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evaluation of time us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초.중등학교의 포트폴리오 활용 실태 분석에 기반한 e-포트폴리오 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Direction of e-Portfolio Based on the Current State Analysis of Portfolio Application of Domest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 김상수;김영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83-94
    • /
    • 2007
  • 포트폴리오는 구성주의 학습을 지원하는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교육 현장에서 포트폴리오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현장 적용의 실태나 발전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의 초 중등학교 재직 교사를 대상으로 포트폴리오 운영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분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식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e-포트폴리오의 설계 방향을 제안한다.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도, 유형별 운영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교급에 따른 차별화된 시스템 설계와 고경력자에 대한 연수 확대, '안내도우미' 기능 구비를 필요로 한다.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해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일회적, 형식적 수행 평가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학습과 평가를 하나의 과정에서 통합하는 시스템의 설계가 필요하다. 더불어 상호작용 및 자기 주도적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의 설계가 요구된다.

과학 영재교육 교사 연수에서 '교수내용지식'을 활용한 교수 전략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with Us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he Gifted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 최원호;손정우;이봉우;이인호;최정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9-23
    • /
    • 2009
  • This research defined professionality of science teacher from the perspective of PCK. An teaching strategy in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the gifted education was proposed based on the definition and implemented at an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about the teaching strategy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hat could improve the program.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teaching strategy propos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crafting activity materials', 'conducting inquiry-based experiment', 'developing rubric for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The survey carried out for the participants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need for the rubric for gifted identification, developing activity material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developing the rubric of gifted identification as properties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fur the gifted education. However, the insufficiency of time and opportunities for being fully engaged in such a program made teachers feel lack of self-confidence in developing activity material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rubric for gifted identification. Therefore, teacher training programs reflecting real features of the gifted education should be constantly developed and provi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 PDF

Perception and use of gait measures among physical therapists in South Korea

  • Jang, Ho Young;Kim, You Lim;Kim, Sung-jin;Yoon, Tak Yong;Kim, Kyung Hun;Ahn, Ick Keun;Lee, Suk Mi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2호
    • /
    • pp.90-95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therapists' perception of the use of gait measures, the frequency of the gait measures used, and also to identify the barriers that limit the use of these assessment tool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Physical therapists from the Seoul, Gyeonggi area from March to July 2016 were included in the study. Over the course of 18 week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A total of 7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50 questionnaires (50%) were collected, however with the exclusion of 140 questionnaires due to non-consent, a total of 210 questionnaires (30%) were analysed. Results: Out of the 10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the therapists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for the timed up and go test (TUG [n=153, 72.9%]) and they also had high perception for the 10 meters walk test (10MWT [n=149, 71.0%]), and 6-minute walk test (6MWT [n=123, 58.6%]).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TUG (n=116, 55.2%), 10MWT (n=100, 47.6%), and 6MWT (n=51, 24.3%) was used the most often. On the contrary, only four (1.9%) therapists have used the Chedoke-McMaster stroke assessment and the Rivermead Mobility Index. The lack of time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barrier to the use of assessment tools in clinical practice.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the domestic physical therapists used the TUG and the 10MWT mainly due to high recognition and evaluation status; however, the lack of time was the greatest impediment to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gait assessment tools.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 정도에 따른 주의력 조절, 대인관계 지지에 미치는 비교영향 분석 (Comparative Impact Analysis of Attention Control and Interpers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 추연기;배원식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3-192
    • /
    • 2021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degree of addiction on attention control and interpersonal support. Methods : 184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agre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The smartphone self-diagnosis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 (ACQ)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degree of attention control. In addition, th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upport. Results : In comparison of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major, and grad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daily use time of smartphones (p <.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tten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high risk, potential risk, general user group) (p <.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upport. Conclusion :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and users who used it for a long time per day were more addicted. It also showed that attention control was further reduced in highly addictive users.

비행안전 프로그램으로서의 생체 활성도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of Human Alertness for Flight Safety Program)

  • 이달호;최승호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22
    • /
    • 1998
  • Aircraft and the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y operate are not user-friendly for human beings. As a result, maintaining the proficiencies necessary to safely and efficiently fly an airplane are difficult, and costly. The physiological and emotional status of the human element remains crucial in maintaining safe performance by all crew members. In the study of Hagiwara et al.(1993). they called the physiological and emotional status of the human element into the human alertness or physiological activity and stress, fatigue, circadian rhythm, alcohol. smoking, and self-medication are known the major factors that deteriorate the human alertness. Accordingly. this paper deals with the quantitative and objective performance test based on tracking error and reaction time by means of the new computer test program into which the perception-motion system of human beings is applied. Throughout this experiment using performance test, the results suggest that performance capability in state of sleep deprivation 2 hours and alcoholic 0.05~0.06% in blood were more impaired than one in a normal state, and they furthe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which were influenced by impairment factors of body regulation and pilot's grade. We also obtained the prediction value and the 95% confidence interval of tracking error and reaction time at the normal state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performance capability between the normal state and the abnormal stat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of human alertness using performance test will be applied to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an each pilot's realistic consciousness/attention, and will lead a flight commander to the accurate decision of mission approval prior to a flight.

  • PDF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이 이용자의 학술정보이용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Library User Education on Users' Information Literacy)

  • 유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43-260
    • /
    • 2004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이 이용자의 학술정보 이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덕성여자대학교에서 인터넷정보활용 과목을 수강하는 3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자교육을 제공한 전후의 학술정보 이용능력을 평가하였다. 피험자들은 학술정보검색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는지를 조사하였으며 소요시간, 피험자자신에 대한 정보능력 평가점수를 측정하였다. 이용자교육 후 약8주후에 동일한 실험을 반복하여 교육의 효과가 지속하는지의 여부를 또한 조사하였다. 이용자교육은 피험자의 학술정보검색 능력을 현저하게 향상시켰으며, 소요시간을 단축시켰으며 스스로에 대한 정보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교육은 원문검색이나 색인검색과 같은 고급학술정보이용능력 향상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번 학습한 이용자교육의 효과는 일정한 시간이 지난후에는 다소 정보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기는 했으나 여전히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역사회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coping model)을 적용한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계획수립: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Plan of a Community Asperger Syndrome Child Receiving Coping Model)

  • 이미지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87-91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첫째, 지역사회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coping model)을 적용한 작업치료 평가를 실시한다. 둘째,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중재계획을 수립해 본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역사회 아동시설에 거주하는 만 7세 남자 아동이다. 대처모델을 바탕으로 2주간 외적 및 내적 요인으로 나누어 평가를 실시하였다. 외적 요인 평가에는 대상자와 주변환경의 상호작용 및 학교와 지역사회 참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내적 요인 평가는 관찰과 구조화된 평가를 통한 발달 상태와 의학적 상태를 확인하고, 상황에 대한 적절한 기분과 감정 상태에 대한 관찰이 포함되어 있다. 결과 : 대처모델을 적용하여 작업치료 평가가 이루어진 후, 중재 계획을 수립하였다. 첫째, 시간자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지연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운동 영역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셋째, 아동이 조절하지 못하는 행동들에 대한 자기조절방법과 대처 방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넷째, 시설 내에서 아동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관리해 줄 수 있는 인적, 물리적 자원에 대해 찾아보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결론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아스퍼거 아동을 대상으로 대처모델을 적용한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계획을 수립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중재를 통해 실질적인 모델 적용 사례를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자체 제작한 호흡 동기화 장치를 통한 흉부 일반촬영 검사의 호흡 재현성 평가 (Evaluation of Respiration Reproducibility of Chest General X-ray Examination using Self-made Respiratory Synchronization Device)

  • 권오영;이창훈;용금주;진선희;정다빈;허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049-105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촬영용 호흡 동기화 장치를 개발하여 호흡 협조가 어려운 환자의 가슴 검사를 할 때 들숨의 재현성을 높이는 것이다. 공기압 센서를 이용하여 호흡 동기화 장치를 자체 제작(X-RSD)하였고, 심폐소생술용 마네킹에 벤틸레이터를 연결하여 공기를 주입하였다. 이때 주입한 공기의 양은 SkillReporting 장치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마네킹의 가슴에 X-RSD를 위치한 후 공기의 양을 200-700 cc까지 100 cc 씩 총 6 단계를 나눠서 검사하였다. 오차 평가는 총 80회씩 반복 측정하여 X-RSD의 민감도를 측정하였고 민감도는 100%로 매우 정교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후 가슴 측면검사를 X-RSD를 보면서 검사한 영상과, 암맹 검사한 영상을 비교평가 하였고, X-RSD의 폐 용적이 암맹 검사보다 용적도 크게 측정되고, 편차도 적게 측정되었다. 종합적으로 X-RSD를 이용하면 협조가 어려운 환자의 가슴검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일반촬영의 재촬영률을 줄여 전체적인 피폭선량 감소에 기여가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NCS(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스포츠계열 공공기관의 채용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An Analysis of Recruitment Importance and Priority of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in Sports Public Institution)

  • 김동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409-1417
    • /
    • 2020
  • 스포츠계열 공공기관 채용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를 알아봄으로써 체육계열 학생들의 공공기관 취업에 대한 가능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스포츠계열 교수 4명, 스포츠분야 NCS 전문위원 3명, 스포츠 공공기관 심사위원 2명, 공공기관 채용 담당자 2명 등 총 11명을 유목적 표집(purposeful sampling)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2020년 1월 3일부터 3월 12일까지 NCS 직업기초능력 주요 항목 요인을 사용하여 계층구조분석을 이용해 중요도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통계처리를 하기 위해 Window 용 SPSS/PC (ver.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EC-2000을 이용하여 계층구조분석 하였다. 첫째, 스포츠계열 공공기관 채용 대영역에서 의사소통능력(.231), 조직이해능력(.177), 자원관리능력(.128), 대인관계능력(.110), 직업윤리(.082), 문제해결능력(.061), 정보능력(.056), 수리능력(.054), 자기개발능력(.052), 기술능력(.049)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평가항목에 있어서는 의사소통은 의사표현능력(.442), 수리능력은 기초연산능력(.512), 문제해결능력은 사고력(.722), 자기개발능력은 자기관리능력(.587), 자원관리능력은 시간관리능력(.531), 대인관계능력은 팀웍크능력(.382), 정보능력에서는 컴퓨터 활용능력(.677), 기술능력에서는 기술이해능력(.599) 순으로 분석되었다.

몽골 대학에서 PBL을 이용한 경제학 수업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pplication of Economics Class Using PBL Mongolian University)

  • 바야르마;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738-743
    • /
    • 2018
  • 본 논문은 몽골 대학에 학생들이 21 세기 요구하는 여러 가지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PBL을 경제학 교과목에 적용하였다. 몽골 대학에서 처음으로 PBL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제학 교과목을 수강한 D 대학 1 학년 학생 60명이였으며, PBL수업은 16주에 5개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수업을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마지막 PBL 문제 활동이 끝난 후에 PBL 수업에 대한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의 대한 이해, 협동학습의 대한 이해, 실제적 경험, 창의 문제해결력, 프리젠테이션 스킬, 의사소통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신감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학습 활동 과정에서 학습 환경 아직 잘 준비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어려움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몽골 학생들은 21 세기에 요구하는 미래의 리더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새롭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능동적인 학습 방향을 갖춘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몽골 대학 교육의 궁극적인 교육 목표 달성에 큰 시사점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