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grass be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잘피(Zostera marina)서식지 복원을 위한 최적 이식방법 및 시기 선정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the Optimal Transplanting Method and Time for Restoration of Zostera marina Habitats)

  • 박정임;김영균;박상률;김종협;김영상;김정배;이필용;강창근;이근섭
    • ALGAE
    • /
    • 제20권4호
    • /
    • pp.379-388
    • /
    • 2005
  • Seagrass bed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providing food and shelter to a wide variety of fauna. Recently, seagrass coverage has declined significantly due to anthropogenic influences such as reclamation, dredging, and eutrophication and consequently, necessity of seagrass habitat restoration is rising. Transplantation experiments with Zostera marina using TERFS, staple method, and shell method have been conducted at Dadae Bay, Kosung Bay and Jindong Bay on the south coast of Korea to select an optimal transplanting method for restoration of Z. marina habitat. Three experimental sites located at the vicinity of natural Z. marina beds with an average water depth of about 4m. Z. marina plants, which were collected from donor bed in Koje Bay were also transplanted at 7 different time from October 2003 to July 2004 to find appropriate transplanting time. Density of Z. marina was monitored monthly at both transplanted areas and natural beds. Transplantation using the staple method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of transplant. Shell method was also an effective transplanting method at muddy areas in Kosung Bay and Jindong Bay, but not suitable at sandy areas in Dadae B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diment composition of transplanting area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selection of the optimal transplanting method. Z. marina transplanted during fall usually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while most Z. marina plants transplanted in summer died due to high lethal temperature during this period.

거머리말 (잘피) 서식지의 고주파 후방산란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Frequency Backscattering Strength by Zostera Marina (Seagrass) Bed)

  • 윤관섭;나정열;라형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7-102
    • /
    • 2005
  • 해저 경계면에 서식하는 거머리말 (Zostera marina : 잘피)의 후방산란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음향 실험을 실시하였다. 해상실험은 남해 동대만에서 거머리말의 광합성 시 발생되는 산소 공기방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주간과 야간에 실시하였다. 다중 주파수 (30$\~$120 kHz)에 대한 주파수 응답특성을 측정하였고 단일 주파수 (120 kHz)를 이용하여 거머리말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는 후방산란강도의 분포를 확률밀도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로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다중 주파수에 대한 주파수 의존성과 주$\cdot$야간 산란강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거머리말 움직인에 대한 산란강도의 분포 양상은 가우시안 확률밀도 함수 (Gaussian PDF)로 특성을 나타냈다 주$\cdot$야간 산란강도의 차이는 광합성에 의해 생성된 산소 공기방울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되었다.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Seagrass Bed of Aenggang Bay in the South Sea of Korea)

  • 이승환;이용득;신민규;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49-259
    • /
    • 2016
  •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에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형 지인망을 이용하여 월별 어류군집의 특징 및 종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6목 22과 35종 3,174개체, 3,137 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날개망둑, 미역치 순으로 채집되었다. 앵강만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들은 시기를 달리하여 출현하였으며, 채집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은 유어였다. 우점종의 출현 양상을 고려할 때 유어는 수심이 얕은 잘피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성장함에 따라 보다 깊은 수심의 잘피밭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앵강만 잘피밭에서는 남해안 잘피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날 매퉁이, 쑤기미, 꼬치고기 그리고 흰점꺼끌복이 채집되었다.

한국연안 3개 해초지 표층수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계절 변화 (Seasonal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Three Korean Seagrass Beds)

  • 이상용;이인우;최청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95-105
    • /
    • 2006
  • 해초지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2년 10월, 2003년 1월, 3월과 6웜에 남해안의 동대만과 앵강만, 그리고 서해안의 승봉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 그리고 환경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수온, 염분, 부유물질, chlorophyll a, 해초의 지상부 생물량, 용존무기질소와 용존무기인의 농도는 조사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초지에서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은 총 3문 3과 4목 16과 27속 65종이 동정되었다. 해초지에서는 규조류가 50종, 와편모조류가 14종, 그리고 규질편모조류가 1종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Coscinodiscus속과 Thalassiosira속의 분류군들이 조사기간 동안 우점 출현하였으나, Peridinium granii, Eucampia zodiacus와 Pleurosigma elongatum은 계절에 따라 우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0.6{\times}10^3{\sim}21.1{\times}10^3\;cells\;l^{-1}$ 범위로 동대만에서 6월에 가장 낮았으며, 앵강만에서 3월에 가장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과 현존량은 다른 남 서해 연안보다 단순하고 낮게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용존 무기질소와 무기인의 농도는 규조류 현존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aptation success of Zostera marina to a new transplant environment

  • Li, Wen-Tao;Lee, Kun-Seop
    • ALGAE
    • /
    • 제25권1호
    • /
    • pp.27-35
    • /
    • 2010
  • Marked declines in seagrass meadows are increasingly being reported from coasts around Korea and many regions of the world. The transplantation of seagrasses has been attempted to mitigate and control their degradation from a range of anthropogenic factors. In this study, Zostera marina shoots, which were collected from a donor bed in Koje Bay, were transplanted in Jindong Bay in December 2004. In 2008, a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shoot morphology, growth, and reproduction strategy of Z. marina was carried out between the donor and transplant sites to assess their adaptation success. Shoot height, individual shoot weight, and leaf productivity at the transplant sit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at the donor site. However, below-/aboveground tissue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at the transplant site compared to the donor site. Z. marina survival was maintained through vegetative reproduction, while peak season for lateral shoot recruitment was late winter for both donor and transplant site populations. However, vegetative reproduction mainly occurred during late winter and spring at the transplant site, whereas lateral shoots were evident across all seasons except late spring in the donor site. More pronounced seasonal variations were found at the transplant site compared to the donor sit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Z. marina populations at the two sites possess distinct phenotypic variations induced by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Z. marina transplants have adapted well to the new transplant environment.

잠수관찰을 통한 경남 통영 연안의 어류상 (Fish Assemblages by SCUBA Observations in the Water off Tongyeong, Korea)

  • 곽우석;이승환;이용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0-109
    • /
    • 2016
  • 경남 통영 영운리 연안에서 어류상 및 분포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매월 잠수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은 수심과 저질에 따라 5개의 서식지로 분류하였다; (1) 수심 0~2 m의 사질지역, (2) 수심 2~5 m의 잘피밭, (3) 수심 0~2 m의 암반 노출지역, (4) 수심 2~5 m의 암반지역, (5) 수심 5~8 m의 펄질 지역. 조사 기간 동안 총 26과 43종 1,673개체의 어류가 관찰되었다. 출현 종수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11월에 가장 많았고 이후 12월에 감소하여 1월에 가장 적었다. 망둑어과는 7종이 출현하여 출현 종수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양볼락과가 4종 출현하였다. 개체수에서는 망상어과가 총 개체수의 26.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양볼락과 19.9%, 망둑어과 19.3%였다. 우점종은 볼락 (Sebastes inermis)이며, 아우점 종으로는 망상어 (Ditrema temminckii)와 인상어 (Neoditrema ransonnetii)였다. 어류의 종수와 개체수는 수심 2~5 m의 잘피밭과 암반지역에서 가장 많았고 수심 0~2 m의 사질지역에서 가장 적었는데 이는 어류가 잘피밭과 암반지역을 서식지로 선호한다고 할 수 있다.

First Record of Paramenophia platysoma (Copepoda: Harpacticoida: Thalestridae) from Korea, with Notes on the Morphology of the Genus

  • Kim, Jong Guk;Choi, Hyun Ki;Yoon, Seong Mye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3권3호
    • /
    • pp.176-188
    • /
    • 2017
  • Paramenophia platysoma (Thompson and Scott, 1903) is newly reported from Korean waters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several seagrass and algal bed habitats. The Korean materials of P. platysoma in the present study coincide well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of the species with respects to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first, fourth, and fifth legs, and in most respects to P. platysoma sensu $Gam{\hat{o}}$ (1969) reported from Japan except for the antennary exopod. However, they show some differences to P. platysoma sensu Pallares (1973, 1975) reported in Argentina, in terms of the morphology of the fifth leg in females and the second leg in males.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P. platysoma are provided for both sexes.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Paramenophia species are discussed and a key to the species of genus is provided.

Two unrecorded marine nematode species of Paracanthonchus (Nematoda: Cyatholaimidae) from the East Sea of Korea

  • Lee, Hyo Jin;Jung, Jongwoo;Rho, Hyun So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503-513
    • /
    • 2016
  • Two unrecorded marine nematode species, belonging to genus Paracanthonchus Micoletzky, 1924,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rocky intertidal seagrass bed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Paracanthonchus macrodon (Ditlevsen, 1918) is characterized by presence of cuticular differentiation, strongly dilated gubernaculum with numerous cusps, three post-cloacal setae, and arrangement of six (4+2) precloacal supplement. Paracanthonchus kamui Kito, 1981 is distinguished from other species of the genus by having the 4.25 turns amphideal fovea, six tubular supplement, rib-shaped gubernaculums with proximally hook-shaped and distally broaden. In this study, we provide taxonomic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of two un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Paracanthonchus by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y.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pecies of the genus Paracanthonchus from Korea.

화진포 기수호에 해산식물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Seagrass (Zostera marina L., Zosteraceae) Bed in the Brackish Lake Hwajinpo, Korea)

  • 이상용;권천중;허승;최정일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36-341
    • /
    • 2000
  • 자연 기수호인 화진포호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의 분포와 생육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6월과 2000년 7월에 식물체와 퇴적물을 채집하여 수질과 함께 분석하였다. 거머리말 초지의 분포는 해수와 담수의 수체의 소통이 원활한 지역으로 수심 $0.8{\sim}l.5\;m$에 서식하였으며, 초지의 면적은 약 $3,200\;m^2$로 해안과 연결되는 호수 입구 쪽을 따라 길게 분포하였다. 서식지의 염분은 $8.0{\sim}23.0%_o$, 수온은 $22.0{\sim}23.7{\circ}C$, pH는 $8.34{\sim}8.62$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염의 농도는 인접한 해양의 거머리말 생육지 보다 낮았다($TN:\; 24.34\;{\mu}M$, NH_4-N:\;2.57\;{\mu}M$, $NO_3-N:\;0.56\;{\mu}M$, $NO_2-N:\;0.27\;{\mu}M,$, $TP:\;2.08\;{\mu}M$, $PO_4-P\;:\;0.34\;{\mu}M$). 조사지역의 부유형물질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의 농도는 62.8 mg/l이였으며, 입자성유기물질 (particulate organic matter, POM)은 평균 21.3mg/l로서 평균 33.9%의 부유 유기물 함량을 나타내었다. 서식지의 퇴적환경은 4 cm까지는 호기성이었으며, $3.13{\varphi}$의 세립한 사질로 구성되었다. 식물체의 외부 형태는 협엽성 거머리말의 형태적 특징을 나타내었으며,식물체의 길이는 $70.0{\sim}126.5\;cm$, 잎 너비는 $5{\sim}7\;mm$의 범위로 나타났다. 단위 면적당 서식밀도는 $264{\sim}296$개체이었으며, 개체당 건중량은 $1.26{\pm}0.75g$로 나타났다 화진포호의 거머리말 초지의 생물량은 $332.6{\sim}373.0g/m^2$의 범위이었다. 한반도에서 거머리말의 생육환경은 기수호인 화진포호까지 분포되었으며, 형태학적인 특징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 PDF

경남 통영 한산도 여차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Eelgrass Bed of Yeocha on Hansando Island, Tongyeong-si, Southern Korea)

  • 박세웅;김준섭;이용득;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2-30
    • /
    • 2021
  • 이 연구는 한산도 여차 잘피밭의 어류상 조사를 통해 월간 출현 어종을 알아보고 인근의 봉암 조사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지인망을 이용해 수행하였고, 조사 기간 동안 총 29종 2,394개체, 10,378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복섬, 그물코쥐치, 점망둑, 망상어 순이었고, 이들 6종이 총 개체수의 89%, 생체량의 83%를 차지하였다. 잘피밭에서의 어류 종조성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뚜렷했으며, 개체수는 5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에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4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월별 개체수와 생체량 변동 및 타 논문과의 비교를 통하여 여차 잘피밭이 어류의 성육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에 대한 주기적인 조사를 통해 남해안 연안 어류상 변화에 대비한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