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electivity estimation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electivity Estimation for Spacial Data Distribution and Query Size (공간 데이터 분포와 질의 크기를 고려한 선택률 추정)

  • 문현수;이미란;황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77-79
    • /
    • 2000
  •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질의에 대한 선택률 추정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공간 질의에 대한 선택률 추정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간 검색 조건의 정확한 선택률 추정을 위해 공간 데이터 분포를 통계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선택률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공간 질의에 대한 선택률 추정을 위해서 기존의 통계 데이터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균등 분할 방법과 비균등 분할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선택률을 추정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통계 데이터 작성 방법인 크기별 분할 방법을 제안하였다. 각 방법의 성능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대한 선택률 오차를 산출하여 평가하였다.

  • PDF

Simple Wavelet-based Histogram of Multidimensional Selectivity Estimation for Spatio-temporal Databases (시공간데이터베이스의 다차원 선택도 추정을 위한 웨이블렛 기반 히스토그램)

  • Kwon, Jung-Min;Shin, Byung-Chul;Lee,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34-36
    • /
    • 2005
  • 선택도 추정 기법은 상용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 최적화를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중 선택도 추정 기법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법은 히스토그램이다. 최근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련 연구에서 시간$\cdot$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선택도 추정 기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히스토그램 추정 기법이 과거에서 현재시점까지 범위 질의 수행을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량의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에는 저장오버헤드가 너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데이터베이스에서 성공적으로 선택도 추정을 다룬 히스토그램 추정 기법을 보완하여 과거 이력데이터들의 저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압축기법을 제안한다. 현재 객체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히스토그램 기반 추정 기법을 응용하고 과거 이력데이터에 대해서는 압축기법인 웨이블렛을 응용하여 선택도추정의 오류율과 저장오버헤드의 향상이 기대된다.

  • PDF

Decision Feedback Detector for Space-Time Block Codes over Time-Varying Channels

  • Ahn, Kyung-Seung;Baik, Heung-Ki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8 no.5C
    • /
    • pp.506-513
    • /
    • 2003
  • Most existing space-time coding (STC) schemes have been developed for flat fading channels. To obtain antenna diversity gain, they rely on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quired at the receiver through channel estimation techniques. This paper proposes a new decision feedback decoding scheme for Alamouti-based space-time block coding (STBC) transmission over time-selective fading channels. In wireless channels, time-selective fading effects arise mainly due to Doppler shift and carrier frequency offset, Modelling the time-selective fading channels as the first-order Gauss-Markov processes, we use recursive algorithms such as Kalman filtering, LMS and RLS algorithms for channel tracking. The proposed scheme consists of the symbol decoding stage and channel tracking algorithms. Computer simulations confirm that the proposed scheme shows the better performance and robustness to time-selectivity.

Implementation of String Selectivity Estimation for Range-based Predicate (범위 술어에 대한 문자열 선택도 추정 구현)

  • Kim, Jae-Myung;Lee, Mi-Young;Lee,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57-360
    • /
    • 2006
  • 범위 술어에 대한 문자열 선택도 추정은 해당 문자열 범위를 숫자 표현으로 변환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문자열을 숫자 표현으로 변환할 경우 각각의 바이트에 대한 모든 경우의 수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변환 시 문자열 뒷부분에 대한 정보를 고려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 연구되고 있는 부분 문자열에 대한 선택도 추정 방식을 적용할 경우 통계정보와 추정에 대한 연산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는 범위 술어에 대한 추정만을 위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B+ Tree 인덱스의 제한적인 통계정보만을 가지고 범위 술어에 대한 문자열 선택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알티베이스에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electivity Estimation in Spatio-Temporal Databases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도 추정 연구)

  • Shin Byung-Chul;Kim Cha-Dol;Lee J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63-66
    • /
    • 2004
  • 최근 시공간 데이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시간에 따라 이동하는 객체에 대한 처리와 이력 공간 정보를 처리하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효과적인 질의 처리를 위해 선택도 추정 기술의 요구가 생겨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력 공간 정보에 대한 선택도 추정을 위하여 T-Minskew 히스토그램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선택도 추정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임계치 기법을 이용한 효과적인 히스토그램 유지 기법을 제시한다.

  • PDF

Analysis of Selectivity Estimation Techniques for Spatial Range Query of Region Objects (영역객체의 공간 범위질의에 관한 선택률 추정기법 분석)

  • Jeong, Jae-Hyuck;Lee, Jin-Yul;Chi, Jeong-Hee;Kim, Sang-Ho;Ryu, Ke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383-1386
    • /
    • 2003
  • 최근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선택률 추정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데이터분포의 편중, 중복 계산, 메모리 공간 최소화등의 문제를 고려한 다양한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기법들 간의 성능 분석을 통한 비교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간 영역 객체의 범위질의에 관한 선택률 추정 기법인 Min-Skew, 웨이블릿, 누적밀도, 오일러 히스토그램을 비교 분석한다. 즉, 실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여러 형태의 질의에 대한 성능 비교를 통해 각 기법들을 비교 평가한다. 이 연구 결과는 새로운 기법 도출에 이용될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tuna longline hook depth for improved performance in Fiji

  • BAINVES, Viliame;LEE, Chun-Woo;PARK, Sub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53 no.3
    • /
    • pp.219-227
    • /
    • 2017
  • In pelagic longline, deploying the gear such that the depth of the hook is the same as that of the target fish is important to improve the fishing performance and selectivity. In this study, the depth of the tuna longline hook was estimated using the mass-spring model, catenary curve method, and secretariat of the pacific commission Pythagorean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longline gear in Fiji. The former two methods were estimated to be relatively accurate, and the latter showed a large error. Further, the mass-spring model accounted for the influence of tidal current in the ocean, which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or use in field trials.

Selectivity Estimation using Maximum Area Difference (최대 면적 차이 분할 방법을 이용한 선택률 추정)

  • 이미란;황환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09-111
    • /
    • 2001
  • 공간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질의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질의 결과 크기를 계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크기는 매우 방대하여 질의 결과 크기를 계산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제 공간 데이터의 분포와 특성에 근접하도록 공간 데이터의 분포를 요약하여 이를 토대로 질의 결과 크기를 추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공간 분할 방법에는 균등분할 방법과 비균등 분할 방법이 있으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1차원 데이터에 대한 선택률 추정기법 중에서 그 성능이 가장 우수하다고 평가된 바 있는 최대 면적 차이 분말을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여 공간 분할하는 것이다.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을 추정 방법은 공간 분할 방법에 따라 성능상의 차이가 있으며 본 논문은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선택률 추정의 정확성을 비교, 평가하여 제안한 방법이 우수함을 보였다.

  • PDF

Error Estimation about Selectivity of Approximate Range Queries in Multi-Dimensional Histogram (다차원 히스토그램에서 범위 질의의 선택도에 대한 오차 추정)

  • 정지훈;홍석진;배진욱;안성준;송병호;이석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1-213
    • /
    • 2001
  • 히스토그램은 질의 최적화글 위해 사용되는 튿-계 정또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방대한 데이타에 대한 범위 질의의 선택도 추정 방법의 하나로 사용되기도 한다. 히스토그램을 통한 범위 질의의 선택도 추정 결과는 항상 오차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선택도에 대한 오차를 추정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추정된 선택도의 오차 추정에 대한 기존 방법은 1차원 히스토그램만을 고려하여 하나의 애트리뷰트의 값에 따라 빈도의 분포를 반영하므로 애트리뷰트가 많은 다차원 히스토그램에 바로 적용시키는데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추정된 선택도에 대한 오차 추정 기법들을 다차원에 적용할 수 있게 확장한 M-Max, M-Sum 기법을 제안하고, 두 기법을 합친 하이브리드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M-Sum 기법과 하이브리드 기법이 M-Max 기법보다 정확한 오차 추정 기법임을 보이고, 또한 작은 기억 공간에서도 두 기법이 오차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함을 보인다.

  • PDF

Alignment of transmitters in indo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for flat channel characteristics

  • Curuk, Selva Muratoglu
    • ETRI Journal
    • /
    • v.44 no.1
    • /
    • pp.125-134
    • /
    • 2022
  •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systems incorporate ambient lighting and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the experienced channel in indoor VLC is a major topic that should be examined for reliable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t is realized that multiple transmitters in classical alignment are the forceful factors for channel characteristics. In the frequency band, fluctuations with sudden drops are observed, where the fluctuation shape is related to the source layout and receiver location. These varying frequency-selective channels need solutions, especially for mobile users, because sustained channel estimation and equalization are necessary as the receiver changes its location. It is proven that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s) with highly directional beams as sources or using a detector with a narrow field of view (FOV) in the receiver may help partially alleviate the problem; the frequency selectivity of the channel reduces in some regions of the room. For flat fading channel characteristics all over the room, LEDs should be aligned in hexagonal cellular structure, and detector FOV sh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cell dimension outc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