시기, 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시기별로는 제1기(1979년~1994년), 제2기(1995년~2005년), 제3기(2006년~2012년), 제4기(2013년~2022년)로 나누었다. 제1기에는 보건의료적 측면의 연구가 주를 이루던 시기이며 제2기에는 예술,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의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제3기는 반영구화장에 관한 연구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며 제4기는 문신 및 반영구화장의 연구가 급증하였다. 연구주제별로는 보건·의료, 미용, 패션·예술, 사회·문화, 법·제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의 선호도와 인식도 등을 파악하기 위한 미용적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보건의료적 연구가 두 번째로 많았다. 최근 법제화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법·제도와 관련한 연구들이 급증하였으며, 문화, 역사, 패션 등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연구방법별로는 조사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문헌연구, 사례연구 등 다양한 방법도 이용되었다. 본 연구로 향후 후속 연구가 더욱 촉진될 것이며 관련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구자석을 이용한 밸브모드 MR 감쇠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Valve Mode MR Damper using Permanent Magnet)

  • 김정훈;오준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69-76
    • /
    • 2000
  • Lots of semi-active control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recent years because they have the best features of passive and active system. Especially, controllable magneto-rheological(MR) fluid devices have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in these area of research. The MR fluid is the material that reversibly changes from a free-flowing, linear viscous fluid to a semisolid with a controllable yield strength in milliseconds when exposed to a magnetic field. If the magnetic field is induced by moving a permanent magnet instead of applying current to a solenoid, it is possible to design a MR damper consuming low power because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at steady state. This paper proposes valve mode MR damper using permanent magnetic circuit that has wide range of operation with low power consumption, a design parameter is adopted. The magnetic circuit, material of choke and choke type are selected experimentally with the design parameter. The behaviors of the damper are examined and torque tracking control using PID feedback controller is performed for step, ramp and sinusoidal trajectio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