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regulated strateg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3초

Development of Sound Design Strategies for 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 KIM, Taehyu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1호
    • /
    • pp.101-144
    • /
    • 2012
  • Students mostly precede their learning without any direct support of instructor in e-learning and mobile educational environment. Many useful strategies and tools to facilitate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e-learning environment have been introduced, yet, the limit has been reached by only suggesting self-regulated strategies with visual information in the most researches.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intent to propose the sound design strategies that facilitate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two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First, what are the sound design strategies that facilitate the self -regulated learning behaviors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Second, what are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developed sound design strategies in terms of facilitating self-regulated learning behavior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literature reviews on characteristics of mobile learning, concepts and featur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sound were done to establish the sound design strategies. Through formative research method targeting instructional designers, sound design strategi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research to validate these was performed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erived sound design strategies, the usability test aimed at instructional designer and learners was conducted. The final sound design strategies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were six general design strategies and the sixteen detailed strategie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because this offers the basic research on sound information design which has been lacking and help upgrade the upper limit of instructional design which mainly focused on visual information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that shows information in a small screen.

치위생과학생의 Kolb 학습유형과 자기조절 학습전략 (Kolb learning sty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김미정;임차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43-350
    • /
    • 2013
  •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bout learning sty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find methods that may increase learning outcomes by selecting effective learning method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24 dental hygiene students in region of chonbuk from May, 2012 to June, 2012. collected informations are analyzed with SPSS. Results : 1. 38.1%, assimilator is most of learning styl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llowed by 29.7%, converger, 16.2%, diverger, 15.8%, accommodator. 2. 28.0%, converger and diverger are most of subjects whose grade score is between 2.0-2.9, 41.50%, accommodator is most of 3.0-3.4, and 41.61% accommodator is most of 3.5-3.9, and 28.0%, converger is most of subjects whose grade score is more than 4.0. this results has statistically signification(p<0.01). 3. $8.71{\pm}1.78$, assimilation strategy is mos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llowed by $8.26{\pm}1.94$, control strategy, $7.52{\pm}2.00$, memorization strategy. accommodator is most showed $7.82{\pm}2.24$, $9.13{\pm}1.74$, $8.71{\pm}2.20$ in memorization strategy, assimilation strategy, control strategy. 4. It is showed that assimilator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satisfaction for major(p<0.01), accommodator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academic records(p<0.05), and diverger is significantly negative related with academic records, thr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s learning styles. Conclusions : Organizing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instructor needs to acknowledge learning styles of students through understanding about various learning styles of students, and may has to develop suitable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based on that.

개인의 자기조절 인지전략과 공교육 수업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위계적 선형모형의 적용 (Effects of Individual Self-Regulated Cognitive Strategies and Public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 Application of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 이주리
    • 아동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7-97
    • /
    • 2009
  • This study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self-regulated cognitive strategies and public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articipants were 6389 (boys 3287, girls 3102)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2005 data of the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chools i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e. 20% of variance in English achievement and 15% of varia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were explained by school differences. (2) Students' elaboration and meta-cognitive strategy influence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3) Predictor variables by ability grouping, supplementary class, and/or self-learning clas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PDF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Based on Science Related Attitude,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 김명숙;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23-52
    • /
    • 2008
  • 본 연구는 수도권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중인 153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과학문제발견력을 구성하는 학습자요인으로서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적 학습전략 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적 구조모형을 상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을 검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분석 결과, 과학관련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효능감이나 내재적 가치를 나타내는 동기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전략의 사용이나 자기조절을 나타내는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관련태도 중 과학적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과학문제발견력중 창의성관련 범주인 정교성이 높았다. 그러나, 과학관련태도의 다른 하위범주와 과학문제해결력의 다른 하위범주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은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이 높을수록 정교성이 높았으며 과학의 탐구동기와 탐구수준과도 정적 관계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과학문제발전력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과학탐구관련 과학문제발견력 구조모형 1과 창의성 관련 과학문제발견력 구조모형 2의 분석결과가 모두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인 과학관련태도가 직접적으로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효능감과 학습에 대한 내재적 가치의 인식을 갖는 동기요인과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의 사용을 매개로 하여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적 자기조절학습 전략 연구 (Study on Interac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Web-based Learning)

  • 한건우;김영식;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3-32
    • /
    • 2004
  • 최근 웹 기반 학습의 우수성이 크게 대두되고 여러 방면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학습자의 주도적인 참여를 요구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학습 환경을 촉진시키기 위한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하위 전략들을 도출한다. 또한 좀 더 체계화된 시스템 개발을 위해 하위 전략 요소에 대한 상호작용적 설계를 하여 보다 진보된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 PDF

자기 조절학습이 정상아와 학습장애아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Normally Achieving and Learning Disabled Children)

  • 정정옥;강문희
    • 아동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1-161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such a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on academic achievement in normally achieving children and learning disabled(LD) children. The subjects were 345 normally achieving children, 12 LD children, and a group of 12 normally achieving children to match the LD children.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Results showed that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are important components of successful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normally achieving children. Among the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metacognition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LD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have metacognitive deficits and motivational problems.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of low achievers and LD children were discussed.

  • PDF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e-learning)

  • 박지혜;이영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15-227
    • /
    • 2018
  • 웹기반 이러닝 학습자의 증가로 이러닝 학습효과 증진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은 이러닝 학습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H 원격대학교 재학생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웹기반 이러닝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이러닝 학습의 성공적인 지원과 설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웹기반 이러닝 학습에 있어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교수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재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된 성취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웹기반 이러닝 학습 설계 시, 학습자의 교수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현황과 교육적 함의 (Self-Regulated Learning of Adolescents: Its Current Statu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 박승호;서은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135-152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우리가 고려해야 할 심리적 측면과 사회·정책적 측면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기조절학습의 최근 연구들의 초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영역별 주요 관심사를 살펴보았다. 초인지적 영역에서는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에서 인지전략과 초인지전략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특히 읽기학습에서 자기조절기능으로 간주되는 이해점검 초인지전략의 연구동향을 고찰하였다. 동기영역의 연구결과들은 자기효능감과 목표지향성의 최근 연구 동향을, 행동영역의 연구결과들은 시간 관리와 지연행동의 최근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이러한 연구동향이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 향상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동기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수행목표지향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을 언급하였다. 행동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시간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LIS Education: Based on Cognitive and Motivational Components)

  • 이정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103-124
    • /
    • 2013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교과목에 문제기반학습을 적용한 자기조절학습모형을 설계해 실행한 후 학습자의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강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화를 사전 사후 동일 검사지로 설문조사하여 살펴보았다.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은 각각 일반적 영향과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해당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세부하위요인들의 학습 전 후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은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제기반학습법은 학생들의 인지적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으며 동기적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있어서는 후속 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 노태희;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28-7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컴퓨터 보조 수업을 한 후의 개념 이해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한 후에 '분자의 운동'에 관한 개념 검사를 하였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는 인지적 특성들 중에서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정의적 특성 중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CAl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관한 인지적 특성들의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장의존-장독립성은 가장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자기 조절 능력과 심층적 학습 전략도 유의미한 예언 변인 이었다. 정의적 특성들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