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sprout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6초

Variation of 7S and 11S Seed Protein Concentrations in Different Food Types of Soybean Seed

  • So, Eun-Heui;Chae, Young-am;Kim, Yong-Ho;Yang, Moo-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0-354
    • /
    • 1999
  • Soybean varieties derived from Korea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food types such as soybeans for vegetable, sprout, sauce and paste and soybeans with colored seed coa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differences in storage protein concentrations among these four groups. There were differences in storage protein concentrations among four groups. In 7S protein, the $\alpha$'-and $\alpha$-subunit concentrations did not vary among four groups, while a $\beta$-subunit concentration greatly varied. 7S protei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40.6%) in soybean for sauce and paste and the lowest(37.7%) in soybean for vegetable, while 11S protein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62.3%) in soybean for vegetable and the lowest (59.4%) in soybean for sauce and paste. In view of the fact that 11S protein has much higher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than 7S protein, it was shown the soybeans for vegetable may have higher nutrition value than other groups.

  • PDF

콩나물 생육기간 중 사포닌 함량의 변화 (Changes of Soyasaponin Contents in Soybean Sprouts)

  • 장서영;한상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57-63
    • /
    • 2016
  • 콩 재배 및 이용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발아과정 중 기능성 성분인 soyasaponin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1. Soyasaponin I과 soyasaponin II의 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발아과정 중 떡잎부위에서 함량이 10배 이상 증가하였고, soyasaponin I은 배축에서도 종자 당 이 $140{\sim}360{\mu}g$ 수준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2. Soyasaponin III 및 soyasaponin V의 함량은 발아를 통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soyasaponin V의 경우 배축에서 그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latonin and Polyphenol Contents in Some Edible Sprouts (Alfalfa, Chicory, Rape, Red Kale and Sunflower)

  • Kim, Seok-Joong;Cho, Moo-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84-188
    • /
    • 2011
  • The melatoni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determined in alfalfa, chicory, rape, red kale and sunflower after germination for four days at $24{\pm}0.1^{\circ}C$. Compared with seeds, melatonin content was increased in all sprouts, at the highest level in red kale (2,502.9 pg/g, 5.6 times higher than seed) followed by rape (2,430.1 pg/g), chicory (2,037.7 pg/g), alfalfa (1,160.8 pg/g) and sunflower (768.2 pg/g) sprout, however, the addition of tryptophan (0.5 mM), the precursor of melatonin synthesis, did not show any desirable effect. Both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substantially increased in chicory (8.7 mg/g, 66%), rape (10.7 mg/g, 51%) and red kale (11.0 mg/g, 53%) sprouts, but not in alfalfa and sunflower sprouts. Melatonin content per gram polyphenol (ng/g) was also increased in all sprouts through germination. Germin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melatonin in all seeds tested, while its effect on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pecies dependent.

Light Quality during Seed Imbibition Affects Germination and Sprout Growth of Soybean

  • Kang, Jin-Ho;Park, A-Jung;Jeon, Byung-Sam;Yoon, Soo-Young;Lee, Sang-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2-296
    • /
    • 2002
  • Soybean seeds were treated with blue, red and far-red lights for 0, 6, 12, and 24 hours during 24-hour imbibition before culture for 6 days. The soybean sprouts raised were classified by their hypocotyl lengths; normal (>4cm), abnormal (<4cm) and non-germination, and their lateral roots, hypocotyl diameters and component dry weights were measured. Red light treatment and dark imbibition reduced the abnormal soybean sprouts more than far-red and blue light treatments, meaning that the former treatments produced more commercial sprouts. The lateral roots were more formed in blue light and dark imbibition than the other light treatments, but were completely blocked by any light treatment lasted during the whole imbibition. Although any light quality treatment did not influence their primary root lengths, blue light one lengthened the hypocotyl more than the others treated during the imbibition, and far-red light enlarged its diameter. Despite this morphological change, component, total or economic yiel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light quality treatments during the imbibition.

Edible Sprout Production from Ainsliaea acerifolia Seeds

  • Park, Cheol-Ho;Lee, Cheol-Ki;Chang, Kwang-Jin
    • Plant Resources
    • /
    • 제2권2호
    • /
    • pp.127-132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and seeds of Ainsliaea acerifolia an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for producing sprouts from the seeds. Plant height, flower stalk length, and pod number were higher in natural habitat than in campus farm. Average 1.2 seeds per pod was set but only 0 to 2 seeds per plant was set in plants with the enveloped flower stalks, indicating that this is an outcrossing species. Most of seeds were 9-11mm long and 1.1-1.4mm wide. Fresh weight of seeds was ranged from 10mg to 17mg. Seeds germinated well at 15$^{\circ}C$ and 2$0^{\circ}C$. Mean germination period was 11.5 day at 15 to $25^{\circ}C$. Sprouts grown at 15$^{\circ}C$ was longest(5.4cm) and heaviest(738mg/10 sprouts). Chlorophyll content was 333mg per fresh weight 110g. Protein, Fe, vitamin Bl, vitamin B2, and vitamin C were respectively 23.7mg, 6.4mg, 1.82mg, 0.49mg, and 10..7mg.

  • PDF

Effect of Temperature, Deep Sea Water and Seed Quality on Growth of Buckwheat Sprouts

  • Xoxiong, Briatia;Chang, Kwang-Jin;Ahn, Chul-Hyun;Lim, Yong-Sub;Kim, Yeon-Bok;Park, Sang-Un;Park, Byoung-Jae;Sung, In-Je;Park, Cheol-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24-728
    • /
    • 2011
  • With both common and Tartary buckwheat species, this study was aimed at producing new commercially useful bio-materials with higher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 due to higher components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s care. In common buckwheat sprouts, it was found that root length at $20^{\circ}C$ was longer (5.93 cm) than at 25 and $30^{\circ}C$, whereas the hypocotyls length, fresh weight of each sprout, and whole fresh weight showed the highest value at $30^{\circ}C$. For Tartary buckwheat, the root length, hypocotyl length and fresh weight of each sprout and whole fresh weight were also the highest at $30^{\circ}C$. Common buckwheat (Suwon No.1) and Tartary buckwheat (KW45) sprouts cultured at $20^{\circ}C$ showed that hypocotyl length, fresh weight of each sprout, and whole fresh weight in the control were higher than those sprouts treated with 5% and 10% deep sea water (DSW), while the sprouts cultured at $30^{\circ}C$ showed were significantly longer hypocotyls than the control or 5% DSW treatment.

완두나물 재배에 적합한 유용자원 선발과 완두나물 적정 재배조건 설정 (Evaluation of Pea (Pisum sativum L.) Genetic Resources for Sprout and Analysis of Optimum Culture Condition for Pea Sprout)

  • 구성철;강범규;김현태;서정현;정광호;윤홍태;오인석;최만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84-490
    • /
    • 2015
  • 본 연구는 완두나물로 활용 가능한 유전자원을 선발하고, 그에 적합한 재배조건을 설정하고자 재배 온도 및 기간에 따른 완두나물의 재배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여 완두를 이용한 채소용 나물 최적 재배 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 완두 유전자원 38점 중 완두 나물로 이용 가능한 자원으로 PI269803, PI343278, PI343283, PI343300와 PI343307을 1차적으로 선발하였다. 2. 1차 선발된 완두자원을 대상으로 완두나물 재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20^{\circ}C$, $23^{\circ}C$$25^{\circ}C$에서 각각 7일간 재배하였다. 그 결과 전장과 배축장은 $20^{\circ}C$$25^{\circ}C$에 비해 $23^{\circ}C$에서 가장 높게 증가하였다. 3. 재배온도별 나물수율은 $23^{\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전자원 PI269803와 PI343300이 다른 자원에 비해 높은 나물수율을 나타내었다. 4. 재배온도별 완두나물의 조단백질 함량을 분석한 결과 온도에 따른 조단백질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재배 온도별 완두나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I343278와 PI343283에서는 재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과 자유 라디칼 소거능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PI269803와 PI343300에서는 $20^{\circ}C$$25^{\circ}C$에 비해 $23^{\circ}C$에서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6. 높은 나물수율과 항산화 특성을 보이는 PI269803과 PI343300은 완두나물 이용에 적합한 자원으로 예상된다.

열처리 조건개선이 다양한 새싹채소 종자의 미생물 저감화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proved Heat Treatment on Microbial Reduction and Germination in Sprout Vegetable Seeds)

  • 윤혜정;박경훈;홍은경;김태훈;김세리;김원일;윤종철;홍무기;류경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11-617
    • /
    • 2011
  • 본 연구는 열처리 방법에 의한 국내산 새싹채소 종자 3종(무, 배추, 다채)과 수입산 2종(무, 적양배추)의 발아율과 총 호기성세균 및 병원성 미생물의 저감화에 대해 실시하였다. 열처리는 40, 50, 60, 70$^{\circ}C$의 온도조건에서 각각 15,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발아율은 60$^{\circ}C$ 이하 조건에서 열처리 후 배양 24시간 후 45-97%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70$^{\circ}C$ 이상의 조건에서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열처리에 의한 미생물 저감화 효과는 국내산 무 종자의 경우 총 호기성세균은 70$^{\circ}C$, 30분 열처리 조건에서 1.71 log CFU/g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은 60$^{\circ}C$ 이상의 조건에서 검출한계이하로 나타났다. 국내산 배추 종자는 60$^{\circ}C$ 이상의 조건에서 총 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은 각각 1.23-1.34, 2.77 log CFU/g 감소하였다. 국내산 다채 종자는 70$^{\circ}C$, 15분 열처리시 0.3 log CFU/g 감소되었다. 수입산 무 종자는 60$^{\circ}C$ 이상의 조건에서 2.12-2.30 log CFU/g 감소하였다. 수입산 적양배추 종자는 40$^{\circ}C$ 이상의 조건에서 0.66-0.84 log CFU/g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은 검출한계 이하의 수준으로 검출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시료에서 B. cereus는 열처리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대장균, S. aureus 및 Salmonella sp.는 검출한계 수준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Sinapine누출을 이용한 십자화과 채소의 퇴화종자 선별법 (Screening Method for Non-viable Seeds in Brassicaceae Vegetable Crops by Sinapine Leakage)

  • 민태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73-479
    • /
    • 1994
  • 종자가 수분을 흡수할 경우 종자의 내용물이 밖으로 누출되는데 일반적으로 퇴화종자에서 건전종자보다 월등하게 많이 누출되는 특성이 있다. 십자화과 식물의 종자는 형광물질인 sinapine을 함유하고 있어서 수분을 흡수할 경우 퇴화종자에서 다량의 형광물질을 밖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종자를 cellulose로 코팅하여 sinapine을 Cellulose층에 흡착토록 함으로써 퇴화종자를 쉽게 종자 개개의 단위로 선별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국내에 재배되는 십자화과 채소종자에 대해서 이러한 새로운 종자선별법을 이용하여 종자를 선별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십자화과 채소종자의 퇴화종자에서 건전종자 보다 많은 양의 형광물질이 누출되었다. 2. 종자코팅을 통하여 형광종자와 무형광종자를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3. 형광종자의 비율은 퇴화종자가 많은 품종일수록 높았다. 4. 형광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하므로써 발아율이 약 5∼35%까지 향상되었다. 5. 무형광종자는 건전한 종자로써 발아율 및 종자세가 무처리종자보다 월등하였고, 형광종자는 대부분 발아하지 않았으며 발아한 묘는 거의가 비정상묘 였다.

  • PDF

동부 발아기간 중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변이 (Change in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oxidant Enzyme Status of Cowpea During Germination)

  • 천상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0-67
    • /
    • 2013
  • 동부 종자를 7일 동안 재배하여 각 발아 일수별 새싹나물의 생육,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차이를 검토하였다. 발아 일수별 동부의 신장과 생체중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olin-Denis방법에 따른 총 페놀 함량은 건종자(DS), 침종종자(IS), 발아 후 1일묘(1DOS), 3일묘(3DOS), 5일묘(5DOS), 7일묘(7DOS)에서 각각 63.9, 56.8, 46.4, 36.0, 29.9, $32.2mg\;kg^{-1}$로 나타나 건종자에서 가장 높았고, 발아일수가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p < 0.05).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건종자, 침종종자, 발아 후 1일묘, 3일묘, 5일묘, 7일묘 순으로 각각 87.3, 41.2, 30.4, 27.4, 28.1, 17.1%로 건종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발아일수가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으며 발아 후 7일묘에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효소 활성은 APX와 CAT 활성은 건종자, 침종종자, 발아 후 1일묘, 3일묘, 5일묘, 7일묘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POX 활성은 발아 후 3일묘부터 급격히 증가하다 7일묘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SOD 활성은 건종자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발아 후 1일묘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활성물질과 그 활성간의 상관관계는 APX와 CAT 활성($r^2$= 0.9574)간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CAT와 POX 활성간, POX와 DPPH 활성간, APX와 POX 활성간 순으로 각각 0.9427, 0.8509, 0.8471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생리활성물질 중 총 페놀은 총 플라보노이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이는 항산화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에 더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