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mash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Koji를 이용한 seed mash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ed Mash Prepared with Koji)

  • 이명구;박정길;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9-205
    • /
    • 2005
  • 본 연구는 제빵 산업의 현장에서 제빵적성 향상을 위한 제빵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백국균을 이용한 밀가루 코지, 유산균, 효모를 혼합 배양하여 seed mash를 만들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증류수 560mL와 코지 400g을 혼합하여 $25^{\circ}C$에서 72시간 배양한 seed mash의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alpha}-amylase$는 0.26 SKB/g, saccarifying amylase 활성이 36SP/g,그리고 산성 protease 활성은 648 HUT/g을 나타냈다. 코지, 유산균, 효모를 배양하여 제조한 seed mash의 pH는 코지와 효모 만을 배양하여 제조된 seed mash보다 다소 낮았다. 배양기간에 따른 환원당의 변화는 코지만을 이용한 seed mash의 경우 36시간까지 배양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산균과 효모를 첨가한 seed mash에서의 환원당은 배양 6시간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Seed mash에서 생성된 총산의 양은 10.4-12.25mg/mL로 유산균을 첨가시 다소 높았다. 코지, 효모, L. brevis로 배양한 seed mash에서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ate, p-vinyl guaiacol 등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밀가루 입국과 유산균을 이용하여 만든 Seed mash를 첨가한 발효액종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lour Ferment with Seed Mash Containing Wheat Flour Koji and Lactic Acid Bacteria)

  • 이명구;강상모;이시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97-102
    • /
    • 2006
  • 빵의 노화와 풍미 향상을 목적으로 빵 제조시 첨가하기 위하여 제조한 유산균, 효모, seed mash을 첨가하여 배양한 발효액종(flour ferment)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eed mash를 첨가하지 않은 발효액종은 배양 6시간 경과시 pH와 TTA가 각각 5.6 및 2.5이었으며, seed mash 5%와 각기 다른 유산균을 첨가한 발효액종은 pH가 4.63-4.69와 TTA가 9.0-9.9이었다. 4시간 발효시킨 발효액종에 함유된 유기산은 대조구의 경우 프로피온산이 0.09mg/g, 젖산과 초산이 각각 0.06 및 0.04 mg/g 검출되었으며, seed mash와 효모만을 발효시킨 발효액종에서는 프로피온산이 0.21 mg/g, 젖산과 초산이 각각 0.16, 0.06 mg/g, seed mash와 유산균, 효모를 혼합 배양한 발효액종에서는 젖산이 0.23-0.27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프로피온산이 0.21 mg/g, 초산이 0.06-0.08 mg/g 검출되었다. 발효액종의 향기성분은 seed mash, 효모, 유산균을 혼합 배양한 발효액종에서 ethyl caprylate, ethyl caproate, ethyl acetate, ethyl caprate, phenylethyl acetate등의 에스테르 화합물이 대조구에서 보다 많이 검출되었다.

원료 쌀과 누룩의 처리 및 첨가방법이 다른 전통주의 발효특성 비교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 김인호;박완수;구영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9-348
    • /
    • 1996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such as Kwahaju, Sokokju, Baikhaju, Samhaeju and Hosanchun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with the difference of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pH values in all treatments were similar to be ranged $3.1{\sim}3.2$, but acidity of the treatment brewed without seed mash was $1.5{\sim}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treatment brewed with seed mash. The concentration of alcohol in all treatments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Nuruk increased. The alcohol concentrations of Samhaeju and Hosanchun ranging from 6.5% to 7.7% were higher than those of Kwahaju, Sokokju and Baikhaju ranging from 7.9% to 10.6%. Residual reducing sugar contents of Kwahaju, Sokokju and Baikhaju ranging from 4.6 g/L to 9.7 g/L were lower than those of Samhaeju and Hosanchun ranging from 14.2 g/L to 15.5 g/L. The consumed total sugar contents of Kwahaju, Sokokju and Baikhaju ranging from 125.4 g/L to 159.2 g/L were higher than those of Samhaeju and Hosanchun ranging from 111.2 g/L to 123.8 g/L, and the treatments brewed with seed mash showed more sugar consumption than the treatments brewed without seed mash. Sensory quality in the treatments brewed with seed mash was better than those of without seed mash. Concentration of Nuruk and preparation of seed mash from it were critical factors compared to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in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brewing.

  • PDF

Seed Mash와 유산균 발효액을 첨가한 밀가루 반죽의 물성학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Flour Ferments by Seed Mash and Lactic Acid Bacteria)

  • 이명구;이정훈;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46-351
    • /
    • 2009
  • Koji를 배양한 seed mash, 유산균, 효모 등으로 발효하여 제조한 발효액종을 밀가루에 첨가하여 파리노그래프, 익스텐소그래프, 아밀로그래프, 대용량 배합기로 반죽의 물리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파리노그래프에서 발효액종의 종류에 관계없이 흡수율은 동일하였으나 발효액종 첨가로 반죽 발전시간이 길어졌고,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익스텐소그래프에서 반죽저항성은 발효액종 첨가로 증가하였고, R/E값도 증가하여 seed mash, S. cerervisiae, L. brevis로 발효시킨 발효액종을 첨가한 반죽에서 가장 높았다. 아밀로그래프에서 호화온도와 최고점도 온도는 대조구와 시험구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최고점도는 발효액종 첨가 시 낮아졌다. 반죽의 물리적 특성에서 D.V.(development value)값은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낮아졌고, 반죽발전시간도 짧아졌다.

젖산농도별 주모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according to the Rice Wine Seed Mash with Lactic Acid Concentration)

  • 허창기;이중원;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33-938
    • /
    • 2012
  • 막걸리 양조시 품질변화 방지를 목적으로 젖산 첨가량에 따른 주모의 pH, 총산, ethanol 및 미생물 균수를 측정하고, 젖산 농도에 따른 주모별 막걸리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평가 등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젖산 농도에 따른 주모의 pH는 젖산 0.5% 이상 첨가 시료구가 pH 3.31~3.33으로 젖산 무첨가구와 0.3% 첨가 시료구의 pH 3.52, 3.56에 비해 낮았다. 총산 함량은 젖산 무첨가구와 젖산 0.3%첨가 주모가 0.56%와 0.54%로 높게 나타났고, 0.5%첨가 주모는 0.5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Ethanol 함량은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주모와 젖산을 첨가한 주모 모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모의 미생물의 균수를 측정한 결과는 세균 및 젖산균은 젖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효모는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해 0.3~0.5% 첨가구는 증가하였으나 0.7~1.0% 첨가구는 감소하였다. 젖산 첨가량에 따른 주모로 담금한 막걸리의 pH 및 총산은 0.5% 이상 첨가구에서 발효기간 동안 안정된 값을 보여 주모의 안전 제조에 적합한 조건을 보였다. 유기산은 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succin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및 acetic acid가 검출되었다. acetic acid는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구의 경우 390.88 mg%로 함량이 가장 높았고 젖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며, 1.0% 첨가 시료구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Ethanol 함량은 시료구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관능평가 결과 젖산 0.5%이상 첨가구부터 향, 맛 및 종합기호도에서 선호도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젖산을 첨가하지 않은 주모에 비해 젖산을 첨가하여 주모를 제조할 경우 막걸리의 품질이 더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며, 젖산량은 주모 중량대비 0.5%첨가가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효소를 이용한 아스트라갈린 합성 반응의 최적화 (Reaction Optimization for Enzymatic Synthesis of Astragalin)

  • 이슬비;정대원
    • 공업화학
    • /
    • 제23권4호
    • /
    • pp.394-398
    • /
    • 2012
  • 아스트라갈린(AS)은 폴리페놀의 일종인 캠페롤(KR)에 글루코스가 하나 결합해있는 배당체로서, 천연에는 미량만이 존재하고 있다. 최근 tea seed extract (TSE)에 포함되어 있는 camelliaside A (CamA) 및 camelliaside B (CamB)로부터 복합효소인 Mash에 의한 부분가수분해에 의해 AS를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Mash에 의한 TSE의 선택적 가수분해에 의해 AS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반응 온도, 효소량 및 반응물의 농도 등의 변수에 따른 반응성을 검토하였다. 반응 온도, 효소량 등이 증가할수록 AS의 생성 반응은 빨랐으나, 일단 생성된 AS가 급격하게 KR로 변환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응 속도 및 AS의 선택성 측면을 고려하면, $50^{\circ}C$에서 TSE 대비 2배의 Mash를 사용하여 15%의 기질 농도에서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치자꽃 발효주의 특성 (Manufacturing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by using Gardenia jasminoides)

  • 조수묵;김재호;박홍주;전혜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13-415
    • /
    • 2009
  • To develop a new traditional rice wine by using Gardenia jasminoides, various fermentation methods such as without cooking, with cooking and with starter seed methods were studied. The condition of alcohol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by addition of 1% Gardenia jasminoides into mash. Among the fermented methods, the fermentation with starter seed was the best as the alcohol was 19%. The acceptability of the Gardenia jasminoides rice wine with different methods were compared. The starter seed method which was prepared by adding 1% Gardenia jasminoides into mash showed the best acceptability in the sensory evaluation test and color test.

종국(種麴)의 종류(種類)가 간장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ffect of Seed Koji for the Soysauce Qualities)

  • 이석건;이택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3호
    • /
    • pp.155-161
    • /
    • 1976
  • 종국(種麴)의 종류(種類)를 달리하여 제국(製麴)한것으로 담금하여 발효과정중(醱酵過程中)의 효소활성(酵素活性), 미생물균수(微生物菌數), 일반성분(一般成分), 질소용해율등(窒素溶解率等)의 변화(變化)에 대(對)하여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간장 발효중(醱酵中)의 중성(中性) 및 alkali성(性) protease의 활성(活性)은 발효기간(醱酵期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실활(失活)되였고 세균함유종국구(細菌含有種麴區)가 더욱 현저하였다. (2) 간장 발효중(醱酵中)의 미생물균수(微生物菌數)는 발효기간(醱酵期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각시험구(各試驗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특히 세균함유종국구(細菌含有種麴區)가 현저하였다. (3) 일반성분중(一般成分中) TN, amino-N. ammonia-N 등은 발효기간(醱酵期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alcohol, 유리환원당, 순고형물(純固形物) 등은 발효초기(醱酵初期)에 다소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세균함유종국구(細菌含有種麴區)는 타시험구(他試驗區)에 비(比)하여 ammonia-N의 함량(含量)이 높았으나 pH는 낮은 편이였다. (5) 질소용해율(窒素溶解率) 및 관능검사의 결과(結果) 순수종국구(純粹種麴區)가 가장 좋았으며 세균함유종국구(細菌含有種麴區)가 가장 불량(不良)하였다.

  • PDF

UTILIZATION OF NON-CONVENTIONAL FEED RESOURCES IN POULTRY PRODUCTION: RESULTS OF ON-FARM TRIALS

  • Ravindran, V.;Cyril, H.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387-392
    • /
    • 1995
  • Though a variety of non-conventional feedstuffs have been successfully evaluated in research stations in Asian countries, there had been little adoption of these technologies at the small farm level. The methodology and results of three separate on-farm trials evaluation the possible use of some non-conventional feedstuffs in broiler diets under small farm conditions in Sri Lanka are reported in this paper. In all trials, the commercial mash, that in normally used in the farms, served as the control. In trials 1 and 2, 5 and 10% cassava leaf meal, respectively, was substituted (w/w) for the commercial mash and fed to broilers for six weeks. In trial 3, several non-conventional feedstuffs (cassava leaf meal, rubber seed meal, ipil ipil leaf meal and died poultry manure) were substituted (w/w) for the commercial mash at levels of 15-20%.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se non-conventional feed resources can be used in broiler diets under small farm conditions, with no adverse effects on performance. The salient features of on-farm animal research are highlighted.

Monascus anka를 이용한 홍국주의 제조 및 특성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ngkuk-ju using Monascus anka)

  • 방병호;이문수;김관필;이기원;이동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8-84
    • /
    • 2013
  • To reproduce the brewing process of Hongkuk-ju and to identify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it, Hongkuk-ju was brewed using different additions of Hongkuk (100%, 90%, 70%, 50%) and Nuruk (0%, 10%, 30%, 50%). The quality elements, including pH, total acidity, reducing sugar content, alcohol content and pigments (yellow, red, monacolin K and citrinin), were measured. The pH values of Hongkuk-ju showed a slight difference (pH 4.08~4.58) right after the $1^{st}$ stage mash; further, the pH on all groups (H1, H2, H3 and H4) in the terminal of the $2^{nd}$ stage mash (9 days in fermentation) were similar, ranging approximately at pH 3.70. The total acidity change did not show a difference directly the $1^{st}$ stage mash (nearby 0.2 %); however, it began to show a slight difference at the terminal of the $2^{nd}$ stage mash between the range of 0.69~0.76%. The residual reducing sugar of the content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Nuruk content. The alcohol concentrations of the treatment brew with Nuruk ranging from 12.3% to 13.7% were higher than Hongkuk on its own. The yellow and red pigment contents of Hongkuk-ju ranged from 7.2~8.8 O.D. units (yellow pigment) and from 4.4~5.1 O.D. units (red pigment). The production of monacolin K and citrinin was the highest (9.48 mg/kg and 10.14 mg/kg) when the treatment solely brewed Hongkuk. The concentration of Nuruk and the preparation of the seed mash from it were critical factors compared to the treatment of rice in brewing Hongkuk-j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