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ing

검색결과 519건 처리시간 0.02초

Improvement of Lipid Oxidation Stability of Seasoned Pork and Formula Development of Seasoning Sauce for Pork Bulgogi with Doenjang and Onion Using Mixture Experimental Design

  • Oh, Hyun-Ju;Kim, Chang-Soon;Chang, Duk-J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772-779
    • /
    • 2008
  • The antioxidative effect of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and onion added in the seasoned pork, bulgogi was evaluated and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ingredients in seasoning sauce has been established using mixture experimental design (MED). When the seasoned pork, bulgogi was prepared with soy sauce 12% (control), doenjang 9% (in replacement of soy sauce 9%) added group (DG), and doenjang 9% and onion 33.4% (in replacement of water 33.4%) added group (DOG), and stored at $-25^{\circ}C$ for 6 months, the peroxide value (POV)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of control, DO, and DOG were all lower than that of control from the initial stage of storag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seasoned pork was found to increase with the replacement of doenjang in seasoning sauce for pork bulgogi. Moreover, antioxidative effects in DOG increased more synergistically. Therefore, the lipid oxidation stability of pork bulgogi was improved by the addition of doenjang and onion onto the seasoning sauce.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seasoning sauce for pork bulgogi followed up by the MED was found to be doenjang 7.10%, soy sauce 9.46%, onion 19.72%, and water 42.58% with excellent sensory quality.

달맞이꽃 발효액을 이용한 양념육 소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at seasoning sauce containing fermented Oenothra biennis juice)

  • 안유복;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6-521
    • /
    • 2016
  • 달맞이꽃 발효액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달맞이꽃 발효액을 이용한 양념육 소스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발효액을 각각 5%, 10%, 15% 첨가한 양념육 소스의 pH는 5.23~5.37을 나타내었고, 유리당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색도는 L, a, b값 모두 발효액 첨가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지방산패억제능은 발효액 첨가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총균수는 3.35~3.69 log CFU/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나,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발효액 5% 첨가 양념육 소스가 맛, 색 그리고 종합적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발효액첨가 양념육 소스의 $10^{\circ}C$에서 25일간 저장 기간중 소스의 pH는 뚜렷한 변화를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도 역시 저장 초기수준(0.6%)을 유지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총균수는 급격한 증가현상은 관찰되지 않아 저장 25일째에 총균수는 3.62~3.83 log CFU/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대장균군은 모든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솔잎 닭고기 양념육의 냉장동안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s of Seasoning Chicken Containing Pine Needles During Cold Storage)

  • 김창렬;김광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7-52
    • /
    • 2007
  • 천연 향미물질로서 솔잎을 이용한 닭고기 양념육의 제조 후 $4^{\circ}C$ 저장 동안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솔잎 처리군은 뒷맛이 깔끔하고 은은한 솔잎향의 풍미를 생성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대조군 보다 높게 등급 되었다. pH는 저장 6일 후 처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육즙유출 율은 저장 24시간 후 처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Staphylococcus aureus의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위생적 닭고기의 생산기술의 적용 또는 양념육 제조과정에서의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의 연구가 요구되었다. 솔잎처리군의 육색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0.5-1.3% 솔잎 처리군의 Hunter color $L^*$가는 저장 6일 후 대조군과 유의적 차이(p>0.05)가 없었다. 저장 6일 후 0.8-1.3% 솔잎 처리군의 Hunter color $a^*$가는 0.5% 솔잎 처리군과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적 차이(p<0.05)를 나타내었다. Hunter color $b^*$가는 저장 6일 후 처리군 사이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p>0.05), 처리군은 대조군 보다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대파 향미유의 원재료 부위별 향미특성 (Flav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arts of Raw Materials on Allium fistulosum L. Seasoning Oil)

  • 구본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65-469
    • /
    • 2005
  • 대파를 부위별로 분획하여 대파 전체, 잎, 줄기, 뿌리를 동량 처리하여 각각 autoclaving법에 의하여 대두유를 기질로 WOSO를 제조하였다. 이들 4종 WOSO의 이화학적 특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파 잎향미유의 경우 Lovibond 색상에서 고유의 청색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내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총 35종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향기성분은 methyl propenyl trisulfide와 propenyl propyl trisulfide이었으며, 각각 대파 뿌리향미유에서 가장 높은 26.94 ppm, 26.26 ppm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propenyl propyl disulfide 등이 WOSO의 향미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성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arbonyl 화합물 함량은 각각 79.46 ${\mu}g$, 77.17 ${\mu}g$, 76.32 ${\mu}g$, 73. 62 ${\mu}g$이었다. 결론적으로 WOSO에서 고유의 구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부위는 잎이나 줄기가 아니라 뿌리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추를 이용한 생선용 복합 분말 조미료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of Mixed Seasoning Products for Fish Dishes using Korean Chili Peppers(Capsicum annuum L.))

  • 이슬;김민경;유경미;박재복;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137
    • /
    • 2011
  • 미국산 복합 분말 조미료에 기초하여 수출용 고부가가치 고추 가공 제품으로 생선용 복합 분말 조미료를 개발하였다. 한국산 고춧가루와 한국 고유의 재료인 유자, 버섯, 그리고 마늘을 첨가하여 짠맛과 단맛, 매운맛을 조화롭게 하여 맛의 차별화를 유도하였고, 생선의 비린내를 제거하였다. 수출용 생선 복합 분말 조미료 AI는 한국산 고춧가루(20%), 오레가노, 파슬리, 타임, 흑후추 등의 총 허브류(31.7%), 소금(11.5%), 유자(2.8%), 버섯(8.6%), 마늘(5.8%)의 식품 재료로 구성되었고, 그 외 파프리카, 설탕, 올리브 오일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기호도 평가에서 개발된 샘플(AI)은 미국산 복합 분말 조미료 제품보다 선호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저장 방법에 따른 불고기 양념장의 저장성 (Shelf-life of Bulkogi(Roast Beef) Seasoning on the Different Storage Conditions)

  • 고하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7-171
    • /
    • 1998
  • Bulkogi(roast beef) seasoning stored without cap at 5$^{\circ}C$ and 23$^{\circ}C$ and within capped boule at 5$^{\circ}C$, 23$^{\circ}C$, 38$^{\circ}C$, 48$^{\circ}C$ and heat cycling(38$^{\circ}C$-1 week and 5$^{\circ}C$-1 week) and investigated sensory quality, pH, VBN, amino-N, surface color, and viable cell counts during 6 month storage. Nonpackaged Bulkogi seasoning was deteriorated by molds after 2 weeks at 23$^{\circ}C$ but did not showed any significant quality changes at 5$^{\circ}C$ for 1 month. Sensory scores of packaged sample rapidly declined with the temperature increase but chemical criteria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storage time.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scores and chemical parameters was not found, but sensory scores on color was correlated with lightness(L. value) of surface color(r=0.899). Heat cycle storage resulted in similar changes in quality to 38$^{\circ}C$ storage. Ql0 values calculated by sensory evaluation results as a quality index was 6, and the shelf-life of packaged Bulkogi seasoning was predicted 88 months at 23$^{\circ}C$.

  • PDF

A Method for Making Kimchi Containing Snow Crab in a COVID-19 Environment

  • CHOI, Eun-Mee;KWON, Lee-Seung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1호
    • /
    • pp.9-2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imchi recipe for immunity enhancement using snow crab, which has high food value in the era of COVID-19.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now crab kimchi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study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kimchi seasoning containing snow crab seasoning and chitosan powder. Kimchi seasoning is made by adding 5 parts by weight of crab seasoning and 1 part by weight of chitosan pow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ic kimchi seasoning prepared by mixing radish, minced garlic, minced ginger, onion juice, anchovy sauce, red pepper powder and glutinous rice paste. Results: It was possible to develop new flavors, possi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snow crab kimchi by extending the health and functional effects, taste, and preservation period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unique manufacturing method, taste and function of kimchi, including snow crab. Conclusions: Snow crab kimchi was excellent in taste and aroma while enhancing the health functions of the body, such as improving people's immunity. The developed snow crab kimchi manufacturing method can not only improve people's health, but also expand the choice of preference for kimchi taste and shelf life.

장아찌의 종류와 저장기간에 따른 나트륨 함량 변화 - 건더기와 양념(국물)의 구분 분석법을 적용하여 - (Changes in Sodium Content by Type of Jangajji and Length of Storage Period-By Applying an Analysis Technique to Differentiate Solid Ingredients from Seasoning Liquid-)

  • 최지유;김소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8-9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accurate estimate of sodium intake from jangajji by examining the changes in sodium content according to the type of jangajji and the length of storage period, specifically differentiating between the solid ingredients and the seasoning liquid. It focused on six types of jangajji: chili pepper, perilla leaf, onion, radish, garlic scape, and cucumber. The sodium content in the solid ingredients and the seasoning was measured using a salinometer and ICP-A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cross all types of jangajji, the seasoning liquid consistently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odium than the solid ingredients. When comparing the sodium content measured by ICP-AES with that from a salinometer, the salinometer reading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both the solid ingredients and the seasoning liquid in all types of jangajji. Additionally, when comparing the sodium content of the solid ingredients with that listed in the nation's representative nutritional databases, a substantial discrepancy was noted, with some cases potentially overstating the actual sodium intake from jangajji.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an urgent review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and resolve the causes of such discrepancies and accurately estimate the actual sodium intake from jangajji.

녹차와 기능수를 이용한 기능성 양념 계육 개발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Chicken Products using Natural Extracts of Green Tea and Water Soluble Mineral Ion)

  • 성삼경;조영석;김은주;김수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1-179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천연 추출물중 항산화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선발하여 계육 양념육 제품을 개발하고, 둘째. 양념육의 침투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용성 미네랄 성분과 Ge-132를 이용하여 양념계육 제품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게르마늄, 녹차, 수용성 미네랄 및 녹차+게르마늄+수용성 미네랄 복합 첨가 양념 닭고기 제품의 이화학적 결과를 보면, pH는 염지전 가슴부분이 6.00~5.94, 다리부분이 6.55~6.38로 염지 기간 중 처리구간의 pH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닭고기 부위에 따른 차이는 가슴부분보다 다리부분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염도와 당도는 염지기간 중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염도의 경우 염지 24시간째 대조구의 가슴과 다리부분이 각각 1.11%, 1.21%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용성 미네랄 첨가구 모두 저장 6시간과 12시간째 대조구의 염도보다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당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대조구 24시간째 19.94 brix, 18.89 brix를 저장 6시간째 천연물과 기능수 첨가구 모두 가슴과 다리부분에서 높은 당도를 나타내었다. 가열조리 후 각 처리양념 닭고기제품의 경도 변화는 대조구에 비하여 모든 처리구가 부위에 관계없이 낮은 값을 나타내 었으며 특히, 녹차 첨가구는 가슴부분과 다리부분이 각각 122.59, 142.59kg/$cm^2$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균성의 경우 대조구의 가슴부분 4.23CFU/g, 다리부분 4.24CFU/g에 비하여 가슴부분은 녹차 첨가구가 3.76CFU/g, 녹차+게르마늄+수용성 미네랄 복합첨 가구가 3.61CFU/g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다리부분은 녹차 첨가구가 3.49CFU/g, 녹차+게르마늄+수용성 미네랄 복합 첨가구가 3.55 CFU/g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화도의 경우는 부위에 관계없이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었고 특히, 녹차 첨가구가 가슴부분 0.43, 다리부분 0.47로 TBARS값이 낮게 나타났다. 다즙성, 연도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녹차, 수용성 미네랄 및 녹차+게르마늄+수용성미네랄 복합 첨가구가 양념 닭고기제품의 다리와 가슴부분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조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1462.7mg에 비하여 녹차첨가구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661.46 mg으로 증가하였고, 고기의 추출물에서 맛과 풍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녹차 첨가구가 534.24mg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우육지방질의 변화에 미치는 불고기 조미료의 항산화작용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Effect of Seasoning on the Lipid Oxidation of BULGOGI Cooked Meat)

  • 신덕규;이용억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1
    • /
    • 1990
  • The study was observed that anti oxidation effect of each and mutual relation on BULGOGI seasoning in Fore shank and Ribs. Each antioxidation effect were appeared to higher in suger, pear juice, soya souce, clean wine, sesamed oil, green onion, toeasted sesamed powder, black pepper, garlic im seasoned immidiately. Soya souce was revealed to higher effect anti oxidation in storaged beef among 30 minuit after seasoned. In storaged sample among 9 hour after seasoned was showed to higher effect in soya souce & galic. Mutual relation of two seasoning in BULGOGI seasoning were revealed to higher effect in mixture of green onion & ga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