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angl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seed orientation on the growth behavior of single grain REBCO bulk superconductors

  • Lee, Hee-Gyou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13
    • /
    • 2017
  • This study presents a simple method to control the seed orientation which leads to the various growth characteristics of a single grain REBCO (RE: rare-earth elements) bulk superconductors. Seed orientation was varied systematically from c-axis to a-axis with every 30 degree rotation around b-axis. Orientations of a REBCO single grain was successfully controlled by placing the seed with various angles on the prismatic indent prepared on the surface of REBCO powder compacts. Growth pattern was changed from cubic to rectangular when the seed orientation normal to compact surface was varied from c-axis to a-axis. Macroscopic shape change has been explained by the variation of the wetting angle of un-reacted melt depending on the interface energy between $YBa_2Cu_3O_{7-y}$ (Y123) grain and melt. Higher magnetic levitation force was obtained for the specimen prepared using tilted seed with an angle of 30 degree rotation around b-axis.

The Effect of Seed on Top-seeded Melt-growth (TSMG) Processing of a RE-123 Superconductor

  • O, Yong-Taeg;Sung, Tae-Hyun;Jeong, Nyeon-Ho;Kim, Chan-Joong;Shin, Dong-Chan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9권1호
    • /
    • pp.115-118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seed crystals with miscut angles and pretreatm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a RE-123 superconductor processed by a top-seeded melt-growth (TSMG) method. When the seed crystal was heat-treated in an oxygen atmosphere, the surface structure was cleaned removing hydroxide. When the seed crystal had a miscut angle, in addition, the surface structure showed a well defined hill-and-valley structure after heat-treatment. A better microstructure, with a well-distributed small RE-123 phase, was obtained using a high miscut angle after heat-treatment in an oxygen atmosphere. As a result of the microstructure improvement, the magnetic characteristics also improved. The experimental result can be explained by reduction of nucleation activation energy.

  • PDF

Moisture-dependent Physical Properties of Detarium microcarpum Seeds

  • Aviara, Ndubisi A.;Onaji, Mary E.;Lawal, Abubakar A.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0권3호
    • /
    • pp.212-223
    • /
    • 2015
  • Purpose: Physical properties of Detarium microcarpum seeds were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moisture conten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bulk handling and processing equipment. Methods: Seed size, surface area, and 1,000-seed weight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hree principal axes, measuring area on a graph paper, and counting and weighing seeds. Particle and bulk densities were determined using liquid displacement and weight in a measuring cylinder, respectively. Porosity was computed from particle and bulk densities. Roundness and sphericity were measured using shadowgraphs. Angle of repose and static and kinetic coefficients of friction were determined using the vertical cylindrical pipe method, an inclined plane, and a kinetic coefficient of friction apparatus. Results: In the moisture range of 8.2%-28.5% (db), the major, intermediate, and the minor axes increased from 2.95 to 3.21 cm, 1.85 to 2.61 cm, and 0.40 to 1.21 cm, respectively. Surface area, 1,000-seed weight, particle density, porosity, and angle of repose increased from 354.62 to $433.19cm^2$, 3.184 to 3.737 kg, 1060 to $1316kg/m^3$, and 30.0% to 53.1%, respectively, whereas bulk density decreased from 647.6 to $617.2kg/m^3$. Angle of repose increased from $13.9^{\circ}$ to $28.4^{\circ}$. Static and kinetic coefficients of friction varied between 0.096 and 0.638 on different structural surfaces. Conclusions: Arithmetic mean, geometric mean, and equivalent sphere effective diameters determined at the same moisture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the arithmetic mean diameter being greatest. Surface area, 1,000-seed weight, particle density, porosity, and angle of repose all increased linearly with moisture content. Bulk density decreased linearly with moisture content. The coefficients of friction had linear relationships with moisture content. The highest values of static and kinetic coefficients of friction were observed on galvanized steel and hessian fabric, respectively, whereas the lowest values were observed on fiberglass.

기계시각을 이용한 대립종자의 씨눈위치 판정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the Embryo Location of Seed by using Machine Vision)

  • 김동억;손재룡;장유섭;장익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0-95
    • /
    • 2004
  • 대립종자의 자동정렬파종기의 씨눈위치 자동판정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서 수행된 이 연구는 기계 시각을 이용하여 대립종자의 씨눈 위치가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앞 또는 뒤쪽 어느 쪽에 위치해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함이다. 참박, 특토좌, 흑종에 대한 씨눈위치를 판정하기 위하여 종자의 공급자세에 따른 판정정도를 조사하였다. 참박의 경우 공급자세가 $30^{\circ}$ 경우에는 77.8%의 정확도를 나타냈지만,$ 0^{\circ}$$15^{\circ}$때는 100% 검출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특토좌의 경우 공급자세 $30^{\circ}$에서 89.5%, $0^{\circ}$$15^{\circ}$에서는 100%의 판정 정확도가 나타났다. 흑종의 경우에 있어서는 공급자세 $30^{\circ}$에서 94.4%이었고 나머지는 100%의 정확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정렬파종장치의 공급부에서 종자가 공급될 때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 $30^{\circ}$ 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15^{\circ}$까지 기울어진다 해도 씨눈위치를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파종장치의 한 부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사층 반응기의 원뿔각에 따른 Jatropha Curcas L. Seed Cake의 급속열분해 특성 (Fast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Jatropha Curcas L. Seed Cake with Respect to Cone Angle of Spouted Bed Reactor)

  • 박훈채;이병규;김효성;최항석
    • 청정기술
    • /
    • 제25권2호
    • /
    • pp.161-167
    • /
    • 2019
  •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를 위하여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형태의 반응기가 개발되었다. 급속열분해 공정의 반응기는 유동층 반응기가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분사층 반응기를 이용한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 특성에 대한 연구가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분사층 반응기의 유동화 특성은 입자의 물리적 특성, 유체 제트의 속도, core와 annulus의 구조에 영향을 받으며, 반응기의 기하학적 구조는 분사층 내부의 core와 annulus 구조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이다. 따라서 분사층 반응기의 최적설계를 위해서는 열분해 반응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 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분사층 반응기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한 바이오매스의 급속열분해 특성은 자세히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분사층 반응기의 원뿔각과 반응 온도 변화에 따른 Jatropha curcas L. seed shell cake의 급속열분해 실험을 수행하여 분사층 반응기의 최적 형상과 반응 온도를 도출하였다. 실험결과, 열분해 오일의 에너지 수율은 반응 온도 $450^{\circ}C$, 분사층 반응기의 원뿔각 $44^{\circ}$에서 6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분사층 반응기 내 고체입자의 열전달과 기체상 열분해 생성물의 체류시간은 원뿔각의 영향을 받아 열분해 생성물의 수율 및 열분해 오일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화 인자를 이용한 퍼지제어기의 설계방법에 관한 연구 (A Fuzzy Logic Controller Design Method using Characteristic Parameters)

  • 김영선;조형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197-197
    • /
    • 2000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method for design of fuzzy Logic controllers by defining a set of characteristic parameters (CFLCS). These parameters are extracted and defined by examin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FLCs and parameterizing those. Based upon this formulation, a series of simulations is conducted for plants having simple dynamics in order to see the performance of this proposed method. The simplicity and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are discussed in detail.

  • PDF

반복최적화 무감독 분광각 분류 기법을 이용한 하이퍼스펙트럴 영상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with the Iterative Self-Organizing Unsupervised Spectral Angle Classification)

  • 조현기;김대성;유기윤;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121
    • /
    • 2006
  • 분광각(Spectral Angle)을 이용한 분류는 같은 종류의 지표 대상물의 분광 특성이 대기 및 지형적인 영향으로 인해 원점을 기준으로 유사한 분광각을 가지며, 선형적인 분포 모양을 가진다는 가정에 기초한 분류 방식이다. 최근 분광각을 이용한 무감독 분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하이퍼스펙트럴 데이터의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무감독 분류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하이퍼스펙트럴 영상 분류에 있어서 기존 무감독 분광각 분류(USAC, Unsupervised Spectral Angle Classification)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보완한 반복최적화 무감독 분광각 분류(ISOUSAC, Iterative Self-Organizing USAC)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무감독 분광각 분류에 적합한 각 분할(Angle Range Division) 기법을 적용하여 군집 초기 중심을 설정하였고, 군집 중심 계산에 있어서 각 중심을 이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병합(Merge)과 분할(Split)를 통한 유동적인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통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기법보다 수행 시간뿐 아니라 시각적, 정량적인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분광각을 이용한 군집 유효성 지수(Validity Index)를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무감독 분광각 분류와 정량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자동회전 비행을 하는 단풍나무 씨앗의 항공역학적 특성 (Aerodynamic Features of Maple Seeds in the Autorotative Flight)

  • 손명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843-852
    • /
    • 2016
  • 실제 씨앗의 3차원 형상과 운동요소에 기반하여 단풍나무(Acer palmatum 종) 씨앗의 자동회전 비행을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운동요소의 표준 값은 낙하속도는 1.26 m/s, 회전속도는 133.6 rad/s (1,276 rpm), 코닝 각은 $19.4^{\circ}$, 피치 각은 $-1.5^{\circ}$이다. 씨앗 날개의 스팬 안쪽에 위치한 컴팩트한 앞전 와류가 씨앗 날개 바람 반대면에 커다란 부압을 발생하게 하였다. 부압의 피크는 안쪽 스팬 단면 앞전 부근에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현저한 앞전 와류로 특징되는 흐름 형태와 공기력 계수의 값은 동적 상사를 갖도록 한 로봇 씨앗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측정한 자료와 잘 일치하였다. 바람 반대 영역에 발달한 나선형 와류는 씨앗 끝을 향하여 전진하고 씨앗 끝 부분에서 이곳을 지나는 흐름과 합쳐지는데, 이와 같은 흐름이 자동회전하는 단풍나무 씨앗의 안정되고 부착된 LEV를 유지하게 하는 메카니즘으로 여겨진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한국잔디류(Zoysia spp.)의 분포 및 형태적 특성 (Distribution and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Native Zoysiagrasses (Zoysia spp.) Grown in South Korea)

  • 배은지;박남참;이광수;이상명;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7-105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해안 및 도서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한국잔디류를 지역별로 수집하여 형태적 특성 및 지역별 변이 정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유전자원 보존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16개시 군 단위에서 159개체 자생 한국잔디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의 초장, 엽폭, 엽장, 엽각도, 종자길이, 종자폭, 종자길이와 폭의 비 및 화수당 종자수 등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Z. japonica류, Z. sinica류, Z. macrostachya류, Z. matrella류 등은 수집된 지역에 따라 초장, 엽장, 엽각도, 화수당 종자수 등에서 큰 변이를 보였다. 반면에 엽폭, 종자길이, 종자폭, 종자길이와 폭의 비율 등에서는 큰 변이를 보이지않았다. 중간적 형태를 보이고 있는 hybrid zoysiagrass류는 조사 형질 간에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상기 형태적 특성 조사 결과 및 수집된 유전 자원들은 앞으로 고품질 잔디육종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