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etermination

검색결과 677건 처리시간 0.025초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실천 경험에 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xperiences Concerning Client's Self-determination)

  • 김기덕;장은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39호
    • /
    • pp.83-11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실천경험을 내부자 관점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 한 후 근거이론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클라이언트를 믿고 존중하려는 고단하지만 의미 있는 성장 과정>이라는 핵심범주를 발견하였고,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실천경험은 '간섭적 온정주의형', '적극적 존중실현형', '소극적 존중실현형'의 3가지 유형으로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기관과 사회복지사 자신이 어떤 철학과 태도를 갖고 있느냐가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을 존중하는 실천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연구참여자들은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과 관련한 실천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한편 자기결정을 존중하는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는 자신들의 역량이 강화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을 존중하는 실천에 관해 중요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간호대학생의 자기 결정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그릿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오서진;조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1-29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self-deter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social support, which can have a mutual influence on self-deter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to 31, 2022, with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nursing departments at six universities located in three region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Results: The study found correlations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elf-determination (r=.64, p<.001), grit (r=.41, p<.001), and social support (r=.46, p<.001). Grit (B=0.06) and social support (B=0.06)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a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focusing on social support, which is an external resource, and self-determination and grit, which are internal resources.

간호대학생의 자기결정성과 그릿의 관계에 미치는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grit in nursing students)

  • 김철규;정수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2-370
    • /
    • 2023
  • Purpose: This is a study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etermination and grit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2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 students in their junior and senior yea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23,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self-determin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grit (p<.001).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grit. In other words, the higher level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associated with better levels of grit among nursing students.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determination have important effects on grit. To enhance the grit of nursing students,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improving self-determin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ffects of Theme-Based Garden Book Making in Capstone Design on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im, Soo Ye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5-84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heme-based garden book (photo book) making integration program on social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We analyzed the changes in social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first step was defining the theme-based garden book (photo book) making integration program, which was done by focus group interviews (FGI) comprised of specialists in the industry and academia. The second step was carrying out 8 sessions of the program. The third step was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ocial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6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N University, and 17 students were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19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three sub-domains of social skills,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three sub-domains, such as cooperation(P < .05), assertion(P < .05), and self-control(P < .05).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four sub-domain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such as behavior (P < .05), cognition(P < .05), school support(P < .05) and home support(P < .05). This proved that the theme-based garden book (photo book) making program contributed to bringing positive effects to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eme-based garden book (photo book) making integration program could improve self-determination and social skills of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se positive changes are related to the high level of interest in theme-based garden design programs among colleg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us these programs can be used effectively to improve social adjustment.

대학생의 그릿이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Grit on Their Self-determination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오은희;최인선;정철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58-267
    • /
    • 2020
  • 사회 초년생을 준비하는 대학생 시기는 사회적으로 도태되지 않게 성공적인 진로와 삶을 위해서는 전 생애에 걸쳐서 자신의 인생에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성취해 나가기 위하여 결과와 방향의 안목을 가지고 성공적인 태도를 취하는 행동적 판단이 중요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한 생각과 개인의 능력을 이해하기 위한 긍정적인 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대학생의 그릿과 자기결정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도의 대전, 세종, 천안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그릿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대학생의 그릿은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그릿은 자기 결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은 자기결정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그릿과 자기결정성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동기적 변인들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성격의 자기결정성을 키워줄 수 있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유아의 자기결정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 유아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tructural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Among Preschoolers':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elf-Esteem)

  • 박근주;서소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5-42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및 놀이성을 포함하였으며, 특히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4,5세 유아-어머니 총 337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유아의 놀이성은 연구자의 현장관찰을 통해, 유아의 자기결정력,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력은 이들의 담임교사의 설문과 질문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연구대상 어머니의 설문지를 통해 각각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자기결정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놀이성은 직접적으로,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자기결정력과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 사이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자기결정력과 자기조절력, 놀이성 사이에서는 부분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관련이 있는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 분석 (Types of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 이혜주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3-288
    • /
    • 2008
  • Types of motivation for self-determination studied in the current research included intrinsic motivation (IM) to know, IM to accomplish, IM to experience stimulation; external, introjected, identified regulation; and amotivation as related to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use of cognitive strategy and self-regulation).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Pintrich & DeGroot, 1990) and the Academic Motivation Scale (Vallerand et al., 1992, 1993) were administered to 123 $5^{th}$ graders (63 girls, 60 boy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IM to accomplish, IM to know, and identified regulation positively and amotivation negative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M to accomplish and IM to know positively and amotivation negatively contributed to use of cognitive strategy and self-regulation.

  • PDF

가족탄력성, 자기결정성, 진로결정 몰입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mily Resilience, Self-Determination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 이지혜;이재신;류진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3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가족탄력성, 자기결정성, 그리고 진로결정 몰입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과 경북 소재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77명이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은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성, 관계성)과 진로결정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탄력성이 높은 환경의 대학생일수록 더 자기결정적이고, 진로결정에 대한 몰입의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은 진로결정 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더 자기결정적인 대학생일수록 더 높은 수준의 진로결정 몰입을 경험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은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통하여 진로결정 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가족탄력성이 진로결정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매개효과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 변화의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Identifying Latent Classes in Adolescent's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Testing Determinants of Classes)

  • 최현주;조민희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1권1호
    • /
    • pp.253-274
    • /
    • 2014
  •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 중 무동기, 외적동기, 내적동기 변화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고, 각 집단을 결정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KELS)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중2와 고2 두 시점 모두에서 자기결정성 동기 설문에 응답한 5,45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동기유형의 변화량을 알아보기 위해 SPSS 17.0을 이용하여 표준화된 잔차를 산출하였고, M-Plus를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으로 동기 변화량의 프로파일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동기변화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분류된 집단은 '자기결정성 증가, 자기결정성유지, 자기결정성 발달 정체, 자기결정성 혼돈, 자기결정성 감소' 집단으로 총 다섯 가지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섯 개 집단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부모의 통제.학업적 자기개념, 교사-학생관계, 시험불안, 회피 지향, 성별, 부 학력, 소득의 영향력이 각 집단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청소년 상담 개입전략에 대한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자기결정성과 자기주도학습에 의한 기업 이러닝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Corporate E-learning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Self-Determination)

  • 남궁승은;김성건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25-138
    • /
    • 2022
  • Companies want organizational members who take e-learning courses to enjoy the advantages of transcending time and space that e-learning has, but also want what they have learned to help the organization, the work they perform, or their future careers. In addition, while enjoying the effect of reducing education costs compared to offline education through e-learning, it is expected that executives and employees will apply the knowledge and skills learned to the field and perform tasks to achieve results. As COVID-19 continues, many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been conducted offline at corporate sites have been converted to e-learning, with a larger number of e-learning operations than in the pas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learners' learning satisfaction is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e-learning education, and that learners' ow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determination are important as well as corporate efforts. As a result of the study, hypotheses 1-1, 1-2, 1-3-1, and 1-3-2 that the better the self-determination (autonomy, competence, full-time support, and peer support) is, the higher the learning satisfaction will be. Both Hypothesis 2-1 and Hypothesis 2-2 were adopted that the better self-directed learning (subjectivity, execution ability) is, the higher the learning satisfaction will increase.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perly introduce the concepts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corporate education while operating with the corporate edu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