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ling method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29초

Fenobucarb와 Imidacloprid의 벼 뿌리 침지시간에 따른 벼멸구의 살충활성과 섭식행동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al Activity and Feeding Behavior of Nilaparvata lugens by Root Uptake Times against Fenobucarb and Imidacloprid)

  • 양정오;조선란;권윤희;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5-182
    • /
    • 2010
  • 벼멸구에 대한 Fenoburcarb(36, 12 ppm)와 Imidacloprid(0.7, 0.4 ppm)의 벼유묘 뿌리 침지 시간(1, 4, 8, 12, 16, 20, 24시간)에 따른 살충활성과 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EP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의 파형은 신호개시 후 4시간 동안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침투이행성과 살충력과의 상관관계는, 두 약제 모두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보정살충율을 보였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살충활성이 높았다. 파형에 있어서는 두 약제 모두 농도가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non-probe time은 길어졌고 체관을 찌르는 시간은 짧아졌다. 침지시간이 길어질때에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침지시간에 따른 살충활성과 두 파형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이 노균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CC110균주 선발 (Selec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CC110 for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Downy Mildew Caused by Pseudoperonospora cubensis)

  • 이상엽;원항연;김정준;한지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61-267
    • /
    • 2013
  • Pseudoperonospora cubensis에 의한 오이 노균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오이 재배단지의 오이 식물체 126균주를 분리하였다. 그 중에서 잎 절편 생물검정 통하여 5균주를 선발하였다. CC110균주는 오이노균병 예방과 치료효과 검정에서 전혀 병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무처리는 15.0~18% 노균병이 발생하였다. CC110균주는 gyrB gene sequence 분석에 의하여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로 동정하였다.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은 LB, NB와 KB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보다 오이 노균병 발생이 적어 효과적이었다.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의 원액, 2배와 5배 희석한 처리구에서 0%, 3.0%와 8.0% 그리고 배양여액을 원액, 2배와 5배 희석한 처리구에서 0%, 4.0%와 7.0% 노균병이 발생하였고, 무처리는 21.0% 발생하였다. 오이 유묘검정에서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은 오이 노균병이 35.0% 발생하였고 무처리는 82.0% 발생하였다. 비닐하우스 포장에서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B. amyloliquefaciens CC110균주를 5일 간격 4회 처리가 7일 간격 3회 처리보다 방제효과가 높았다.

멸구$\cdot$매미충의 종류에 따른 살충제의 선택독성 (Selective Toxicity of Insecticides to Plant-and Leaf-hoppers)

  • 최승윤;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
    • /
    • 1976
  • 본 시험은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 및 끝동매미충을 공시하여 몇 가지 수도해충 방제용 살충제의 선택독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Diazinon $(34\%\; 유제 3\%\; 입제)$을 공시하였고 Carbamate계 살충제로서 MPMC$(Meobal 50\%\; 수화제)$, BPMC $(Bassa 50\% 유제)$, Carbofuran (Curator. $3\%$ 입제)을 공시하였다. 유제와 수화제는 유묘의 침지에 의한 접촉법으로 실시하였고 입제는 Pot를 사용하여 수면처리에 의하여 행하였다. 1. 유묘침지시험에 있어서 Diazinon MEP, PAP제는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이 현저이 낮었고 MEP제는 끝동매미충에 대해서도 살충력이 낮었으나 MPMC제는 네 가지 공시충에 대하여 선택독성이 비교적 적었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MEP제의 선택독성을 제외하고는 애멸구, 흰등멸주, 끝동매미충에 대한 살충력은 보다 높아 선택독성을 인정할 수 없었라. 재차 시험에 있어서도 유기인제인 Diazinon, MEP 및 PAP는 벼멸구에 대하여 살충력이 심히 낮었으나 Carbamate계인 BPMC, MPMC는 살충력이 좋았다. 2. 입제의 수면처리시험에서도 Carbamate계 살충제 Carbofuran은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살충제을 보였으나 유기인계 살충제 Diazinon은 벼멸구에 대하여 살충력이 심히 낮었다. 3. 제제의 형태에 상관없이 유기인계 살충제는 Carbamate계 살충제에 비하여 멸구$\cdot$매미충의 종에 따른 선택독성이 거의 없었다.

  • PDF

이화명충의 인공사육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rtificial Rearing of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 정규회;유준;김용래;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9-32
    • /
    • 1973
  • 이화명충의 인공사육을 위해 간이합성배지, 반합성배지, 합성배지 및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실험과 각 배지별 사육단가 산출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반합성배지에 의한 인공사육 결과 노숙유충의 체중 96.4mg, 자충우화율 $96.7\%$로서 타배지에 비하여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이 배지는 성충까지의 사육비용이 3.14원으로 대량 사육시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2). 합성배지 및 반합성배지의 제 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타 배지에 비해 높은 것은 Choline Chloride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3) 수도유묘에 의한 사육방법은 재료 구입이 용이 하고 가격이 저렴한 반면에 유충생육의 불균일 및 유묘 교환시 공시충의 손실과 노력이 많이 들어 대량사육을 위해서는 적합치 못하다. 4) 간이합성배지 중 Chlorella를 첨가시킨 실험구에서 노숙유충의 체중 및 용화율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5) 간이합성배지에서의 생육결과 제2세대 산란 및 부화율이 낮은 것은 배if의 영양 결핍에 기인된 것 같다. 6) 각 배지 공히 용화율이 현저하게 낮은 원인은 용화시에 노숙유충이 병원균의 감염으로 오염사 되기 때문이다.

  • PDF

십자화과(十字花科) 채소(菜蔬) 검은무늬병균(病菌)(Alternaria spp.)의 종자전염(種子傳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Seed Transmission of Alternaria spp. in Three Cruciferous Vegetable Crops)

  • 강여규;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1-198
    • /
    • 1985
  • 종묘상(種苗商)에서 시판중(市販中)인 무우 종자(種子) 38개(個) 시료(試料), 배추 종자(種子) 20개(個) 시료(試料), 양배추종자(種子) 3개(個) 시료(試料) 등(等) 모두 61개(個) 시료(試料)의 십자화두(十子花枓) 채소종자(菜蔬種子)를 수집(蒐集)하여 Alternaria spp.를 검출(檢出)하고 종자(種子)에서의 감염상태(感染狀態) 및 병원성(病原性)을 조사(調査)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추 종자(種子) 시료(試料)에서 Alternaria spp.를 검출(檢出)한 결과(結果) 20개(個) 시료중(試料中) A. raphani는 7개(個) 시료(試料)에서 평균(平均) 3.8%, A. brassicicola는 6개(個)의 시료(試料)에서 평균(平均) 1.8%, A. brassicae는 1개(個) 시료(試料)에서 0.5%가 검출(檢出)되었다. 2. 무우 38개(個) 시료(試料)의 종자(種子) 중(中)에서는 A. raphani 균(菌)이 11개(個) 시료(試料)에서 7.2%, A. brassicae는 2개(個) 시료(試料)에서 1.0%가 검출(檢出)되었다. 3. 양배추종자(種子)는 공시(供試)한 3개(個) 시료(試料)의 종자(種子)에서 A. brassicicola가 21.8% 검출(檢出)되었다. 4. 종자(種子)의 감염(感染)된 Alternaria spp.는 대부분 종피(種皮)에 존재(存在)하여 발아(發芽)를 저해(沮害)하거나 유묘(幼苗) 감염(感染)을 일으켰으며 A. brassicicola는 무, 배추, 양배추종자(種子)의 배(胚)에서 A. raphani는 무우종자(種子)의 배(胚)에서 검출(檢出)되었다. 5. 종자(種子)에서 분리(分離)된 A. brassicae, A. brassicicola, A. raphani를 배추, 무우, 양배추에 접종(接種)한 결과 유엽(幼葉)보다는 노숙엽(老熟葉)에서 흑색(黑色)의 작은 반점(斑點)이 나타나고 점차(漸次) 회색(灰色) 및 담갈색(淡褐色)의 둥근 병반(病斑)을 형성(形成)하고 병반주위(病斑周圍)가 황변(黃變)되면서 엽고(葉枯)를 일으키고 부정형(不定形)으로 확대(擴大)되어 고사(枯死)하였다.

  • PDF

감 수꽃 착생 실생개체 선발 마커의 효율성 검정 (Efficiency of Sex-linked Molecular Markers for the Selection of Seedlings Bearing Male Flowers in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 박여옥;손지영;최성태;김은경;김동완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9-249
    • /
    • 2020
  • 감 꽃은 과실을 맺는 암꽃과 꽃가루를 내는 수꽃,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화가 있다. 관행 교배육종법으로 부본용 수꽃 신품종을 육성한다면 최종 선발까지 15년 정도의 장기간과 넓은 시험포장이 요구된다. 유묘기에 수꽃 착생 개체를 조기에 선발하여 육종효율을 증진하고자 꽃의 성표현을 알고 있는 주요 품종 88개체를 대상으로 Akagi 등(2014)이 보고한 수꽃 선발 마커들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OGI locus marker와 DISx-AF4S marker 적용 결과 각각 83품종, 72품종에서 꽃의 성표현과 분석 결과가 일치하였다. 육성품종인 '미감조생'을 모본으로 한 교배조합 등으로부터 나온 실생 2,509개체에 OGI locus marker 수꽃 선발 마커를 적용하여 890개체를 선발하였고, 분석 완료한 교배실생 중 아직 착과가 되지 않았거나 고사한 개체를 제외한 1,186개체를 대상으로 꽃의 성표현과 마커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401개체가 불일치한 것을 확인하였다(33.8%). 다양한 교배조합으로부터 나온 실생 889개체에 DISx-AF4S marker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636개체를 선발하였다. 분석 완료한 교배실생 중 아직 착과가 되지 않았거나 고사한 개체를 제외한 379개체를 대상으로 꽃의 성 표현과 마커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고 247개체가 불일치한 것을 확인하였다(65.2%).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검토한 DISx-AF4S, OGI locus marker는 육종현장에서 활용하기에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발아온도 및 발아중 광질 처리가 전처리된 박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Temperature and Light Quality on Germination of Pretreated Gourd Seeds)

  • 강신윤;강진호;전병삼;최영환;이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4
    • /
    • 2003
  • 종자의 발아 정도가 입묘율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수박 접목묘의 대목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박 종자의 발아, 유묘출현과 균일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자 용자대목과 궁합을 공시재료로 종자활력차를 야기하는 노화처리, 파종전 종자처리로써 priming, $GA_3$ 및 저온 처리에 따른 발아과정에서의 온도와 빛이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박 종자의 활력차를 유도하기 위한 노화처리는 45$^{\circ}C$에서 6일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2) 발아온도 $30^{\circ}C$에서 두공시품종의 평균발아율은 노화처리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파종전 종자처리로써 저온 처리에서 가장 양호하였던 반면, priming과 $GA_3$ 처리는 물에 침종한 대조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3) 파종전 저온처리로 인한 발아율은 노화처리 되지 않은 정상 종자의 경우 종자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노화처리 되어 활력이 떨어지는 종자의 경우 종자처리로 증대되었다. 4) 파종전 저온처리는 발아온도 20~3$0^{\circ}C$ 에서 공시품종 궁합 종자의 발아를 촉진시켰으며, 발아시 초적색광을 제외한 청색광, 적색광 및 암처리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아 처리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중왕산 지역에서 부게꽃나무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량 및 종자활력 (Flowering, Fruiting, Seed Fall and Seed Viability of Acer ukurunduense in Mt. Jungwang, Gangwondo)

  • 김갑태;김회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153-158
    • /
    • 2014
  • 천연활엽수림의 천연갱신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부게꽃나무(Acer ukurunduense Trautv. & C.A. Mey.)의 개화 결실, 종자낙하, 종자활력을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에서 2009년부터 2013년까지 조사하였다. 부게꽃나무 꽃은 총 상화서(드물게 원추화서)에 양성화와 웅성화가 많이 달렸으며, 꽃의 배열은 화서마다 서로 달랐다. 화서 내에서 성형태간 개화시기가 달랐다. 양성화로 암술이 수분되어 자라기 시작한 꽃에서는 수술은 더 이상 성숙하지 않고 소실되었으며, 수술이 발달한 꽃에는 암술은 흔적으로만 존재하였다. 부게꽃나무는 꿀벌, 깜둥이창나방, 하늘소류, 애꽃벌류, 대모각다귀류 등이 수분하며, 자가수분을 회피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다고 사료된다. 화서당 꽃의 수는 6월 8일에 189개였다가, 6월 21에는 과수당 시과?의 수는 41.2개였으며, 9월 5일에는 과수당 33.4개로 줄어들었다. 시과낙하량은 670~17,930 ea/ha의 범위로 평균은 6,720 ea/ha이었다. 건전배를 가진 것이 43.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피해 부후인 것이 41.8%, 미발육 10.2%, 쭉정이배 4.8%로 나타났다. 건전종자 생산량을 좌우하는 요인은 개화기인 6월 초순에 화분매개충의 활동과 어린 자방이 자라는 6월 초 중순 흡즙성 해충의 밀도와 활동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부게꽃나무의 천연갱신은 종자다산해에 발아와 생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갭에서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단풍나무류의 천연갱신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자결실과 비산전 후 종자피식 문제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열처리와 Shoot-Tip Grafting에 의한 감귤 바이러스 무독묘 생산 (Production of Virus-Free Stocks from Citrus Plant by the Shoot-Tip Grafting and Heat Treatment)

  • 김대현;심혜경;권혁모;현재욱;김광식;이진경;이석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45-50
    • /
    • 2005
  • 바이러스에 감염된 감귤나무를 생육상에서 주간 $40^{\circ}C$, 야간 $30^{\circ}C$로 열처리한 후 발생한 신초를 $0.3\~0.7\;\cal{mm}$ 로 잘라내어 기내에서 치상한 탱자 (P. trifoliata) 대목에 접목하는 열처리와 경정접목 (shoot-tip grafting)을 병행한 방법으로 무독묘 생산에 성공하였다. 감글 바이러스 즉, citrus tristeza virus (CTV), satsuma dwarf virus (SDV) and citrus tatter leaf virus (CTLV) 에 대한 무독화율은 각각 $75.7\%,\;100.0,\%\;82.6\%$ 였다. 경정접목 시 접수크기는 $0.3\;\cal{mm}$ 이하 일때 바이러스 무독화율이 높았으나 절목 후 활착율은 저하되었다. 열처리 후 경정배양 (shoot-tip culture)을 하여 1 개월 후에 활착율을 조사한 결과 Yuzu (C. junos)는 $74.6\%$, 그리고 early satsuma mandarin (Iwasagi)은 $13.3\%$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항바이러스제인 rivabirin을 첨가한 후 무독효과를 보기 위하여 후대배양 중에 온주밀감의 특성상 갈변되어 고사함으로서 무독묘를 생산하지 못했다.

정화논에 의한 벼 친환경재배단지 발생 영양염류 저감효과 (Effects of Purifying Rice Paddy in Reducing Nutrient Loadings from Rice Paddy fields area using Free Range Ducks and Rice Bran)

  • 고지연;이재생;우관식;서명철;강종래;송석보;오병근;정기열;윤을수;최경진;남민희;이영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32-139
    • /
    • 2010
  • To manage the effluent nutrients amounts from rice paddy fields using free range ducks or rice bran,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 purifying paddy field which is no fertilizer, no pesticides, and dense rice seedling having a concept of constructed wetland. The experimental paddy field was located at downstream in the watershed of ducks using rice culture area in Milyang. The purifying paddy of land design were treated with seeding method, and vegetation type. As land design, direct seeding on plane, and direct seeding on high-ridge field in 2007. Planting rice only, and planting rice with water hyacinth were treated as vegetation type in purifying paddy in 2008. The purifying paddy fields were effective to reduce amount of T-N and T-P contents in effluent to 33.2~45.3%, and 53.1~55.4%, respectively. The direct seeding on high-ridge treatment, having long residence time of effluent water was more effective than plane plot as T-N 0.29 $g^{-1}m^{-2}d^{-1}$, and T-P 0.031 $g^{-1}m^{-2}d^{-1}$. The planting rice with water hyacinth treatment was effective than planting rice only as T-N 0.23 $g^{-1}m^{-2}d^{-1}$, and T-P 0.049 $g^{-1}m^{-2}d^{-1}$. The optimum area of purifying paddy field to treats all effluent were found out 3.2~4.7% of rice culture area using free range ducks, and rice bran at upper str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