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surface temperature

검색결과 1,148건 처리시간 0.031초

지구표면 온도의 변화에 대한 아열대 고기압의 반응 (The Response of the Subtropical High to the Variation of the Earth Surface Temperature)

  • 이재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725-733
    • /
    • 1998
  • Three numerical experiments are done using IAP(Institute of Atmospheric Physics) global spectral model(T42L9)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temperatures on the 7-day simulation. Particularly, the response of the subtropical High in summer to the variation of soil temperature and sea surface temperature(SST) was emphasized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Experiment 1 uses the June climate data as the earth surface conditions. Experiment 2 is similar to Experiment 1 except for the soil surface temperature. Experiment 3 is the same as Experiment 1 except for the modified SST, which is much warmer than the June climate SST on the sea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main finding in 7-day simulation is that the response of the subtropical high in summer to the variation of the sell surface temperature was much more than that to the variation of the SST. It is implied that the proper treatment of sell surface temperature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SST for the better 7-day simulation of the subtropical high in summer.

  • PDF

해수면온도와 우리나라 월강우량과의 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Monthly Rainfall)

  • 오태석;문영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5호
    • /
    • pp.471-482
    • /
    • 2010
  • 수문학적 물순환과정에서 강우는 여러 기상학적 인자들과 밀접한 관련을 갖으며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수문기상인자인 해수면온도와 한반도에 발생하는 월강우량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61개 지점의 월평균 강우량과 위도 및 경도 자료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군집 분석 결과에서 우리나라의 월강우자료를 이용하여 크게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군집별로 구분된 강우관측소의 월강우량 자료들을 주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주성분과 해수면온도와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음(-)의 상관관계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상관관계가 가장 큰 지점의 해수면온도를 이용하여 3개월의 월강우량을 지역가중다항식을 통해 예측하였다. 지역가중다항식을 통한 예측 결과는 군집에 따라 정확성에 차이는 있으나, 정량적인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해수면온도와 같은 수문기상인자를 통한 강우량의 예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DSI와 범지구적 해수면온도와의 저빈도 상관성 분석 (Low Frequency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DSI and Global Sea Surface Temperature)

  • 오태석;김성실;문영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19-131
    • /
    • 2010
  • 가뭄은 인간이 극복하기 힘든 자연재해로서 가뭄지역의 경제를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생태계까지 파괴하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가장 두려워하는 관심 재해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가뭄지수인 팔머가뭄지수와 범지구적 해수면 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팔머가뭄지수를 산정하여 과거 가뭄발생연도와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교분석을 결과 대부분의 과거 가뭄사상과 지수가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관성 분석을 위해 팔머가뭄지수 산정을 위한 지수인 강수자료와 온도자료를 월평균강수량과 월평균온도 자료로 산정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기상청관할에 있는 61개 지점을 선정하여 월평균강우량과 월평균온도 자료로 군집분석결과 총 6개의 군집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군집분석결과와 팔머가뭄지수의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전체 자료의 분산을 80% 이상 설명할 수 있는 14개의 시계열 자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팔머가뭄지수의 주요 성분과 범지구적 해수면 온도와의 상관성 분석결과 팔머가뭄지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음의 상관관계보다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태평양에서 관측되는 해수면 온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해수면 온도 구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해수면 온도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발생할 수 있는 가뭄의 예측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적외선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를 활용한 해양 피층 수온 산출 (Retrieval of Oceanic Skin Sea Surface Temperature using Infrared Sea Surface Temperature Autonomous Radiometer (ISAR) Radiance Measurements)

  • 김희영;박경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17-629
    • /
    • 2020
  • 기후변화와 지구환경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해수면온도는 인공위성 적외선 센서가 관측하는 피층 수온과 측기들이 관측하는 표층 수온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국외 여러 기관에서 보급되고 있는 해수면온도 관측 자료들은 각각 서로 다른 깊이의 수온을 나타내고 있어서 해양 피층과 표층 수온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 라디오미터를 해양조사선에 장착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부착하고 운용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양 피층 수온을 산출할 수 있는 관측 환경을 구축하였다. 선박 관측 전에 실험실에서 라디오미터 기기의 검보정을 실시하여 보정 계수를 산출하였다. 관측된 해수면에서 방출된 복사에너지와 하늘 복사에너지를 피층 수온으로 산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적용하였다. 산출된 피층 해수면온도를 현장 관측 표층 수온자료와 비교하여 표층과 피층 수온 차이를 정량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Himawari-8 정지궤도 위성 해수면온도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해양 상층 연직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2020년 4월 21일부터 5월 6일까지 남해안의 장목항과 동해 남부를 관측한 해양 피층 수온은 전체적으로 표층 수온과 0.76℃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 두 수온 차이의 평균제곱근오차는 약 0.6℃에서 0.9℃까지의 일간변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하루 중 1-3시에 0.83-0.89℃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15시에 0.59℃로 최소의 차이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편차도 0.47-0.75℃의 일간변화를 나타내었다. 해양 피층 관측 수온과 위성 해수면 온도 간 차이는 약 0.74℃의 평균제곱근오차, 0.37℃의 편차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관측 수심에 따른 피층-표층 수온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층-표층 수온 차의 계절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이해하고 또 변동 요인과의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조사선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안 및 대양 관측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한반도 동남해와 남동해 표층수에서 알케논 수온계산식의 비교 (Comparison of Alkenone Equations for Surface Water Temperature Estimation in the Eastern South Sea and Southern East Sea, Korea)

  • 신경훈;윤숙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1-8
    • /
    • 2007
  • A series of long chain unsaturated ketone (alkenone) was identified in the particulate organic matter sampled from surface water of the eastern South Sea, Korea. The seawater temperature based on the $C_{37}$ alkenone was calculated by using several different equations of unsaturation index(${U^{K'}}_{37}$), compared with in situ CTD temperature. Among the previously reported equations, the equation(0.044T-0.204) which was proposed by Sawada et al.(1996) seems to be the most useful for the calculation of $C_{37}$ alkenone temperature, showing average $0.51^{\circ}C$ difference between ${U^{K'}}_{37}$ temperature and in situ CTD temperature. This result suggest that alkenone should be a useful molecular biomarker for reconstructing paleo-environmental change in the South and East Sea, Korea. Howeve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more reliable equation for the calculation of $C_{37}$ alkenone temperature.

SL/SST variations and their Correlations in the North East Asian Seas by Remote Sensing

  • Yoon, Hong-Jo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권1호
    • /
    • pp.58-60
    • /
    • 2003
  • Altimeter(Topex/Poseidon) and AVHRR(NOAA) data were used to study the variations and correlations of Sea Level(SL)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North East Asian Seas from November 1993 to May 1998. This region is influenced simultaneously to continental and oceanic climate. SL and SST have increased gradually every year because the global warming, and presented usually a strong annual variations in Kuroshio extension region with the influence of bottom topography.

우리나라의 연안기후와 해면수온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e Coastal Climate in Korea)

  • 안유신;한영호;김영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66-574
    • /
    • 1984
  • 1962년부터 1981년까지 기온, 습도, 해면수온 자료를 이용하여 연안기후에 대한 해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면수온은 서해안에서 9월부터 3월 까지 약 6 개월동안, 동해안에서는 9월부터 4월까지 약 5개월동안 해안기온보다 높았다. 연안기온이 해면수온 보다 높아지는 것은 서해안에서는 3월, 남해안과 동해안에서는 4월로 서해안이 1개월 정도 빨랐다. 연안기온과 내륙기온, 연안기온과 해면수온과의 차, 그리고 연안습도와 해면수온, 해안습도와 내륙습도와의 차로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안기후요소(기온과 습도)에 대한 해양 영향의 계수는 남해안과 동해안보다 서해안에서 약하게 나타났다.

  • PDF

남극 브랜스필드 해협에서의 퇴적과정과 관련된 기후특성 (Climatic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Sedimentary Process in Bransfield Strait, Antarctica)

  • 이방용;권태영;이정순;윤호일;윤영준
    • 지구물리
    • /
    • 제8권4호
    • /
    • pp.173-185
    • /
    • 2005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sea ice concentration, surface air temperature, surface wind, and SST (Sea Surface Temperature) in Bransfield Strait to understand the climatic characteristics and its related sedimentary process there. In analyses of the monthly data, during the austral autumn (Mar., Apr., and May), the frequency of southeasterlies i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sea ice concentration and negatively with the surface air temperature, whereas that of northwesterlies is reverse. These relationships are explained by the process that the southeasterlies of the cold air from the Antarctic Continent affect the ocean current around Bransfield Strait. And then the ocean current makes the sea ice generated in the Weddell Sea drift into the strait. During the spring (Sep., Oct., and Nov.), sea ice concentration and surface air perature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northwesterlies with warm air mass. In the some parts of the northern boundary region, the sea ice concentration in Bransfield Strait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ST during the autumn and spring. Such relationship may rather propel the sea ice melting in proportion to the sea ice concentration during the autumn.

  • PDF

가중공간중심을 활용한 한국 남동해역의 표층수온 분포 패턴 분석 (Pattern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Southeast Sea of Korea Using a Weighted Mean Center)

  • 김범규;윤홍주;김태훈;최현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3-274
    • /
    • 2020
  • 한국 남동해역은 매년 하계에 집중적으로 냉수대가 형성되어 빈번한 이상해황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해역에서 발생하는 표층수온 분포의 공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18년 6월에서 9월까지 고리와 정자 부이에서 관측한 해양현장 수온 데이터와 GHRSST Level 4 재분석 해수면 온도(sea surface temperature: SST) 자료를 이용하였다. 부이 자료는 두 지점의 시계열적 수온 변동 분석에, GHRSST 자료는 연구해역 전반에 걸친 일별 SST의 분산과 가중공간중심(weighted mean center: WMC)을 계산하는데 이용하였다. 부이의 수온이 낮아지면 연구해역 SST의 분산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 기간 일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는 GHRSST가 재분석 자료로 연안의 민감한 수온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전 해역의 SST 변화를 대표하는 통계적 분산만으로는 연안의 국지적인 소규모의 수온변화를 파악하거나, 냉수대 발생해역의 위치 및 범위를 탐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차가운 수괴가 발생하는 공간적인 위치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WMC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냉수대가 발생했을 때, WMC가 연구해역의 공간중심(mean center: MC)으로부터 북서 해역 쪽에 위치하였다. 이는 SST의 WMC 위치 정보를 통해 차가운 표층수온의 분포가 어디에서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향후 냉수대 규모 및 지역 확산 범위 탐지에 WMC의 활용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시계열 Landsat 위성영상을 활용한 울진 원자력발전소 주변 해수온도 분포분석 (Analysis of Sea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Around Uljin Nuclear Power Station Using Time Series Landsat Satellite Images)

  • 최승필;육운수;홍성창;송영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1-5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핵발전소의 운영을 위해 사용되는 냉각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발전소 주변의 해수 온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으로는 비교적 큰 원자력 발전소에 속하는 울진 원자력 발전소의 근해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원자력 발전소 온배수에 대한 환경 문제의 감시는 해안지역이며 비교적 광범위한 지역이므로 현장 감시에 대하여 어려운 점이 많다. 핵발전소 주변의 온도분석을 위해서 비교적 취득이 용이하고 수면온도 변화탐지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Landsat 5위성영상과, Landsat 7 위성영상을 활용하였다. 대상지역의 Landsat 영상에 대하여 기하보정을 수행하고, 방사휘도 및 온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핵발전소 주변 인근해 지역과 온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동쪽으로 3km 떨어진 동일 면적의 지역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약 $2^{\circ}C$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