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antic link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4초

웹 기반 소셜 네트워크에서 시맨틱 관계 추론 및 시각화 (Inferring and Visualizing Semantic Relationships in Web-based Social Network)

  • 이승훈;김지혁;김흥남;조근식
    • 지능정보연구
    • /
    • 제15권1호
    • /
    • pp.87-102
    • /
    • 2009
  • 최근 Web 2.0 발달과 더불어 블로그나 온라인 카페 등 웹 상의 네트워크화 된 정보 공간에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정보를 자유롭게 게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이 사용자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소셜 네트워크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들은 단순히 사회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교육, 정치, 경제 등의 다양한 분야의 가상의 커뮤니티를 형성함으로서 현대 사회의 주요한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많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정보자원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의미적인 정보로 표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도메인 간에 공유와 재사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사회적 개체들 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아 알려져 있지 않은 의미적 관계를 발견해내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커뮤니티의 사용자들이 업로드 한 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진 속의 개체나 소유자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맨틱 웹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사진에서 추출된 얼굴 개체간의 관계와 이미 인맥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정보적 연결성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도메인 규칙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사회적 연결 관계를 추론한다. 최종적으로 이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 형성된 커뮤니티 내에서 효율적인 소셜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도모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 PDF

LOD-기반 추천 시스템에서 LOD 그래프에 가중치를 사용한 의미 거리 측정 모델 (A Semantic Distance Measurement Model using Weights on the LOD Graph in an LOD-based Recommender System)

  • 허원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53-60
    • /
    • 2021
  • LOD-기반 추천 시스템은 보통 DBpedia와 같은 LOD 데이터세트 내에서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영화, 책, 음악과 같은 아이템을 추천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링크드 데이터 리소스 쌍 간의 일치 정도를 측정하는 의미 유사도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LOD 그래프의 링크에 사용자 평가 등급을 변환한 가중치를 할당하여 LOD-기반 추천 시스템에서 의미 거리를 측정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안했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의미 거리 측정 모델은 가중치 계산을 통해 그래프가 사용자에게 개인화되는 처리 단계와 이러한 가중치를 LDSD에 적용하는 방법을 기반으로 한다. 실험 결과는 다른 유사한 방법들과 비교하여 제안된 방법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추천 시스템의 의미 거리 측정의 범위를 넓혀서 유사도 향상에 기여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다른 방법의 LOD-기반 유사도 측정을 사용하여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의존 문법과 대조 의미론을 이용한 한국어의 어휘적 중의성 해결 시스템 (Lexical Ambiguity Resolution System of Korean Language using Dependency Grammar and Collative Semantics)

  • 윤근수;권혁철
    • 인지과학
    • /
    • 제3권1호
    • /
    • pp.1-24
    • /
    • 1991
  • 본 논문은 한국어의 어휘적 중의성을 해결하는 시스템을 보여준다. 이 시스템은 의존 문법과 대조 의미론을 이용하고 있다. 의존 문법은 두 형태소 사이의 의존관계에 의하여 문장을 분석한다. 대조 의미론은 어휘적 중의성과 의미관계의 상호작용을 조사한다. 대조 의미론은 의미 프레임,의미 백터,대조,분류의 4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본 시스템은 C 언어로 구성되었으며, 문자을 분석 학과 두 단어간의 의미 관계를 조사하며 어휘적 중의성을 해결한다.

키워드 기반 문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네트워크형 지식지도 자동 구성 (Automated networked knowledge map using keyword-based document networks)

  • 유기동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3호
    • /
    • pp.47-61
    • /
    • 2018
  • A knowledge map, a taxonomy of knowledge repositories, must have capabilities supporting and enhancing knowledge user's activity to search and select proper knowledge for problem-solving. Conventional knowledge maps, however, have been hierarchically categorized, and could not support such activity that must coincide with the user's cognitive process for knowledge utilization. This paper, therefore, aims to verify and develop a methodology to build a networked knowledge map that can support user's activity to search and retrieve proper knowledge based on the referential navigation between content-relevant knowledge. This paper deploys keywords as the semantic information between knowledge, because they can represent the overall contents of a given document, and because they can play the role of semantic information on the link between related documents. By aggregating links between documents, a document network can be formulated: a keyword-based networked knowledge map can be finally built. Domain expert-based validation test was also conducted on a networked knowledge map of 50 research papers, which confirm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ology to be outstanding with respect to the precision and recall.

의미적 멀티미디어 메타데이터 생성을 위한 MPEG-7 기술기반 주석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MPEG-7 Description-based Annotation Tool for Production of Semantic Multimedia Metadata)

  • 안형근;고재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1호
    • /
    • pp.35-44
    • /
    • 2007
  • 최근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급격한 양적 팽창은 원하는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색해야 한다는 새로운 과제를 안겨주었다. 이러한 효율적 검색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기반이 되는 것이 바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적절한 표현이다. 국제 표준으로 제정된 MPEG-7은 바로 이러한 이유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표현에 대한 표준화를 다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 메타데이터 생성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주어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작은 단위들로 분해를 하고, 분해된 단위들에 시간, 위치 둥과 같은 추가적인 기본정보뿐만 아니라 MPEG-7표준을 따르는 사건, 관계 등과 같은 분류정보를 쉽게 주석할 수 있다. 이 주석의 목적은 자동적으로 의미기술을 만들기 위한 것이고, 이 의미기술에서 노드들은 사건들이고, 링크는 그들 사이의 관계인 하나의 그래프이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기법을 기반으로 의미기술을 위한 주석도구(SMAT)를 구현하였고, 실제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안 도구는 재사용성과 확장성의 두 개의 중요한 타당의 특징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분산환경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검색을 위한 XMDR 기반의 토픽맵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TopicMap System based on XMDR for Efficient Data Retrieve in Distributed Environment)

  • 황치곤;정계동;강석중;최영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86-593
    • /
    • 2009
  • 분산 환경에서 대부분 데이터 구성은 계층적 분류에 따른 트리 형태로 이루어져 연관성 검색에 제한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 중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데이터는 통합의 문제와 효율적 검색이라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시스템에서는 분산된 데이터 베이스 통합을 위해 XMDR을 이용하고 계층적으로 표현된 지식의 검색 효율성을 위해서 XMDR에 토픽맵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XMDR은 메타시멘틱온톨로지, 인스턴스시멘틱온톨로지 그리고 메타로케이션으로 구성하고, 분산된 관계데이터베이스 사이의 데이터 이질적 문제와 메타데이터 이질적 문제를 해결하여 통합하고, 메타시멘틱온톨로지와 인스턴스시멘틱온톨로지를 토픽 맵과 연결하여, 토픽 맵의 자원위치를 표현하는 어커런스 역할을 XMDR의 메타로케이션이 수행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통합 검색을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심층 자동 인코더를 이용한 시맨틱 세그멘테이션용 위성 이미지 향상 방법 (Semantic Segmentation Intended Satellite Image Enhancement Method Using Deep Auto Encoders)

  • ;이효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8호
    • /
    • pp.243-252
    • /
    • 2023
  • 위성 이미지는 토지 표면 조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위성에서 지상국으로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송 시스템의 품질 저하로 인해 이미지는 왜곡에 취약하고 올바른 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이미지의 세그먼트 결과는 토지 표면 데이터를 올바르게 분류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에 대한 자동인코더 기반의 영상 전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사전 향상 기술을 사용하여 세그멘테이션 결과도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적용한 항공 이미지 향상기법은 토지 자원의 정확한 평가에 이바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로워드넷 방식에 기반한 한국어와 영어의 명사 상하위어 정렬 (Alignment of Hypernym-Hyponym Noun Pairs between Korean and English, Based on the EuroWordNet Approach)

  • 김동성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2권1호
    • /
    • pp.27-65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set of methodologies for aligning hypernym-hyponym noun pairs between Korean and English, based on the EuroWordNet approach. Following the methods conducted in EuroWordNet, our approach makes extensive use of WordNet in four steps of the building process: 1) Monolingual dictionaries have been used to extract proper hypernym-hyponym noun pairs, 2) bilingual dictionary has converted the extracted pairs, 3) Word Net has been used as a backbone of alignment criteria, and 4) WordNet has been used to select the most similar pair among the candidate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not only on enriching semantic links between two languages, but also on integrating lexical resources based on a language specific and dependent structure. Our approaches are aimed at building an accurate and detailed lexical resource with proper measures rather than at fast development of generic one using NLP technique.

  • PDF

학습과제 유형별 유의미 연결을 통한 학습객체 기반 개별화 학습 시스템 (Individualized Learning System based on Learning Object, through Semantic Sequencing by Learning Task Types)

  • 홍지영;송기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47-58
    • /
    • 2004
  • 개별화되고 적응화된 코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학습객체가 논리적 연관성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는 기반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학습객체간의 논리적 연관성, 그리고 개별 학습자를 고려한 다양한 링크를 통하여 학습의 각 시점에서 각각의 학습자는 서로 다른 학습경로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학습과제 유형별 유의미 연결을 고려하여 학습객체 기반의 개별화 학습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관련성 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학습목표 맵 구성에 관한 연구', '학습자의 인지상태 판단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습객체 기반의 코스 설계가 단지 무의미한 객체들의 집합이라는 비판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의 학습객체간 관련성을 고려한 개별화학습 시스템 모형 연구는 e-Learning 안에 유의미한 학습과 진정한 교육을 담고자 하는 시도가 될 것이다.

  • PDF

미세먼지 관련 건강행위 강화를 위한 정책의 탐색적 연구: 미디어 정보의 토픽 및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licy for Facilitating of Health Behaviors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Using Topic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Media Text)

  • 변혜민;박유진;윤은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68-7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ass and social media contents and structures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before and after the policy enforcement of the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particulate matter, derive nursing implications, and provide a basis for designing health policies. Methods: After crawling online news articles and posts on social networking sites before and after policy enforcement with particulate matter as keywords, we conducted topic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TEXTOM, R, and UCINET 6. Results: In topic analysis, behavior tips was the common main topic in both media before and after the policy enforcement. After the policy enforcement, influence on health disappeared from the main topics due to increased reports about reduction measures and government in mass media, whereas influence on health appeared as the main topic in social media. However semantic network analysis confirmed that social media had much number of nodes and links and lower centrality than mass media, leaving substantial information that was not organically connected and unstructured. Conclusion: Understanding of particulate matter policy and implications influence health, as well as gaps in the needs and use of health information, should be integrated with leadership and supports in the nurses' care of vulnerable patients and public health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