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damage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5초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of elevated ozone on Pterocarpus indicus under well-watered and drought conditions

  • Baek, Saeng Geul;Park, Jeong ho;Kwak, Myeong Ja;Lee, Jong Kyu;Na, Chae Sun;Lee, Byulhana;Woo, Su Young
    •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153-159
    • /
    • 2018
  • Seedlings of Pterocarpus indicus were grown in both well-watered and drought stress conditions in phytotron. Seedlings grown under well-watered and drought stress conditions were exposed to either combined or without ozone of 200 ppb for one month. First, the physiological responses to elevated ozone levels indicated a decreased biomass. The seedlings grown in arid soil and exposed to ozone showed less biomass than those grown in arid soil but not exposed to ozone. Moreover, all the seedlings except the well-watered and unexposed one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photosynthetic rate ($P_N$) over time. However, with the accumulation of ozone injuries, th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creased overall. In the study results, when exposed to ozone, the well-watered seedlings exhibited more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than did the seedlings grown in arid soil. Generally, P. indicus in arid soil suffered less damage from elevated ozone than did the well-watered plants.

Hepatoprotective effect of Rumecis Semen

  • Lee, Shin-Seok;Huh, Yeon-Gu;Yim, Dong-Sool;Lee, Sook-Yoe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2년도 창립10주년기념 및 국립독성연구원 의약품동등성평가부서 신설기념 국재학술대회:생물학적 동등성과 의약품 개발 전략을 위한 국제심포지움
    • /
    • pp.242-242
    • /
    • 2002
  • The root of Rumex crispus(Polygonaceae) has been used as one of many oriental medicines ofr the treatment of cathartics, juandice and skin diseases etc. Recently, it is reported as one of anticancer agents and a remedy of acute hepatitis in many traditional medicines. Also, the seed of this plant has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gestion problems, liver diseases and many sorts of tumors. In this study we have collected the seed of this plant in rural area and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hepatoprotective activity from liver cell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on mice with methanol extracts,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of this plant

  • PDF

낙엽송 클론 채종원에서 구과 채취시기에 따른 구과특성 및 종자품질 (Cone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y among Harvest Times in the Clonal Seed Orchard of Larix kaempferi)

  • 김예지;구다은;조계홍;최희윤;우영곤;이채빈;유성열;주혜준;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3호
    • /
    • pp.352-362
    • /
    • 2023
  • 일본잎갈나무는 종자 생산의 풍흉 주기가 길고 불규칙하여 채종원산 우량 종자의 안정적인 대량생산을 위해 종자 생산 효율을 높이는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구과의 채취시기는 구과특성과 종자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종자 뿐만 아니라 유묘 생산까지도 영향을 준다. 충주 일본잎갈나무 채종원에서 구과의 적정한 채취시기를 판단하고 채취시기별 구과 및 종자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21-2022년도에 채취시기별로 구과 함수율, 종자 효율(생산량), 발아율, 발아세 등을 조사하여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8월 초에 구과 함수율의 감소와 구과의 갈변이 이루어졌고, 발아율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9월말에 최고점이 나타나 경향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구과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발아속도는 우수하였으나, 종자 비산, 충해 종자의 증가로 종자 효율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발아율과 종자 생산량을 최대로 하는 구과의 최적 채취시기는 8월 초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균일한 묘목 생산에 기여하는 발아속도를 고려한다면 시기적절한 병해충 방제를 통해 종자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는 9월 초에 구과를 채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본잎갈나무 채종원에서 구과의 갈변 정도와 함수율은 구과 채취시기의 결정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저항성 콩 유전자원 탐색 (Screening of Resistant Genetic Resources to Stink Bug in Soybean)

  • 오세관;백인열;황필성;강성택;서득용;박금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0-145
    • /
    • 2007
  • 본 연구는 효율적인 콩 노린재 검정방법을 개발하고 저항성 유전자원 선발하여 콩 노린재 저항성 품종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영남농업연구소에 보존되고 있는 콩 유전자원 298자원을 공시하여 $2001{\sim}2004$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1. 1년차에 298개의 유전자원에 대하여 노린재 피해율을 조사하였더니, 40%정도의 피해율을 나타낸 품종이 가장 많았고, 10%이하로 피해율이 낮은 품종도 10개정도 선발되었다. 2. 전년도에 피해율이 비교적 낮은 102개의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2년차 선발을 수행한 결과, 12품종에서 10%미만의 낮은 노린재 피해율을 나타내었으며, 기타 대부분은$20{\sim}30%$의 피해율이었다. 3. 아울러 효율적인 노린재검정방법을 개발하고자 일품검정콩을 공시하여 콩 생육단계별 노린재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협비대기보다 종실비대기에서 노린재 피해협율이 급격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R6에서 35.5%로 노린재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4. 협피해율에 따른 저항성 유전자원을 선발한 결과는 Peking이 10.3%로 가장 낮았고, 소록콩, 황색준저리 및 소백나물콩 순서로 낮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종실에서도 유사하였으며, 공통적으로 소립종이 대립종에 비하여 저항성 정도가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5. 또한 노린재 기피반응을 구체적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Peking과 소록콩을 별도로 시험한 결과, R5시기에서는 Peking이 10.0% 및 소록콩이 14.2%의 피해율을 보였지만, R5.5시기를 넘어가면서 피해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콩 내부 조직적으로 노린재의 접근을 저지시키는 성분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6. 상기의 결과로부터 소록콩, 소백나물콩, Peking 및 황색준저리 등 4개의 저항성 유전자원은 금후 노린재에 대한 내충성 콩 품종개발을 위한 육종소재로서의 이용이 기대된다.

Effect of Paeonia lactiflora Pall. Seed Extracts and Forsythia viridissima Lindl. Extracts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Erythrocytes of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 Lee, Jeong-Min;Rhee, Soon-Ja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83-389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Paeonia lactiftora Pall. (PL) seed extracts and Forsythia viridissima Lindl. (FVL)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erythrocytes of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 10 g were randomly assigned to nine experimental groups and fed 0.5 % cholesterol. The HC group did not receive any supplement, while the MP group was supplemented with 0.1 % methanol extract of PL seed, the MP2 group with 0.2 % methanol extract of PL seed, the EP1 group with 0.05 % ether-soluble fraction of PL seed, the EP2 group with 0.1 % ether-soluble fraction of PL seed, the MS1 group with 0.05 % methanol extract of FVL, the MS2 group with 0.1 % methanol extract of FVL, the ES group with 0.025%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of FVL, and the ES2 group with 0.05 %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of FVL.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ad libitum for 3 weeks. The erythrocyte SOD activity in the EP1 and EP2 groups increased 38% and 5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HC group, while the erythrocyte GSHpx activity in the EP1, EP2, and ES2 groups increased 30%, 31 %, and 29%,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the HC group. The level of erythrocyte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P2, EP1, and EP2 groups than in the HC group, yet the level of serum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supplemented groups than in the HC group. The level of serum HDL-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P1 and EP2 groups than in the HC group, while the level of serum LDL- TBA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the supplemented groups than in the HC group. According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L seed extracts and FVL extracts reduced oxidative damage by activating the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the erythrocytes of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당근 종모 형질 관련 cDNA Library 작성 및 EST 분석 (Construction of cDNA Library and EST Analysis Related to Seed-hair Characteristics in Carrot)

  • 오규동;심은조;전상진;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82-789
    • /
    • 2013
  • 당근(Daucus carota L. var. sativa)은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작물 중 이며, 영양학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다. 하지만, 종자 표피세포에서 생성되는 종자모는 발아를 억제하고 흡수를 저해하여 육묘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파하기 위해 당근 종자는 기계적인 제모작업을 거쳐 상품화 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생산상의 여러 가지 단점들이 발생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단모종자 당근 품종의 육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66-13개체와 장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71-9개체 및 단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59-1 개체와 장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77-14개체 등 두 조합의 종자 cDNA library를 작성 후 EST 염기서열의 비교분석을 통해 당근 종자모 형질관련 연구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첫째로 EST 염기서열의 BlastX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EST를 FunCat 기능별 category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Metabolism category와 protein folding 및 stabilization, protein binding, C-compound binding category에서 2조합 모두 동일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EST 염기서열의 GO data를 바탕으로 seed trichome differentiation 및 cellulose biosynthetic process에 관련된 EST를 선발하였다. 이러한 FunCat category에서의 차이점과 GO data 분석을 통해 확인된 후보 EST 들이 당근 종자모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개체 별 EST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33개의 SNP site, 741개의 SSR site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SNP 및 SSR site는 당근 종자모 형성에 관련된 분자마커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당근의 여러 형질에 대한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당근 EST 염기서열을 이용한 종자모 형질 관련 SNP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SNP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Seed-hair Characteristic Based on EST Sequences in Carrot)

  • 오규동;심은조;전상진;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80-88
    • /
    • 2013
  • 당근(Daucus carota L. var. sativa)은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채소 작물 중 하나로 비타민 A 카로티노이드의 전구체로 잘 알려진 베타카로틴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영양학적으로도 중요한 작물이다. 하지만 당근 종자는 종피의 epidermal 세포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생성되는 종자모의 캐로톨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종자의 수분흡수와 발아가 억제된다. 따라서 당근 종자를 상품화하기 이전에 기계적인 종자모 제거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러한 과정 때문에 생산자는 종자의 물리적인 손실은 물론 시간과 노동력, 그리고 자본금과 같은 추가적인 손실을 감수해야만 한다. 그리고 종자의 물리적인 손실은 종자발아율을 불균일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무모종자 당근품종 개발을 위한 육종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육종과정을 위해 종자모 형질관련 분자표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단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59-1 개체와 유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677-14 개체, 그리고 단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66-13 개체와 유모종자 표현형 CT-ATR 615 OP 671-9 개체의 cDNA library를 각각 작성하였다. 또한 각각의 개체별로 1,248개의 EST, 합계 4,992개의 EST를 sequencing하였다. 단모종자와 유모종자 개체의 EST sequence들을 2개의 조합에서 각각 비교 분석하여 19개의 SNP site, 14개의 SNP site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SNP site에 대한 High Resolution Melting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HRM 프라이머들은 유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1040 개체군과 무모종자 표현형 CT-SMR 616 OP 1024, 1025, 1026 개체군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중 한세트의 HRM 프라이머에서 유모 및 단모종자 표현형 개체군들의 melting curve간 특이적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모종자 당근 및 단모종자 당근간의 보다 간편한 선발을 위해 allele-specific PCR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HRM 및 AS-PCR 결과는 무모종자 당근육종에 있어 유용한 분자표지로써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Occurrence of Apple stem grooving virus in commercial apple seedlings and analysis of its coat protein sequence

  • Han, Jae-Yeong;Park, Chan-Hwan;Seo, Eun-Yeong;Kim, Jung-Kyu;Hammond, John;Lim, Hyoun-Sub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21-27
    • /
    • 2016
  • 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 and Apple stem pitting virus (ASPV) have been known to induce top working disease causing economical damage in apple. Occurrences of these three viruses in pome fruit trees, including apple, have been reported around the world. The transmission of the three viruses was reported by grafting, and there was no report of transmission through mechanical contact, insect vector, or seed except some herbaceous hosts of ASGV. As RNA extraction methods for fruit trees,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multiplex RT-PCR techniques have been improved for reliability and stability, and low titer viruses that could not be detected in the past have become detectable. We studied the seed transmission ability of three apple viruses through apple seedling diagnosis using RT-PCR. Nineteen seeds obtained from commercially grown apple were germinated and two of the resulting plants were ASGV positive. Seven clones of the amplified ASGV coat protein (CP) genes of these isolates were sequenced. Overall sequence identities were 99.84% (nucleotide) and 99.76% (amino acid). Presence of a previously unreported single nucleotide and amino acid variation conserved in all of these clones suggests a possible association with seed transmission of these 'S' isolates.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using ASGV CP nucleotide sequences showed that isolate S sequences were grouped with Korean, Chinese, Indian isolates from apple and Indian isolates from kiwi.

초저온 저장이 다릅나무 종자의 발아와 유묘의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yopreservation on the Seed Germination and Growth Properties of Seedlings of Maackia amurensis)

  • 한심희;김찬수;장석성;이현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5-81
    • /
    • 2004
  • 본 연구는 산림 수목 종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초저온 동결 조건을 적용하고, 초저온 저장 후에 나타나는 종자의 발아 특성 및 유묘의 생장 특성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리화 과정을 기초로 한 초저온 저장은 다릅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크게 감소시켰으나, 초저온 저장 전 동결보호제 처리와 초저온 저장 후의 빠른 해빙은 종자의 발아율 감소를 완화시켰다. 초저온 저장 전 동결보호제 노출 시간은 종자의 발아율에 영향을 주었다. 즉 동결보호제 노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종자의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초저온 저장 기간은 종자의 발아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동결보호제의 노출 시간과 초저온 저장 기간은 유묘의 생장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수목 종자의 초저온 저장은 조직의 손상이나 변형이 없이 장기간 저장할 수 있는 현지 외 보존 기술로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산림 종자의 보다 효율적인 초저온 저장을 위해서는 각 수종의 종자 특성에 맞는 동결보호제 및 처리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