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buckthor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비타민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 박유화;임상현;함헌주;정햇님;이광재;김경희;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75-979
    • /
    • 2010
  • 국내에서 재배된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의 생리활성을 부위별(줄기, 잎, 뿌리, 열매), 용매별(물, 에탄올)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비타민나무의 저해활성은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이 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이 88.7% 순으로서 대조구 acarbose의 20.2%보다 훨씬 높았다. Pancreatin 기원의 $\alpha$-amylase 억제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잎의 물 추출물이 54.7%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가장 높았다. HT-29 cell과 DU-145 cell의 암세포에 대한 항암효과 시험 결과 뿌리의 물 추출물에서 각각 47.1%, 32.3%의 항암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 실험 결과 잎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위해균주인 Clostridium butyricum, Proteus mirabilis, Shigella flexneri에 대한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생리활성 효과가 나타난 물질에 대한 분리, 정제 등의 연구가 계속 수행되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Sea Buckthorn and Boswellia Extracts in Inflammatory Orofacial Pain by Xerostomia in Rats

  • Choi, Ja-Hyeong;Kim, Tae-Heon;Lee, Min-Ky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138
    • /
    • 2019
  • Xerostomia due to the subjective dry mouth feeling that may occur even when the salivary gland function reduction is not objectively confi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dry mouth is more sensitive to pain in the oral facial area, which is the main cause of dental problems. The natural products used in this study are Boswellia serrata and seabuckthorn, Both natural substances are known as a representative antioxidant substance rich in vitamins. 4-DAMP was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of the experimental animals, and 5% formalin was injected into the face to observe the change of inflammatory pain. Boswellia (15, 30 mg/kg) or seabuckthorn (150, 30 mg/kg, 5 mg/kg) after formalin infusion, As a result, pain respons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drug-infused group compared to the formalin-infused group (*P<0.05). It was also found that the two drugs were more effective when administered together.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firm that natural extract can be an alternative treatment modality for the control of oral facial inflammatory pain.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줄기로부터 항염 활성물질 β-Sitosterol의 분리 (Isol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e Substance β-Sitosterol from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Stem)

  • 박유화;임상현;함헌주;김희연;정햇님;김경희;김성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80-985
    • /
    • 2010
  • 이번 연구는 강원도 춘천에서 재배된 비타민나무의(Hippophae rhamnoides L.) 부위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염활성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고, 이에 함유되어 있는 항염활성물질을 fraction directed isolation 방법으로 단리하였다. 항염활성 측정을 위하여 비타민나무의 줄기, 잎, 뿌리,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nitric oxide(NO) 생성량 측정 결과 염증 유발 물질인 lipopolysaccharide(LPS) 대비 각각 56.0, 31.9, 49.1, 18.9%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타민나무 줄기를 다시 극성을 달리하여 용매로 분획을 실시하였고 각각의 분획층에 대하여 NO 생성량 측정 결과 $CH_2Cl_2$ 분획층(1 mg/mL)에서 염증유발물질인 LPS 단독 처리군 대비 80%의 높은 항염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항염활성이 가장 높았던 dichloromethane 분획층을 MCA-MCK까지 총 11개 분획층으로 분리하였고, 이 11개의 분획층에 대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MCD 분획층이 0.1 mg/mL 농도에서 LPS 대비 65%의 가장 높은 항염활성을 나타내었다. MCD의 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GC/MS, $^{13}C$-NMR, $^1H$-NMR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항염활성물질 MCD는 분자량 414.71 g/mol, 화학구조식이 $C_{29}H_{50}O$$\beta$-sitosterol로 결정하였다. 향후 비타민나무 줄기는 염증예방 효능을 지닐 수 있는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의 원료, 가공품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in In Vitro Culture of Hippophae rhamnoides

  • Lee, Songhee;Cho, Wonwoo;Jang, Hyeonsoo;Chandra, Romika;Lee, Sora;Kang, Hoduck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48-153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in vitro propagation system influenced by plant growth regulators through organogenesis with three different seed sources (China, Mongolia and Russia) for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in Northeast Asia. The experiment compared two different carbon sources (commercial sugar, sucrose),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mination rate. Induced adventitious buds from leaf segments were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when supplemented with 1.0 mg/L BA, 1.0 mg/L Kinetin, and 5.0 mg/L IAA, in the case of Chinese origin 96.8%, Russian origin R-1: 95.6%, R-2: 85.6%, and Mongolian origin M-2: 77.8%. It was effective in BA and Kinetin with supplemented with IAA, respectively. Shooting development was also efficient in Woody Plant Media (WPM) supplemented with 1.0 mg/L BA, 1.0 mg/L Kinetin and 5.0 mg/L I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