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ismicity parameter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1926~1943년(年)의 국지자료(局地資料)에 의한 한국 지진(地震)의 연구(硏究) (Study on Earthquakes of Korea based on the Local Data of 1926~1943)

  • 김상조
    • 자원환경지질
    • /
    • 제13권1호
    • /
    • pp.1-19
    • /
    • 1980
  • 본논문(本論文)에서 1926년 2월부터 1943년 5월까지 국내(國內)에서 Wiechert 지진계(地震計)로 관측(觀測)된 국지자료(局地資料)가 제시(提示) 연구되었다. 일본(日本) 기상청(氣象廳)(JMA) 현용(現用) S-P monogram(travel time table)을 기초(基礎)로 하고 주로 Tsuboi의 지진(地震) 규모(規模)(magnitude) 계산식(式)과 진도자료(震度資料)의 보조(補助) 이용(利用)으로 적절한 한계내(限界內)에서 가능한 한(限) 많은 지진요소(地震要素)(parameter)를 산출하였다. 또한 진앙분포(震央分布)와 관련한 지진(地震) 특성(特性)이 인접지질구조(隣接地質構造)와 연관(連關) 논의(論議)되었으며 몇몇의 통계결과(統計結果)가 일본(日本) 구주지역(九州地域)과 비교 분석됨으로서 한국의 지진(地震) 활동(活動)에 관한 합리적(合理的)인 해석(解析)이 내려졌다. 지진(地震) mechanisrn을 규명(規明)하기에는 충분(充分)하지 않지만, 단편적인 자료(資料)들을 superposition method 에 의하여 종합(綜合)한 결과(結果), 일본(日本) 남서부(南西部)(구주(九州)) 지역(地域)의 그것과 대체로 일치(一致)하는 동일서(東一西) 압축(壓縮)의 stress field가 작용(作用)하는 일반적 경향성(傾向性)을 발견(發見)할 수 있었다.

  • PDF

생애주기비용 최소화에 의한 점탄성감쇠기 장착 빌딩구조물의 통합최적설계 및 비용효율성 평가 (Integrated Optimum Design and Cost Effectiveness Evaluation of Viscoelastically Damped Building Structures based on Life-Cycle Cost Minimization)

  • 박관순;함대기;고현무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통권42호
    • /
    • pp.17-27
    • /
    • 2005
  • 점탄성감쇠기가 설치된 구조물의 통합최적설계기법 및 비용효율성 평가기법을 제시하였다. 구조부재와 점탄성감쇠기의 사용량을 설계변수로 하여, 생애주기비용을 최소화하도록 최적화문제를 정식화하였으며, 유전자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의 설계변수를 검색하였다. 수치예제에 대한 통합최적설계 수행 결과를 통해 지반운동 특성에 따른 점탄성감쇠기의 최적배치 및 각 층 강성의 최적분포 경향을 분석하였으며, 점탄성감쇠기가 설치되지 않은 구조시스템과의 생애주기비용 비교를 통하여 비용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점탄성감쇠기는 특히 중약진지역에서 높은 비용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지진의 지속규모식에 관한 연구 (Duration Magnitude and Local-Duration Magnitude Relations for Earth-quakes of 1979-1998 Recorded at KMA Network)

  • 박삼근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1998
    • /
    • pp.421-435
    • /
    • 1998
  • An empirical formula for estimating duration magnitude(MD)is determined by analyzing 619 epicentral distance-duration data set, obtained from earthquakes of 1989-1998 recorded at the KMA network. Based on two assumptions: 1) observed signal duration decreases with increasing epicentral distance, and 2) seismographs of KMA are set at low-gain and therefore inclusion of sensitivity correction term in the equation is not necessary, scaling predicted duration at epicenter to Tsuboi's local magnitude yielded the duration magnitude equation: MD =2.0292$\times$log$\tau$+0.00123Δ-1.4017 for 1/0$\leq$ML$\leq$5.0, where $\tau$is total signal duration(sec)and Δis epicentral distance(km). Event by event comparison of ML values against MD estimates for t152 events shows that for events having a same ML the difference in MD estimates reaches as high as 1.1 magnitude units. So, to test the usefulness of the duration magnitude equation, we have calculated ML-MD relations by which duration magnitude estimates are converted to local magnitudes ("predicted" ML, say) which are then compared with the directly determined local magnitude values. Except for events with stations where duration is anomalously reestimates(predicted ML) which are in an agreement within a 0.2 magnitude units with the corresponding ML values. Although this study could gain some insights into magnitudes of the past events, we still need to re-examine all the observables in order to obtain more reliable and precise information about magnitude and hypocenter location. So we will pursue a new local-magnitude scaling, as well as refinement of the duration magnitude equation, starting soon with re-reading the amplitudes-arrival time records of (and hence relocating) 250+earthquakes of 1979-present recorded at the KMA network. Thus, with more reliable and precise earthquake parameters determined we would better understand the recent seismicity and related tectonic process within and adjacent region to the Korean peninsula.peninsula.

  • PDF

Fuzzy-based multiple decision method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d hazard assessment: A case study of Tabriz, Iran

  • Nanehkaran, Yaser A.;Mao, Yimin;Azarafza, Mohammad;Kockar, Mustafa K.;Zhu, Hong-Hu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4권5호
    • /
    • pp.407-418
    • /
    • 2021
  •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causes of the sliding mass instabilities, landslide susceptibility and hazard evaluation are difficult, but they can be more carefully considered and regionally evaluated by using new programming technologies to minimize the hazard.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landslide hazard zonation in the Tabriz region, Iran. A fuzzy logic-based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method was proposed for susceptibility analysis and preparing the hazard zonation maps implemented in MATLAB programming language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environment. In this study, five main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s triggering including climate (i.e., precipitation, temperature), geomorphology (i.e., slope gradient, slope aspect, land cover), tectonic and seismic parameters (i.e., tectonic lineament congestion, distribution of earthquakes, the unsafe radius of main faults, seismicity), geological and hydrological conditions (i.e., drainage patterns, hydraulic gradient, groundwater table depth, weathered geo-materials), and human activities (i.e., distance to roads, distance to the municipal areas)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analyses are presented as a landslide hazard map which is classified into 5 different sensitive categories (i.e., insignificant to very high potential). Then, landslide susceptibility maps were prepared for the Tabriz region, which is categorized in a high-sensitive area located in the northern parts of the area. Based on these maps, the Bozgoosh-Sahand mountainous belt, Misho-Miro Mountains and western highlands of Jolfa have been delineated as risk-able zones.

GNSS를 활용한 한반도 동남권 지역의 지각 변동 파라미터 분석 (Analysis of Plate Motion Parameters in Southeastern South Korea using GNSS)

  • 이승준;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97-705
    • /
    • 2020
  • 본 논문은 GNSS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동남권 지역의 지각 변동 파라미터에 관한 내용이다. 한반도 동남권 지역에 5.0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지진의 위험성에 대하여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포항과 경주의 장기적인 지각 운동 패턴을 밝히기 위해 탄성 이론을 이용하여 지각변동 파라미터를 도출하였다. CORS의 7년간의 GNSS 데이터를 Gamit/Globk S/W를 사용하여 정밀한 좌표를 취득하였다. 한반도 전체의 속도 벡터는 평균 31mm/yr로 나왔으며 방위각은 일반적으로 110°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7년간 한반도 동남권 지역의 주응력의 방향은 몇가지 예외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ENE-WSW으로 나왔다. 최대 전단 변형률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0.11±0.07) μ/yr으로 일본 중부 지역의 약1/3이다. 이번 연구 결과를 고려하면 한반도 남부의 평균 최대전단응력은 타당한 것으로 간주된다. 주응력의 평균 방위각은 약 (85.4°±26.8°)이다. 양산단층을 기준으로 평균 방위각이 좌우 (73.2°±21.5°) 와 (105.2°± 17.0°)로 차이가 난다. 한반도 동남부 지역의 지진 발생 지역이 전단응력이 크게 나온 것은 주목할만 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반도 동남부 지각 변동 파라미터 특성을 반영하여 지진 재해 관리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