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field learning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8초

논리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한 체험형 자동차 정비 훈련 시스템 (An Experience-Type Car Maintenance Training System based on Logic Simulation)

  • 박길식;박대성;박기현;김준태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3-84
    • /
    • 2014
  • 최근 IT 기술을 전통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는 기술을 이용하여 학습을 개선시키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교육에 IT 기술을 접목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자동차 정비 훈련 분야에서도 이-러닝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자기주도형 학습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기존에 만들어진 자동차 정비 훈련 프로그램은 개발자에 의해 정해진 훈련 시나리오에 따라 미리 정해진 동작만을 차례로 수행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훈련자가 자기주도적으로 정비 훈련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훈련자 스스로 여러가지 정비 동작을 수행하고 다양한 상황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훈련자의 다양한 동작에 대해서 실제와 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지만, 그러려면 자동차의 여러가지 복잡한 전기적, 기계적 동작에 관한 매우 복잡한 계산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정비 훈련에서 복잡한 물리적 시뮬레이션 없이 훈련자의 다양한 동작에 따라 자동차의 동작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JESS 추론 엔진을 이용한 논리 시뮬레이션 에이전트를 구현한다.

사례연구: PBL기반 보건의료 데이터 사이언스 특성화교육과 학습성과 (Case Study: PBL-Driven Healthcare Data Science Specialization and Learning Performance)

  • 박화규;김종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4
    • /
    • 2023
  • This paper aims to share the course, performance and implications of Project-Based Learning (PBL) education in healthcare data science (HDS). The HDS team of the business group of Soonchunhyang University, which was selected for the health care field of 'University Innovation Project', considered that the health care IT-based education of the current university differs greatly from the rapidly changing health care 3.0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y, and emphasized the PBL practice-oriented specialization program as a learning model. The PBL focused on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real analysis problems, and team-oriented classes. In other words, it was implemented with three specialized strategies: 'Field Inside Education', 'Fusion-type Track Education', and 'Training to strengthen resilience and change response'. This collaborative,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etc. resulted in significant results. The results were recognized as being rated A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udent survey and the results index.

기업의 e-Learning에 대한 학습효과 및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d Transfer of e-Learning in Business Organlizations)

  • 정경수;김경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5권2호
    • /
    • pp.1-29
    • /
    • 2006
  • The recent development of IT, consolidation of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technology have brought enormous changes in many organizations. Theses changes are enabling the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such as distance teaming and virtual class room. Recently, e-Learning has grown rapidly in business training field, In the context of companies, e-Learning has merits in terms of access convenience, costs redu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ciprocity, and flexibility. In this regard,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of e-Learning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nsfer of loaming in business organizations. Based on the prior studies of the education and business training field,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developed. Factors studied in this paper were as follows: 1) learners' characteristics, 2) organizational support and 3) system environments. The results of our study are as follows. (1) Motivation perceived usefulness in Learner factors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learning effectiveness and transfer of teaming, whereas Ability, expectation had an influence on transfer of teaming. (2) Support from peer, support from supervisor in Organization factors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Loaming effectiveness and transfer of teaming, whereas support from organization had influence on learning effectiveness. (3) Appropriate contents in system circumstance had an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teaming effectiveness and transfer of teaming, whereas interface design had an influence on learning effectiveness.

  • PDF

미술활동과 연계한 과학실험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Experiments in Collaboration with Art Activities for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in Elementary School)

  • 손정우;허민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68-78
    • /
    • 2013
  • 그동안 예술활동과 과학교육을 통합하는 연구는 학생들의 예술교육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유아교육과 초등교육분야에서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일부 과학교육자들은 STEAM 교육을 통해 디자인의 원리를 이용하여 산출물을 시각화하거나 실험결과를 표현하는데 주된 관심을 보였다. 이에 미술활동이 과학교육과 통합된 수업을 실시할 때, 학생들의 능력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래서 이 연구의 목적을 미술활동과 연계한 과학실험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창원에 있는 C초등학교 4학년 30명(남 16, 여 14)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자료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교과서와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 실험자료집에서 추출되었다. 수업처치는 5가지 주제에 대해 10차시로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검사로 G-TAGAS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미술활동과 연계한 과학실험활동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창의적 성격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 PDF

e-Learning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The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e-Learning Performance)

  • 이문봉;강병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73-182
    • /
    • 2007
  • e-Learning이란 기술기반 교육을 의미하며, 교육용 CD-ROM이나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컴퓨터 기반 교육, 웹 기반 교육, 가상 학습 디지털상의 교육과 협업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자기주도학습을 전제로 하고 있는 e-Learning의 학습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보시스템 측면과 학습자 자신의 컴퓨터 사용능력과 같은 학습자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모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시스템성과 모형과 자기효능감을 기반으로 e-Learning 학습 성과 평가 모형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216명의설문 응답 결과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비스 품질과 컴퓨터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고. 사용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컴퓨터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 의도와 사용자 만족은 학습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마트 교육 지원을 위한 VR 체험학습 사례 연구 (Case study of VR experience studying for smart education support)

  • 김문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31-141
    • /
    • 2014
  • UX design e-learning systems in order to establish the reasonable structured modules that are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E-learning by focusing on technology-related edu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psychology, business administration, etc. has been studied in the field. However, an important part of smart education, one of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self-directed research is lacking UX design. UX Design the User Interface and Visual Identity is central to the success of the content of the important research areas in modern smart society. This case study is for smart education digital textbooks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of digital textbook content of the e-learning features, including multi-disciplinary analysis of UX design requires a structured model is proposed. Research data on the smart education and virtual education in UX design being used as the basis for studies forward.

베이직 플라워 디자인 기초교육 방법 (A Study on the method Education of Basic Floral Design)

  • 왕경희;정진희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5호
    • /
    • pp.47-56
    • /
    • 2021
  • 본 연구는 꽃 디자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을 연구하기 위해 사전 학습(e- 러닝), 매뉴얼로 모델링, 학습자의 실습, 1:1 교육 코칭, 자기 평가, 코칭 행동 평가(1차, 2차) 등의 모델을 작성하여 적용되었다. 첫째, 사전 학습을 통한 인지 실습 교육은 꽃 디자인 실천에서 매우 필수적이다. 둘째, 플로랄 디자인의 연습 수업은 교수가 일반적으로 예제를 설정하고 학습자가 따라하는 수업이다. 셋째,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자체 평가를 통해 반영하고, 완성된 작품에 대한 꽃무늬 디자인의 요소, 원리 및 기술 부분에 따라 평가 양식을 작성하는 것이다. 그 이후로 각 교수의 평가 양식을 교수가 직접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한 결과 자체 작업의 자체 검토 및 기술 부품의 품질 수준이 향상되었다. 넷째, 수업 시간 내에 완료 한 기존 수업과는 달리, 연습 수업은 자발적 연습을 했다. 다섯째, 마지막 단계에서 포트폴리오의 작업 프로세스를 배치하여 다시 스케치 및 촬영을 통해 학습자가 만든 작품을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체크리스트와 함께 제작 방법 및 주의 사항을 준비하고 교수님의 피드백을 받으면서 꽃 디자인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학습자에 의한 연습 형태의 여섯 단계를 통한 꽃 디자인의 기본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훌륭한 학습 모델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므로 향후 이와 관련된 교재 개발 및 현장 적응이 고려된다.

IoT 기반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활용한 교육콘텐츠 서비스 플랫폼 (Education Content Service Platform Using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based on IoT)

  • 류창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90-692
    • /
    • 2014
  • 기존의 학교현장에서의 단방향 주입식 교육은 학습자의 학습 흥미와 몰입감, 학습능률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집단지성, 협력학습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학생들의 자발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통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 근거리 통신을 활용한 교육콘텐츠 서비스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근거리 통신기술인 블루투스를 이용해 교사음성과 교수학습이 전자칠판(Interactive White Board)과 통신하고, NFC 기술을 이용해 학생들의 개인 강의노트 콘텐츠를 재생성하여 빅데이터화 되고 학생 간 공유가 가능해짐으로써 질 좋은 교육 콘텐츠를 생성하는 스마트 스쿨에 걸맞는 교육콘텐츠 제작시스템 기술을 연구하였다.

  • PDF

e-Learning 시스템의 성공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e-Learning Systems)

  • 이문봉;김종원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5권4호
    • /
    • pp.171-188
    • /
    • 2006
  •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ternet have had a dramatic effect on education method and individual life. Universities and companies we making large investments in e-Learning applications but are hard to pressed to evaluate the success of their e-Learning systems. e-Learning can be seen as not only one of Internet based information systems which can provide education services but also one of teaching-teaming methods which can implement self-directed teaming. This paper tests the updated model of information system success proposed by Delone and McLean using a field study of a e-Learning. The five dimensions -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net benefit - of the updated model are parsimonious framework for organizing the e-learning success metric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Questionaires are collected from 107 students who are enrolling a e-learning class using online survey. The model is tested using SPSS and LISREL. The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user satisfaction with the e-Learning system but system quality is not. Also user satisfaction is found to be a strong predictor of the learning performance. This strong association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teaming performance suggests that user satisfaction may serve as a valid surrogate for teaming performance. Empirical testing of the updated DeLone & McLean model should therefore be extended to cover a wider variety of systems.

  • PDF

SNS & Community 활용 반복학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효과성 검증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Iterative Learning utilizing SNS & Community to Pre-kindergarten Teachers)

  • 표창우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5-22
    • /
    • 2013
  • 예비유아교사에게 SNS와 Community를 활용한 반복학습을 수업에 적용하여 강의만족도, 자기효능감, 수업이해도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대학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자 주도적 전통적인 오프라인 강의에 SNS & Community를 활용한 반복학습 모형은 선행조직자를 통한 혼자 생각해보기, 수업도입 시 발표를 통한 함께 생각해보기, 수업종료 후 커뮤니티 활동을 통한 생각나누기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교수자가 수업이전 SNS를 발송으로 반복학습이 시작되지만 이후 학습자 스스로 자기주도적인 학습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이에 강의에 대한 만족도 증대 및 교육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에 기초수학능력이 필요한 전문대학 학습자들에게 교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SNS와 Community를 활용한 수업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